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위기극복의 정치리더십: 동남아 4개국 정치지도자 비교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5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how political leaders in four Southeast Asian countries managed and responded to the 'transitional crisis' caused by the dual pressures of democratization/liberalization and globalization/marketiza...

      This research aim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how political leaders in four Southeast Asian countries managed and responded to the 'transitional crisis' caused by the dual pressures of democratization/liberalization and globalization/marketiz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East Asian economic crisis in 1997 brought up the serious 'transitional crisis' such as globalization and marketization. This research studied countermeasures the four leaders adopted to overcome the crisis. The research conducted case studies and comparative studies of the political leadership in Thailand, Malaysia, Indonesia, and the Philippines hit by the crisis most severely.
      The research avoided conventional methodology surveying static leadership in a stable phase. Instead, it attempted to analyze the role of political leadership in transition and its interactions with political changes. Particularly, we emphasize following key points: (1) 'human factors' such as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of the political leader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responses to the crisis and leadership styles; (2) dynamic interaction between leaders and followers, staying away from elitist methodology; (3) the capacity of leadership that brings about political changes, not a simple ruling techniques of political leaders. This research employed following research methods: (1) multidimensional comparative research by comparing the countries, let alone comparison of different political leaders in a country; (2) field research to produce research result strongly based on empirical footing.
      In the four Southeast Asian countries, a creative leadership was required to meet the two urgent goals - economic recovery and political reform. This new leadership had to hit a balance between transformation and transaction in the framework of concentration and fragmentation. The detailed approaches differed country by country. In Thailand where the crisis originated, Prime Minister Thaksin, a boss of conglomerate, emerged and showed 'entrepreneurial political leadership'. He built an extensive patron-client linkage in business sector and rural area to mobilize supports. This was a mix of developmental state and entrepreneurial management. Indonesia was infected by the financial crisis from Thailand. Megawati, Seokarno’s daughter, succeeded to seize the power with fanatic popular support through the politics of motherhood and silence. Her leadership enabled economic recovery and political reform, concluding democratic transition. She, however, could not renew political endorsement, because of inefficient political communication and collusion of the corrupt elites. In the Philippines, people power always accompanied with woman presidents. Thus, it hints us a relationship between crisis and woman leadership. Although their leadership of Aquino and Arroyo based on kinship political culture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woman leadership in the sense that they are, it reflects social changes of the Philippines such development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isible class-politics. Mahathir in Malaysia succeeded power to Abdullah Badawi to seek a way out of the crisis. In spite of the weak power base, compromising and rational Abdullah Badawi attempted to liquidate Mahathir's legacy.
      The four Southeast Asian leaders had different types of leadership such as entrepreneurial leadership, grand coalition and politics of motherhood, women political leadership, and managerial leadership, but they had a common view that closed authoritarian regime is no longer sustainable. Contrarily, they are of a view that democratization or liberalization including wider political participation was increasingly inevita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남아 4개국 지도자의 정치리더십에 대한 사례연구와 국가 간 비교연구를 통해 이들 국가들이 민주화ㆍ자유화와 세계화ㆍ시장화의 이중적 압력이 야기한 20세기 종반의 ‘전환...

      본 연구는 동남아 4개국 지도자의 정치리더십에 대한 사례연구와 국가 간 비교연구를 통해 이들 국가들이 민주화ㆍ자유화와 세계화ㆍ시장화의 이중적 압력이 야기한 20세기 종반의 ‘전환의 위기’를 어떻게 관리하고 대응하였는지 비교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7년에 동아시아 지역에 들이닥친 경제위기는 세계화ㆍ시장화의 파도라는 심대한 ‘전환의 위기’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동남아의 정치지도자들이 보였던 위기극복의 대응방식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위기의 직접적 당사자인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 4개국 지도자의 정치리더십에 대한 사례연구와 국가 간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정치리더십을 안정 국면에서 정태적으로 분석하던 기존의 연구방식을 지양하고, 위기과정의 변화 국면에서 정치리더십의 역할과 체제변동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특히 우리는 정치리더십 연구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하였다. 1) 동남아 4개국에서의 위기대응의 다양한 편차와 정치리더십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각국의 최고 정치지도자들의 개인적 품성, 학력, 젠더, 출신 성분과 가문 등 ‘인간적 요인’의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2) 정치리더십에 관한 엘리트주의적 연구경향을 극복하고 지도자와 추종자 사이의 쌍방적 역동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3) 정치리더십의 통치술에 집중하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우리는 체제변동을 이끌어내는 정치리더십의 힘에 큰 관심을 두었으며 정치리더십과 체제변동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었던 것은 위기국면을 시간적 분석대상으로 삼았던 덕분이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심층적인 연구방법을 동원하였다. 1) 일국 내 정치 지도자들 간의 비교연구와 함께 국가 간 비교연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다차원적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2) 현지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정치리더십 연구가 경험적 기반이 취약하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경제위기 과정의 동남아 4개국에서는 경제회복과 정치개혁이라는 이중적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경직성과 유동성이라는 제도적 좌표 속에서 전환성과 교환성의 균형을 찾는 창조적 리더십이 요구되었고 그 구체적 방도는 제각기 달랐다. 우선, 동아시아 경제위기의 진원지였던 태국에서는 역사상 최초의 재벌출신 총리 탁신이 등장하여 ‘기업가형 리더십’을 발휘하고, 기업과 농촌에 대해 후원-수혜적인 연계망을 구축하여 지지를 동원함으로써 발전국가와 기업경영방식을 결합한 체제를 조성하였다. 태국으로부터 금융위기가 감염되었지만 총체적 위기로 확대되었던 인도네시아에서는 수카르노의 딸 메가와띠가 모성과 침묵의 상징정치를 통하여 민중의 열광적 지지를 받고 권력을 잡는데 성공하였다. 그녀의 정치리더십은 경제를 회복세로 돌리고 정치개혁을 통해 민주주의 이행을 완결지었지만 엘리트야합의 정치와 효과적인 정치적 소통의 실패로 권력연장에는 실패하였다.
      필리핀과 말레이시아에서도 정치적 위기가 초래되었다. 필리핀에서는 정치 위기 때마다 ‘피플 파워’를 통해 여성대통령이 출현하는 현상을 보여서 위기와 여성정치리더십의 상관성에 관한 사색을 유발시킨다. 아키노와 아로요의 리더십은 친족정치문화에 기반한다는 점에서 서구 선진국의 여성리더십과 다르지만, 여성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