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불안, 회피애착과 학교폭력 방관·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이타성의 매개효과 = A mediating effect of altru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xious and avoidant attachment and outsider and defending behavior in School Bully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59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xious and avoidant attachment and outsider and defending behavior in school bullying, and further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ltruism on the rel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xious and avoidant attachment and outsider and defending behavior in school bullying, and further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ltru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outsider and defending behavior in school bullying,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help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741 students who were the 2nd or 3rd grade from 3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Based on collected data,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specified a model of SEM which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altru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nd avoidant attachment and outsider and defending behavior in school bullying and tested whether the hypothesized model fits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nxious and an avoidant attachment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outsider behavior and negatively with defending behavior. Second, altruism is correlated negatively with outsider behavior and positively with defending behavior. In addition, an anxious attachment and an avoidant attach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truism. Thir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avoidant attachment was associated with less altruism, which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outsider behavior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as for an anxious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outsider behavior an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Additionally,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altru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sider behavior and defending behavior.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애착과 조력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연구를 토대로 하여, 청소년의 불안, 회피애착과 이타성 및 학교폭력 방관·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애착차원과 학교폭력 ...

      본 연구의 목적은 애착과 조력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연구를 토대로 하여, 청소년의 불안, 회피애착과 이타성 및 학교폭력 방관·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애착차원과 학교폭력 방관·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이타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소재 중학교 3곳의 2, 3학년 74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타성이 불안, 회피애착과 학교폭력 방관, 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한 후 이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에서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방관행동이 높아졌으며 방어행동은 낮아졌다. 둘째, 이타성이 높을수록 방관행동은 낮아지고 방어행동은 높아졌다. 그리고 불안 및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이타성이 낮았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이타성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방관행동은 높아지고 방어행동은 낮아지는 간접효과가 뚜렷하였다. 반면 불안애착의 경우,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방관행동은 높아지고 방어행동이 감소하는 직접효과와 불안애착이 높아질 때 이타성이 높아져서 방관·방어행동에 영향을 주는 매개효과가 동시에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요 결과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훈구, "학급 내 부정적 행동과 응집력과의 관계: 왕따, 학내폭력, 수업저해행동을 중심으로" 58-59, 2000

      2 오지원, "학급 공동체의식이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주변인 유형(방관자, 가해동조자, 피해자 방어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택호, "청소년의 탄력성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학회 5 (5): 743-772, 2004

      5 김동옥, "청소년의 지배성, 사회성, 공감 및 이타성이 집단괴롭힘의 방관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33-352, 2017

      6 정지선, "청소년 학교폭력의 복합 외상(Complex Trauma)적 접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45-160, 2008

      7 신나민, "청소년 또래괴롭힘의 참여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공감 구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25-45, 2012

      8 유계숙, "집단따돌림 참여자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족·학교 관련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63-89, 2013

      9 신지은, "집단따돌림 관여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19-39, 2013

      10 김현주, "집단 따돌림에서의 동조집단유형화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5 (5): 103-118, 2003

      1 이훈구, "학급 내 부정적 행동과 응집력과의 관계: 왕따, 학내폭력, 수업저해행동을 중심으로" 58-59, 2000

      2 오지원, "학급 공동체의식이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주변인 유형(방관자, 가해동조자, 피해자 방어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택호, "청소년의 탄력성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학회 5 (5): 743-772, 2004

      5 김동옥, "청소년의 지배성, 사회성, 공감 및 이타성이 집단괴롭힘의 방관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33-352, 2017

      6 정지선, "청소년 학교폭력의 복합 외상(Complex Trauma)적 접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45-160, 2008

      7 신나민, "청소년 또래괴롭힘의 참여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공감 구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25-45, 2012

      8 유계숙, "집단따돌림 참여자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족·학교 관련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63-89, 2013

      9 신지은, "집단따돌림 관여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19-39, 2013

      10 김현주, "집단 따돌림에서의 동조집단유형화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5 (5): 103-118, 2003

      11 윤성우, "집단 따돌림 방관자에 대한 또래지지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271-292, 2007

      12 정제영, "주변인 대상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19-143, 2013

      13 李生鉉, "아동기의 이기심과 이타심의 발달과 적응도 분석"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4

      14 서미정, "방관자의 집단 특성에 따른 또래괴롭힘 참여 역할행동" 한국아동학회 29 (29): 79-96, 2008

      15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16 오인수,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 공감과 공격성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45-63, 2010

      17 한하나, "괴롭힘 주변인의 행동과 감사, 공감, 학교소속감의 관계" 교육문제연구소 27 (27): 53-75, 2014

      18 임정란,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학교폭력에 방관적인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5 (15): 1425-1440, 2014

      19 권세원, "고등학교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중학생 시기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종단적 영향과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05-231, 2013

      20 Berger, K. S., "Update on bullying at school: Science forgotten?" 27 (27): 90-126, 2007

      21 Lodge, J., "The role of peer bystanders in school bullying: Positive steps toward promoting peaceful schools" 44 : 329-336, 2005

      22 Westmaas, J. L., "The role of attachment in responses to victims of life crises" 80 (80): 425-438, 2001

      23 Murphy, T. P., "The influences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on bullying" 26 (26): 1388-1397, 2017

      24 MacIntyre, A.,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Macmillan 1967

      25 Mikulincer, M., "The attachment behavioral system in adulthood: Activation, psychodynamics, and interpersonal processes" 35 : 56-152, 2003

      26 Batson, C. D., "The altruism question: Toward a social-psychological answer" Erlbaum 1991

      27 Bowlby, J.,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Attachment and loss" Basic Books 1973

      28 Espelage, D. L., "Research on school bullying and victimization: What have we learned and where do we go from here?" 32 : 365-383, 2003

      29 Salmivalli, C., "Participant role approach to school bullying :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22 (22): 453-459, 1999

      30 Staub, E., "Need for approval, children's sharing behavior, and reciprocity in sharing" 41 : 243-253, 1970

      31 Hawkins, L, D., "Naturalistic observations of peer interventions in bullying" 10 (10): 512-527, 2001

      32 Menesini, E., "Moral emotions and bullying: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bullies, victims and outsiders" 29 (29): 515-530, 2003

      33 Olweus, D., "Mental Disorder and Crime" 353-365, 1993

      34 Shaffer, D. R., "Development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Brooks/Cole 1993

      35 Bar-Tal, D., "Consistency of helping-behavior measures" 50 : 1235-1238, 1979

      36 Cowie, H., "Bystanding or standing by: Gender issues in coping with bullying in English schools" 26 (26): 85-97, 2000

      37 Tsang, S. K., "Bystander position taking in school bullying : The role of positive identity,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11 : 2278-2286, 2011

      38 Salmivalli, C., "Bullying as a group process: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22 (22): 1-15, 1996

      39 Tani, F., "Bullying and the big five" 24 : 131-146, 2003

      40 Thornberg, R., "Bullying and its association with altruism toward victims, blaming the victims, and classroom prevalence of bystander behaviors : a multilevel analysis" 21 : 1133-1151, 2018

      41 Richman, S, B., "Avoiding affection, avoiding altruism: Why is avoidant attachment related to less helping?" 76 : 193-197, 2015

      42 Vilchinsky, N.,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 The perspective of attachment theory" 55 (55): 298-306, 2010

      43 Gillath, O., "Attachment, caregiving, and altruism: Boosting attachment security increases compassion and helping" 89 (89): 817-839, 2005

      44 Mikulincer, M., "Attachment, caregiving, and altruism : boosting attachment security increases compassion and helping" 89 (89): 817-, 2005

      45 Fraley, R. C.,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Guilford Press 1998

      46 Brennan, K. A.,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Guilford Press 1998

      47 Mikulincer, M., "Attachment security, compassion and altruism" 14 (14): 34-38, 2005

      48 Nickerson, A. B., "Attachment and empathy as predictors of roles as defenders or outsiders in bullying interactions" 46 : 687-703, 2008

      49 Kunce, L. J., "An attachment-theoretical approach to caregiving in romantic relationships"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992

      50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154 : 136-136, 1993

      51 Shaver, P. R., "Adult romantic attachment: Theory and evidence" 4 : 29-70,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2.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8 2.586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