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國 後期舊石器時代 刃部磨製石器 試論 = A Study on the Polished Stone tools in the Upper Palaeolithic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41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석기의 제작기술 중 마제기법은 신석기시대에 출현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우리나라 후기 구석기유적에서 갈린 흔적을 지닌 석기들이 다수 출토되었다. 이러한 갈린 석기...

      석기의 제작기술 중 마제기법은 신석기시대에 출현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우리나라 후기 구석기유적에서 갈린 흔적을 지닌 석기들이 다수 출토되었다. 이러한 갈린 석기들은 주로 인부가 집중적으로 갈렸기 때문에 刃部磨製石器로 命名하였다. 인부마제석기는 석기표면의 박리흔과 형태의 검토를 통해 자귀의 착장방법과 동일한 橫斧의 형태로 사용되었다. 이것의 기능은 나무의 벌채를 위해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희박하였다. 왜냐하면, 인부마제석기가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날부분에 손상이 거의 남아있지 않고, 날과 직교되게 마연된 일부 지점에 사용흔이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인부마제석기는 해외의 후기 구석기유적에서 출토된 자료와 민족지 사례를 비교·검토한 결과, 사냥감의 해체와 피혁가공을 위해 후기 구석기시대 후반에 새롭게 출현한 석기로 추정되었다. 특히 가죽의 무두질은 긁개류의 기능과도 관련이 있어 대형밀개와 인부마제석기가 기능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인부마제석기는 주로 세석인관련 유물들과 함께 출토되고 있고, 유적의 절대 연대도 2.5만 년 전을 올라가지 않는다. 인부마제석기의 상한연대는 세석인문화의 출현과도 직접 적인 연관이 있다. 이것이 후기 구석기시대에 출토되었다고 하더라도, 본격적인 마제기법의 출현은 신석기시대부터였다. 즉, 구석기시대에 마제석기가 출현했다고 해서 타제기술을 이용해 석기를 제작하는 기술 근간이 흔들린 것은 아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hic technology of the prehistoric time is systematic science of forming stones into useful tools such as cutting, chopping and other functional implements. There are two methods of making stone tools; one by flaking and the other by grinding. Tool ...

      Lithic technology of the prehistoric time is systematic science of forming stones into useful tools such as cutting, chopping and other functional implements. There are two methods of making stone tools; one by flaking and the other by grinding. Tool implements made by ground or polish techniques are associated with the Neolithic period in general. However, abrasive materials and polishing agents are not affiliated with this period necessarily. The grinded tools were excavated from the Palaeolithic sites, such as Suyanggae, Jiphyun, Sinbuk and Songchengdong. Grinding is a method of smoothing tools abrasively with other stones. Generally, it refers to smoothing of the edges. Polished tools are similar to adz and celt. Adz is an implement that has a narrow cutting bit which is beveled with one flat face. The adz is used for the chopping of the wood. The stone tools with abrasive blades like end scraper and scraper in the Palaeolithic Age were also used to peel animal’s skin of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출토유물의 검토 Ⅲ. 착장방법과 기능 Ⅳ. 구석기시대 인부마제석기의 해외 사례 Ⅴ. 결론
      • Ⅰ. 서론 Ⅱ. 출토유물의 검토 Ⅲ. 착장방법과 기능 Ⅳ. 구석기시대 인부마제석기의 해외 사례 Ⅴ.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