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환자실 환자에서 원내 칸디다혈증 발생의 위험 인자 =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Nosocomial Candidemia among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4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 Nosocomial candidemi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 entity in hospital not only because of increasing incidence but also because of its high fatality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 factors predicting the develo...

      Background : Nosocomial candidemi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 entity in hospital not only because of increasing incidence but also because of its high fatality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 factors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nosocomial candidemia and to evaluate its clinical outcome of nosocomial candidemia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Materials & Methods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matched case-control study in adult patients admitted to ICU from January 1998 through December 2002 in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Sixty cases with candidemia were retrospectively identified from the records of the Department of Clinical Microbiology. The possibl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nosocomial candidemia were compared between 60 patients and 120 control subjects.
      Results : Candida albicans was the most commonly isolated organism.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number of concomitant bacteremia (OR=17.3), number of candida infection in other site (OR=20.6), number of antibiotics used (OR=4.2), duration of indwelling central venous catheter (OR=16.1), and insertion of arterial line for more than 8 days (OR=6.9)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candidemia. Crude mortality rate was higher in candidemia patients compared with control subjects (P=0.004).
      Conclusion : The best predictors of development of candidemia in ICU patients were concomitant bacteremia, candida colonization in other site, combined use of antibiotics, and long-indwelling arterial and central venous catheter. For the ICU patients with high risk factors of candidemia, we could consider the intervention to prevent emergence of candidem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원내 감염 칸디다혈증은 최근 의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면역 기능이 감소된 경우 특히 발생 빈도가 증가할 뿐 아니라 높은 치사율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

      목적 : 원내 감염 칸디다혈증은 최근 의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면역 기능이 감소된 경우 특히 발생 빈도가 증가할 뿐 아니라 높은 치사율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칸디다혈증 발생의 위험 요인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파악하는데에 있다.
      재료 및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5년간 이화여대 목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입원 기록을 검토하여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군은 진단 검사의학과 미생물실 자료에 의거, 칸디다혈증이 있었던 6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같은 시기에 중환자실에 입원하였으나 칸디다 혈증은 없었던 120명으로 짝지어 각기 28개의 가능성있는 위험 인자와 치사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 칸디다혈증을 유발하는 균종은 Candida albicans가 24예(40%)로 가장 흔하였다. 다변량 분석을 통해서 균혈증이 동반된 경우(OR=17.3), 칸디다가 다른 부위에서도 검출된 경우(OR=20.6), 항생제 병용이 많을수록(OR=4.2), 중심정맥관 삽입 기간이 길수록(OR=16.1), 동맥관 삽입이 8일 이상인 경우(OR=6.9)가 중환자실 환자에서 칸디다혈증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이었다. 보통 사망률(Crude mortality)은 환자군에서 48.3%, 대조군에서 26.7%로 칸디다혈증 환자에서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4).
      결론 : 칸디다혈증의 발생은 균혈증이 동반된 경우, 다른 부위에서 칸디다가 검출된 경우에 증가하며, 항생제 병용이 많을수록, 혈관 내에 중심정맥관이나 동맥관이 장기간 유치되어 있을수록 증가하였다. 칸디다혈증의 사망률 역시 높아, 칸디다혈증의 위험이 높은 중환자실 환자를 조기에 색출하고 칸디다혈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