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80년대 현실주의 시사와 역동적 중도의 지형 = Realism Events and Geography of Dynamic Midway in 198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21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현대시사는 분단시대라는 상황적 조건 속에서 전개된다. 분단시대는 사상과 이념은 물론 시적 삶에서도 균정과 통합 보다는 이항대립적인 양극화를 가속화시켰다. 그래서 양극을 포괄...

      한국현대시사는 분단시대라는 상황적 조건 속에서 전개된다. 분단시대는 사상과 이념은 물론 시적 삶에서도 균정과 통합 보다는 이항대립적인 양극화를 가속화시켰다. 그래서 양극을 포괄하는 역동적 중도의 노선은 분단 구조 속에 급격하게 와해되어 갔다. 한국현대정치사에서 여운형, 김규식, 안재홍, 김구 등을 거쳐 조봉암, 장일순 등으로 이어지는 중도파가 급격한 쇠퇴의 길을 걷게 된 것처럼 문학사에서도 조선문학가동맹 측의 인민적민주주의 문학론의 노선이 남북에서 모두 거세되면서 양극화의 대결 구도로 치닫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한국현대시사는 8.15와 6.25, 4.19와 5.16, 10.26과 5.18로 점철되는 양극의 충돌과 격절을 마디절로 각각 분단 체제 성립기(1945-1959), 분단체제 심화기(1960-1979), 분단체제 전환기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들 각 시기에 대한 인식 역시 제3의 중도적 시각을 견지할 때 올바르게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중도는 단순히 중간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양극을 포괄하면서 동시에 가운데를 응시하며 적절한 상황에 따라 객관적 진리를 관철해내는 인식론을 가리킨다. 이제 우리에게는 온전한 민족적 삶과 분단 극복의 지향을 위해서도 다시 중도적 노선의 복원이 요구된다.
      1980년대는 해방직후 민족문학논쟁의 노선 투쟁을 방불케 하는 이론적 각축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1980년대의 현실주의 시사를 시중지도(時中之道)의 방법론적 인식에 따라 규명하는 것은 1980년대의 급진적인 문예이론과 시적 상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균형 잡힌 시각에서 가치 평가하는 데 유효하다.
      1980년대 민족문학론은 민중적 민족문학론, 노동해방문학론, 민족해방문학론 등으로 크게 나누어지며, 시적 상상 역시 이에 대응 하는 계열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중도의 지점은 민중을 포괄하면서도 지식인 중심의 민족문학론을 견지하는 계열에서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은 1980년대 현실주의 시사의 가치평가의 기준을 합목적론적인 역사관에 입각한 노동계급적 당파성을 내세운 선명성 위주에서 현실적 진정성과 공동체적 보편성의 미의식 그리고 자연의 존재원리와 이치로 열려 있는 시적 정서로 이동시키는 의미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current affairs have developed in the situational condition of division era. Division era has accelerated polarity of binominal confrontation rather than consolidation in the ideology and philosophy as well as in the poetic life. So, dynamic mi...

      Korean current affairs have developed in the situational condition of division era. Division era has accelerated polarity of binominal confrontation rather than consolidation in the ideology and philosophy as well as in the poetic life. So, dynamic midway covering both poles became collapsed in the division of the territory. As moderate Jo Bong-am, Jang Il-son after Yeo Yun-Hyung, Kim Kyu-sik, Ahn Jae-hong, Kim Ku have suddenly declined in the Korean current politics history, the public democracy literature of Joseon dynasty writer alliance was emasculated by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and the ways had confrontation. Especially Korean current affairs went through establishment of division system(1945-1959), intensification of division system(1960-1979), conversion of division system during 8.15, 6.25, 4.19, 5.16, 10.26, 5.18. Therefore acknowledgement of each period could be viewed when we look in the midway. Midway is merely not a middle way, of course. Midway could be interpreted as holy attendant including each poles and looking the middle point and achieving objective truth. We are required to restore midway line again to achieve sound national life and direction of division overcome. National literature conflict was so severe in 1980 that it seemed to be a conceptual neck-and-neck race. Therefore investigating realism events of 1980s based on midway methodology is effective in evaluating rapid literature theory and poetic imagination in three dimensions and in a balanced sight.
      National literary theory in 1980s were divided into public national literary theory, labor liberation literary theory, national liberation literary theory, and poetic imagination also could be divided into affiliates corresponding to the theory. The point of midway could be found in the biased middle point including the public and looking on intellect-centered national literary theory. And this work is meaningful in transforming valuation criteria of realism events in 1980s from definition representing labor level faction based on teleology to authenticity, public aesthetic, and poetic emotion open to natural logic. This would be a important coordinate in judging direction of poetry fundament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분단시대의 시사와 시중지도(時中之道)의 방법론적 인식
      • 3. 민족문학론의 분화와 중도의 지형
      • 4. 현실주의 시사와 중도의 지형
      • 5. 결론
      • 1. 서론
      • 2. 분단시대의 시사와 시중지도(時中之道)의 방법론적 인식
      • 3. 민족문학론의 분화와 중도의 지형
      • 4. 현실주의 시사와 중도의 지형
      • 5.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식, "해방 공간 한국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2 최동호, "한국현대시사의 감각"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3 백낙청, "통일운동과 문학" (봄) : 1989

      4 김명인, "지식인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민족문학의 구상, 사상문예운동" 풀빛 1987

      5 윤민재, "중도파의 민족주의 운동과 분단국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6 그레고리 베이트슨, "정신과 자연" 까치 1998

      7 성민엽, "전환기의 문학과 사회" (봄) : 1988

      8 T. W. 아도르노, "아도르노의 문학이론" 민음사 1985

      9 이동준, "시중지도의 재인식, 유교의 인도주의와 한국사상" 한울 1997

      10 백낙청, "시와 리얼리즘에 관한 단상" (겨울) : 1991

      1 김윤식, "해방 공간 한국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2 최동호, "한국현대시사의 감각"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3 백낙청, "통일운동과 문학" (봄) : 1989

      4 김명인, "지식인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민족문학의 구상, 사상문예운동" 풀빛 1987

      5 윤민재, "중도파의 민족주의 운동과 분단국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6 그레고리 베이트슨, "정신과 자연" 까치 1998

      7 성민엽, "전환기의 문학과 사회" (봄) : 1988

      8 T. W. 아도르노, "아도르노의 문학이론" 민음사 1985

      9 이동준, "시중지도의 재인식, 유교의 인도주의와 한국사상" 한울 1997

      10 백낙청, "시와 리얼리즘에 관한 단상" (겨울) : 1991

      11 채광석, "소시민적 민족문학에서 민중적 민중문학으로, 민족문학의 흐름" 한마당 1987

      12 안도현, "서울로 가는 전봉준" 민음사 1985

      13 백낙청, "사회주의 리얼리즘론과 엥겔스의 발자끄론" (가을) : 1990

      14 오봉옥, "붉은 산 검은 피" 실천문학사 1989

      15 김명인, "불을 찾아서" 소명 2000

      16 정과리, "민중문학론의 인식구조" (봄) : 1988

      17 김윤식, "민중문학론 비판,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이데올로기 비판" 서울대학교출판부

      18 조정환, "민주주의민족문학론에 대한 자기비판과 <노동해방문학론>의 제창, 노동해방문학론" 노동문학사 1990

      19 조정환, "민주주의민족문학론에 대한 자기비판과 <노동해방문학론>의 제창" 1989

      20 백진기, "민족해방문학의 성격과 임무" 2 : 1989

      21 에르하르트욘, "마르크스 레닌주의 미학 입문" 사계절 1989

      22 박노해, "노동의 새벽" 풀빛 1984

      23 홍정선, "노동문학과 생산주체" 1988

      24 유칠로, "孔子의 時中之道에 關한 硏究" 성균관대

      25 최원식, "80년대의 문학운동과 오늘의 문학-민족문학론의 새로운 구도를 위하여" 민족문학연구소 1995

      26 조정환, "80년대 문학운동의 새로운 전망" (17) :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6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