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을 통해 본 조경 설계 교육의 쟁점과 시사점 = The Implication and Issues of Landscape Design Education throug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835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에 나타난 동시대 조경의 쟁점을 통해 설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

      본 연구는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에 나타난 동시대 조경의 쟁점을 통해 설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의 주제와 수상작들의 대상지와 심사평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 주제는 공모 지침일 뿐만 아니라 조경의 새로운 영역이나 역할 모색과 관련되어 있다. 둘째, 가장 많이 다루어진 대상지 유형은 '산업유산과 재생공간', '녹색기반시설'이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유형의 대상지가 다루어지고 있다. 셋째, 대상지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수도권 소재 대학에 비해 비수도권 소재 대학들의 참여와 성과가 매우 저조했다. 넷째, 심사평에 내포된 평가 기준을 븐석하여 '개념(아이디어)의 참신성', '설계과정의 논리성', '대상지의 선정과 분석(해석)의 충실성', '설계매체의 표현과 마스터플랜의 완성도', '주제와의 정합성', '개념(아이디어)과 결과물의 연계성', '실현가능성'이라는 일곱 가지를 평가 기준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평가 기준은 디자인 언어의 정교함을 높이고 설계 교육 방법 모색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신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훈련이 필수적이지만, 개념 편향적 교육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상지와 관련된 문제를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훈련이 요구된다. 셋째, 설계 논리를 보다 중시하고, 개념이 결과물로 이어지게 하려는 진정성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설계 내용과 관련성 없는 '현혹적 이미지' 사용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주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에 대한 연습이 설계 교육의 주요 과정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여섯째, '실현 가능성'과 '창의적 사고'는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호혜적 관계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우리의 문제를 스스로 이야기할 수 있는 설계 언어에 대한 고민과 정체성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 심사평을 직접 인용하여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소화하면서 동시대 조경의 쟁점을 보다 직접적이고 생생하게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는 메타크리티시즘(meta criticism)으로서 또 다른 비평을 기다리는 기록이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후세의 조경가들이 현재의 조경 이론이나 설계 사고를 고찰할 수 있는 통로이자 사료가 된다는 의미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ssues and implications for landscape design education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by analyzing the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NEKLA). This study analyzed the suggested topic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ssues and implications for landscape design education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by analyzing the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NEKLA). This study analyzed the suggested topics and selected site as well as the commentary that appeared in the NEKLA's award-winning book published from 2004 to 2014.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pics of NEKLA are not only competition guidelines but related to exploring new area and role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Second, most dealing with site is 'industrial heritage and regeneration space' and 'green infrastructure'. In more recent years, a larger variety of sites were addressed. Third, site locations are concentrated in metropolitan areas, and awards and participation of the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was very low. Fourth, seven criteria can be applied in a general landscape design competition such as 'newness of the concept(idea)', 'logicality of the design process', 'selection of site fidelity of analysis(interpretation)', 'presentation and completion of the master plan', 'consistency with the theme', 'linkage of concepts and results' and 'feasibility'. The evaluation criteria are increasing the sophistication of the design language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on how to find design education methods. Its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raining is essential to derive innovative ideas, but it should avoid excessive concept-oriented education. Second, design education may include instruction on how to define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site. Third, more emphasis on design logic is essential to transform the innovative concept to actual results. Fourth, 'slick images' unrelated to design should be suppressed. Fifth, practice is needed to solve the topics addressed in the design process of education. Sixth, 'feasibility' and 'creative thinking' are necessary to recognize a reciprocal relationship that is helpful to one another. This study uses direct quote commentary to minimize the subjectivity of the researcher and to trace issues of the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more directly and vividly. This study is a record waiting for another review as meta-criticism. In this regard this study, the landscape architect of the next times will have a mean that historical records to review the current thinking of the landscape theory and desig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근현,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에 나타난 대형 공원의 설계 전략" 한국조경학회 36 (36): 13-25, 2008

      2 홍윤순, "조경현상설계지침과 출품작의 내용관계 비교 - 항동 보금자리주택지구 도시기반시설공모 입상작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9 (39): 18-28, 2011

      3 이상민, "서울숲 조성 설계공모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조경학회 31 (31): 15-27, 2004

      4 김아연, "브리지 파크 국제설계경기에 나타난 현대 조경설계의 경향" 한국조경학회 33 (33): 15-30, 2005

      5 Dickie, G., "미학입문" 서광사 1988

      6 배정한, "다운스뷰파크 국제설계경기를 통해 본 조경설계의 새로운 전략" 한국조경학회 29 (29): 62-71, 2002

      7 Appadurai, A., "고삐 풀린현대성" 현실문화연구 2004

      8 "http://gongmo.nulpurun.or.kr"

      9 Yun, Su-jin, "Trend Analysis of Design in National Exhibition of Korea Landscape Architecture"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4

      10 "The 9t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 박근현,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에 나타난 대형 공원의 설계 전략" 한국조경학회 36 (36): 13-25, 2008

      2 홍윤순, "조경현상설계지침과 출품작의 내용관계 비교 - 항동 보금자리주택지구 도시기반시설공모 입상작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9 (39): 18-28, 2011

      3 이상민, "서울숲 조성 설계공모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조경학회 31 (31): 15-27, 2004

      4 김아연, "브리지 파크 국제설계경기에 나타난 현대 조경설계의 경향" 한국조경학회 33 (33): 15-30, 2005

      5 Dickie, G., "미학입문" 서광사 1988

      6 배정한, "다운스뷰파크 국제설계경기를 통해 본 조경설계의 새로운 전략" 한국조경학회 29 (29): 62-71, 2002

      7 Appadurai, A., "고삐 풀린현대성" 현실문화연구 2004

      8 "http://gongmo.nulpurun.or.kr"

      9 Yun, Su-jin, "Trend Analysis of Design in National Exhibition of Korea Landscape Architecture"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4

      10 "The 9t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1 "The 8t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2 "The 7t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3 "The 6t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4 "The 5t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5 "The 4t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6 "The 3rd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7 "The 2nd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8 "The 1st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9 "The 11t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20 "The 10t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21 Lee, Sang-Min, "Study on the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in View of “Design Media” with a Reference to Competition Entr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22 Zoh, Kyung-Jin, "LOCUS 2" Landscape Architectural Culture 131-147, 2000

      23 Choi, Jung-M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the Yongsan Park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Namudosi 2012

      24 Cho, Jung-Song, "Establishing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al works" 21 (21): 21-33, 1993

      25 Choi, Jung-Min, "Bom, Landscape Architecture of the Ear of Design Competition" Publishing Landscape architecture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