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비실시간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피드백 유형에 따른 학습자들의 성찰 수준 탐색 = Students’ Reflection Levels by Feedback Type in Asynchronous Online Group Discussion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6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시각적 피드백과 교수자 피드백은 학습자의 참여도와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그 효과가 검증되어왔다. 그러나 토론활동은 비판적...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시각적 피드백과 교수자 피드백은 학습자의 참여도와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그 효과가 검증되어왔다. 그러나 토론활동은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토론활동을 통해 드러나는 학습자들의 성찰 수준과의 관련성을 살펴볼 때 그 교육적 효과가 보다 더 명확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피드백 유형에 따라 학습자의 성찰적 사고 수준이 서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질적 차원에서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0년 2학기에 A대학교에서 개설된 교양교과목 ‘인간삶과 교육’을 수강하는 4개 분반 학습자 115명이다. 온라인 토론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2개 분반(64명)에는 시각 및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하였고 다른 2개 분반(51명)에는 교수자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 토론활동 이후 성찰활동을 수행하도록 안내 받았으며,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내용을 Kember와 그의 동료들의 성찰 수준 모델을 재구성한 기준에 따라 분석되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 중 8명의 자발적 참여자를 모집하여 4명씩 두 집단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의 공통적 특성으로 ‘비성찰’과 ‘이해 성찰’ 수준에서 ‘공감과 차이에 대한 느낌형 성찰’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빈도는 낮았으나 ‘비판적 성찰’ 수준에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인식형 성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찰’ 수준에서 시각 및 언어적 피드백 집단은 ‘나-동료 상호작용 중심의 과정 성찰’과 ‘동료와의 상호작용으로 더욱 명료해지는 내용 성찰’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자 피드백 집단은 ‘나-주제 상호작용 중심의 과정 성찰’과 ‘주장의 합리성에 대해 내재적으로 검토하는 내용 성찰’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피드백 유형에 따른 연구 참여자들의 성찰 수준별 특성이 갖는 의미를 논의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온라인 토론시스템의 피드백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reflective thinking levels according to type of feedback in online group discussion activ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15 students from four classes taki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reflective thinking levels according to type of feedback in online group discussion activ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15 students from four classes taking the liberal arts course Human Life and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the fall semester of 2020. During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y, visual and linguistic feedback was provided to two classes (64 students), and teacher feedback was provided to another two classes (51 students). Participants were guided to perform reflection activities after the discussion activity; the contents of reflec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reconstructing the reflection-level model of Kember and his colleague. In addition, eight volunteer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mong the sample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f four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groups performed “feeling reflection on empathy and difference” and “perceived reflection on social problems” as common features. In reflection level, visual and linguistic feedback groups were foun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I-peer interaction centered reflection” and a “reflection become clearer through interaction with colleagues” Otherwise, teacher feedback group was foun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I-topic interaction centered reflection” and a “reflection on inherently examining the rationality of the argu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미나, "학습분석 기반 온라인 토론활동의 시각화 원리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3 (33): 901-941, 2017

      2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북큐브네트웍스 2018

      3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3

      4 한정선,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교수자의 토론촉진전략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도, 사회적 참여도, 만조도와의 관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5-30, 2007

      5 권성연,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2 (42): 55-82, 2011

      6 진성희, "온라인 토론활동 참여정보에 대한 피드백 유형이 학습참여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36 (36): 561-588, 2020

      7 조영환, "온라인 토론 촉진을 위한 피드백의 역할 탐색" 교육연구소 16 (16): 289-313, 2015

      8 진성희, "온라인 찬반토론 현황 대시보드가 토론 만족도 및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1-61, 2019

      9 이희수, "성인학습에서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21-148, 2010

      10 심승환, "사고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교육문제연구소 (42) : 177-201, 2012

      1 유미나, "학습분석 기반 온라인 토론활동의 시각화 원리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3 (33): 901-941, 2017

      2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북큐브네트웍스 2018

      3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3

      4 한정선,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교수자의 토론촉진전략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도, 사회적 참여도, 만조도와의 관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5-30, 2007

      5 권성연,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2 (42): 55-82, 2011

      6 진성희, "온라인 토론활동 참여정보에 대한 피드백 유형이 학습참여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36 (36): 561-588, 2020

      7 조영환, "온라인 토론 촉진을 위한 피드백의 역할 탐색" 교육연구소 16 (16): 289-313, 2015

      8 진성희, "온라인 찬반토론 현황 대시보드가 토론 만족도 및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1-61, 2019

      9 이희수, "성인학습에서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21-148, 2010

      10 심승환, "사고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교육문제연구소 (42) : 177-201, 2012

      11 진성희,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 지원 피드백 시스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67-893, 2020

      12 진경은, "블로그를 활용한 토론학습이 학습자의 성찰적 사고와 토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장선영, "대학 영문학 토의·토론학습에서 성찰 유형 집단별 학습 결과 분석과 학습 효과 및 제안사항에 대한 질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01-628, 2019

      14 시지현, "논증 스캐폴드를 활용한 문제기반학습이 의대생의 성찰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4 (24): 1-22, 2018

      15 Jin, S., "Using visualization to motivate student participation in collaborati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20 (20): 51-62, 2017

      16 Rizopoulos, L. A., "Using online threaded discussions : Best practices for the digital learner" 37 (37): 373-383, 2009

      17 Mezirow, J., "Transformative learning : Theory to practice" 74 : 5-12, 1997

      18 Mezirow, J., "Transformation theory and cultural context : A reply to Clark and Wilson" 41 (41): 188-192, 1991

      19 Coll, C., "Supporting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teacher feedback on learning content, academic task and social participation" 75 : 53-64, 2014

      20 Fredericksen, E.,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with on-line courses : principles and examples from the SUNY learning network" 4 (4): 7-41, 2000

      21 Ferguson, R., "Social learning analytics: five approaches" 2012

      22 Buckley, F., "Online discussion forums" 10 (10): 402-415, 2011

      23 Swan, K., "On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course discussion" 9 (9): 115-136, 2005

      24 Gao, F., "New model of productive online discussion and i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instruction" 2 (2): 65-78, 2009

      25 Hawkes, M., "Linguistic discourse variables as indicators of reflective online interaction" 20 (20): 231-244, 2006

      26 Rabu, S. N. A., "Levels of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skills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using Google Docs" 64 : 533-541, 2020

      27 이예경, "Learning Outcomes of Online Discussions: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carious Interactions and Higher Order Thinking"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91-221, 2010

      28 Tan, J. P. L., "Learner dashboards a double-edged sword? Students’ sense-making of a collaborative critical reading and learning analytics environment for fostering 21st century literacies" 4 (4): 117-140, 2017

      29 Veletsianos, G., "Instructor experiences with a social networking site in a higher education setting : expectations, frustrations, appropriation, and compartmentalization" 61 (61): 255-278, 2013

      30 Dewey, J., "How we think" D. C. Heath & Co 1910

      31 Thomas, J., "Exploring the use of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in health care education : a literature review" 69 : 199-215, 2013

      32 Meyer, K. A., "Evaluating online discussions : Four different frames of analysis" 8 (8): 101-114, 2004

      33 Xu, B., "Effects of teacher role on student engagement in WeChat-Based online discussion learning" 157 : 103956-, 2020

      34 King, P. M., "Developing reflective judgement: understanding and promoting intellectual growth and critical thinking in adolescents and adults" Jossey-Bass 1994

      35 Kay, R. H., "Developing a comprehensive metric for assessing discussion board effectiveness" 37 (37): 761-783, 2006

      36 Marra, R. M., "Content analysis of online discussion forums : A comparative analysis of protocols" 52 (52): 23-, 2004

      37 Henri, F, "Computer conferencing and content analysis" Springer 117-136, 1992

      38 Weinberger, A., "A framework to analyze argumentative knowledge construc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46 (46): 71-95, 2006

      39 Kember, D., "A four category scheme for coding and assessing the level of reflection in written work" 33 (33): 369-379, 2008

      40 Lim, I., "A comparison of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across different y ears in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39 (39): 171-188,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