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풀러렌 셔틀 소자로 그래핀 나노리본 트렌치 응용에 관한 분자동력학 시뮬레이션 연구 = Application of Graphene Nanoribbon Trench for C60 Fullerene Shuttle Devic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81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position controlling C60 fullerene encapsulated into a graphene-nanoribbon trench via classical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The graphene-nanoribbon trench can provide nanoscale empty spaces, and a C60 encapsulated therein can b...

      We investigated the position controlling C60 fullerene encapsulated into a graphene-nanoribbon trench via classical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The graphene-nanoribbon trench can provide nanoscale empty spaces, and a C60 encapsulated therein can be considered as media for a nanoelectromechanical shuttle device. The classical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presented here provide information on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a graphene-nanoribbon trench in a C60 shuttle device. Driving forces applied to C60 resulted in its motion toward the edges of the graphene-nanoribbon trench, the suction forces induced at both edges were balanced with the driving forces, and finally, the C60 fullerene gradually settled on the edges of the graphene-nanoribbon trench after several oscillat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imulation suggest the importance of graphene-nanoribbon trenches encapsulating fullerenes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nanotechn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그래핀을 이용한 나노전자소자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동력학 시뮬레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그래핀 나노리본 트렌치 구...

      최근 그래핀을 이용한 나노전자소자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동력학 시뮬레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그래핀 나노리본 트렌치 구조를 이용한 풀러렌 분자 셔틀 소자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래핀 나노리본 트렌치 구조는 그 나노미터 규모의 분자 저장이 가능한 공간을 만들 수 있어, 이 공간을 활용하여 나노전기전자소자를 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그래핀 나노리본 트렌치로 흡수된 풀러렌 분자는 외부 작용력의 방향에 따라서 그 위치를 그래핀 나노리본 트렌치 내부에서 조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그래핀 나노리본 트랜체 내부에서 플러렌의 위치 조정으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풀러렌 분자가 그래핀 나노리본 트렌치 내부에서 고랑을 따라서 이동과정에서 다양한 운동에너지 역학이 작용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 나노리본 트렌치에 흡수된 풀러렌 분자는 나노전지전자소자의 오실레이터, 정보저장소자, 센서 등 다양한 첨단 분야에서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연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 Paitya, 1 : 63-, 2012

      2 J. W. Kang, 10 : 1669-, 2013

      3 S-Y. Kim, 50 : 44-, 2013

      4 O. K. Kwon, 47 : 6-, 2013

      5 S-Y. Kim, 54 : 118-, 2013

      6 C. Chen, 4 : 861-, 2009

      7 J. Tersoff, 39 : 5566-, 1989

      8 D. W. Brenner, 42 : 9458-, 1990

      9 Z. Mao, 10 : 273-, 1999

      10 L. Liu, 46 : 6-, 2012

      1 N. Paitya, 1 : 63-, 2012

      2 J. W. Kang, 10 : 1669-, 2013

      3 S-Y. Kim, 50 : 44-, 2013

      4 O. K. Kwon, 47 : 6-, 2013

      5 S-Y. Kim, 54 : 118-, 2013

      6 C. Chen, 4 : 861-, 2009

      7 J. Tersoff, 39 : 5566-, 1989

      8 D. W. Brenner, 42 : 9458-, 1990

      9 Z. Mao, 10 : 273-, 1999

      10 L. Liu, 46 : 6-, 2012

      11 N. Thamwattana, 10 : 665-, 2008

      12 Y. Zhao, 91 : 175504-, 2003

      13 J. W. Kang, 6 : 2347-, 2009

      14 B. I. Yakobson, 85 : 324-, 1997

      15 L. Lou, 52 : 1429-, 1995

      16 A. M. J. C. Neto, 11 : 1237-, 2011

      17 Y. Dai, 1 : 176-, 2008

      18 J. W. Kang, 6 : 2347-, 2009

      19 P. Poncharal, 283 : 1513-, 1999

      20 J. W. Kang, 74 : 107-, 2013

      21 J. Ouyang, 1 : 5118-, 2010

      22 Y. K. Kwon, 82 : 1470-, 1999

      23 W. Y. Choi, 23 : 135-, 2004

      24 H. J. Hwang, 23 : 208-, 2004

      25 J. W. Kang, 23 : 36-, 2004

      26 J. W. Kang, 73 : 4447-, 2004

      27 J. W. Kang, 73 : 1077-, 2004

      28 J. W. Kang, 1 : 199-, 2004

      29 J. W. Kang, 42 : 3018-, 2004

      30 H. J. Hwang, 33 : 317-, 2005

      31 K. R. Byun, 28 : 50-, 2005

      32 J. W. Kang, 25 : 843-, 2005

      33 Y. Chan, 10 : 947-, 2011

      34 R. K. F. Lee, 700 : 85-, 2011

      35 J. W. Kang, 93 : 164-, 2014

      36 A. H. Castro Neto, 81 : 109-, 2009

      37 J. Hicks, 9 : 49-, 2013

      38 S-Y. Kim, 377 : 3136-, 2013

      39 Y-W. Son, 97 : 216803-, 2006

      40 B. W. Smith, 396 : 323-, 1998

      41 S-Y. Kim, 11 : 2125-, 2014

      42 Oh Kuen Kwon,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study on graphene-nanoribbon-resonators tuned by adjusting axial strain" 한국물리학회 13 (13): 360-365, 2013

      43 Jeong Won Kang, "Molecular dynamics modeling and simulation of a graphene-based nanoelectromechanical resonator" 한국물리학회 13 (13): 789-794, 2013

      44 강정원, "Molecular Dynamics Study on the C60 Oscillator in a Graphene Nanoribbon Trench" 한국물리학회 65 (65): 185-18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