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년근로자의 스킬 및 학력 불일치 전환 유형에 따른 임금 및 직무만족도 변화 차이 = Changes in Skill and Educational Qualification Mismatches of Youth Employees: Relationships with Wage and Job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55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의 2005년도(2차년도)부터 2010년도(7차년도)까지의 6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노동시장에 처음 진입하여 3년 이상 ...

      본 논문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의 2005년도(2차년도)부터 2010년도(7차년도)까지의 6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노동시장에 처음 진입하여 3년 이상 재직 상태인 547명을 대상으로 불일치의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 불일치를 극복한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에 개인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입직 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불일치의 비율이 줄고, 일치가 유지되는 비율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력에 따라 스킬불일치 전환유형과 학력불일치 전환유형별 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스킬일치를 유지한 집단이 3년간 임금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스킬 부족에서 일치로 전환한 집단은 증가폭은 상대적으로 적으나 임금 수준은 가장 높았다. 학력과잉을 유지한 집단의 임금 증가폭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확연하게 낮았다. 성별과 근무유형, 근무지역, 학력을 통제한 후 스킬불일치 전환 유형에 따라 임금 증가폭에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불일치 전환 유형에 따라서는 증가폭에 차이가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skill mismatch and qualification mismatch over tim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wage and job satisfaction. Using the data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from 2005 to 2010, data from 547 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skill mismatch and qualification mismatch over tim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wage and job satisfaction. Using the data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from 2005 to 2010, data from 547 youth employees who had been working for three years successively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smatch rate has been decreased as time passes.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for both qualification and skill mismatch states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Regarding w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wage was highest for the group who had maintained skill match, and the wage was highest for the group who had transferred from under-skilling mismatch to match. The rate of increase in wage was the lowest for the group who had maintained over-qualification mismatch. When gender, work type, work area, and education level were controll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rease of wage over time according to the types of changes in skill mismatches on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섭, "학력과잉과 노동시장 불균형 실태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2 김기헌, "하향취업과 전공불일치: 노동시장 결과에 미치는 영향" 4 (4): 27-59, 2010

      3 김기헌, "하향취업 실태와 하향취업 노동자의 특성" 3 : 1-11, 2003

      4 박천수, "청소년의 과잉학력 현상이 인적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199-225, 2004

      5 임언, "청년층의 학력과잉과 스킬불일치 측정 방법 연구(중간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6 박성준, "청년층의 학력과잉 실태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원 2005

      7 채창균,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8 김주섭, "청년층의 고학력화에 따른 학력과잉 실태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5 (5): 1-29, 2005

      9 임언, "청년 여성 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지속 여부와 임금변화 및 직장이동과의 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25-243, 2010

      10 노일경, "직무불일치의 원인 및 임금과의 관계, 불일치에 대한 대응 양상: 전문대졸 여성 신규 취업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1-18, 2009

      1 김주섭, "학력과잉과 노동시장 불균형 실태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2 김기헌, "하향취업과 전공불일치: 노동시장 결과에 미치는 영향" 4 (4): 27-59, 2010

      3 김기헌, "하향취업 실태와 하향취업 노동자의 특성" 3 : 1-11, 2003

      4 박천수, "청소년의 과잉학력 현상이 인적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199-225, 2004

      5 임언, "청년층의 학력과잉과 스킬불일치 측정 방법 연구(중간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6 박성준, "청년층의 학력과잉 실태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원 2005

      7 채창균,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8 김주섭, "청년층의 고학력화에 따른 학력과잉 실태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5 (5): 1-29, 2005

      9 임언, "청년 여성 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지속 여부와 임금변화 및 직장이동과의 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25-243, 2010

      10 노일경, "직무불일치의 원인 및 임금과의 관계, 불일치에 대한 대응 양상: 전문대졸 여성 신규 취업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1-18, 2009

      11 어수봉, "우리나라의 일궁합 실태와 노동이동(I): 교육수준 측면의 일궁합 분석을 중심으로" 17 (17): 89-124, 1994

      12 김종성, "대졸청년층 일자리이동과 하향취업탈출" 2011

      13 신선미, "대졸 청년층 하향취업자의 하향취업 상태 변화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13): 47-66, 2010

      14 신선미, "대졸 청년층 하향취업의 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21, 2008

      15 김기헌, "교육과 직무의 불일치―한․일 대학졸업자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51-77, 2005

      16 Groot, W, "The incidence of, and returns to overeducation in the UK" 28 : 1345-1350, 1996

      17 Duncan, G, "The incidence and wage effects of overeducation" 1 : 75-86, 1981

      18 Tsang, M, "The Economics of Overeducation" 4 : 93-104, 1985

      19 Vallas, S. O, "The Concept of Skill: A critical Review" 17 : 379-398, 1990

      20 CEDEFOP, "Skill mismatch: The role of the enterprise. Cedefop Research papers" Publications Office 2012

      21 Sloane, P. J, "Overeducation, Undereducation and the British Labour Market" 31 : 1437-1457, 1999

      22 Sicherman, N, "Overeducation in the labor market" 9 : 101-122, 1991

      23 OECD, "OECD Employment Outlook 2011" OECD Publishing 2011

      24 Sloane, P.J, "Much ado about nothing? What does the overeducation literature really tell us, In Overeducation in Europe, Current Issues in Theory and Policy" Edward Elgar 11-45, 2003

      25 Alba-Ramirez, A, "Mismatch in the Spanish Labor Market: Overeducation?" 28 (28): 259-278, 1993

      26 Wolbers, M.H.J, "Job mismatches and their labor-market effects among school-leavers in Europe" 19 (19): 249-266, 2003

      27 Dolton, P, "Incidence and effects of overeducation in the UK graduate labor market" 19 : 179-198, 2000

      28 "Http:// keep.krivet.re.kr"

      29 McGuinness, S, "Graduate Overeducation as a Sheepskin Effect: Evidence from Northern Ireland" 35 : 597-608, 2003

      30 Allen, J, "Educational mismatch versus skill mismatch: effects on wages, job satisfaction, and on-the-job search" 3 : 434-452, 2001

      31 OECD, "Better Skills, Better Jobs, Better Lives: A Strategic Approach to Skills Policies" OECD Publishing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