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도심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광역시 주거유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25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capital, which is accumulated through the interactions of various community members, is coming to the forefront in research on urban renewal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It is currently under focus in the field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urb...

      Social capital, which is accumulated through the interactions of various community members, is coming to the forefront in research on urban renewal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It is currently under focus in the field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urban planning due to its relation with residential quality of life. However, until now, the majority of research on social capital in those fields has been studies either measuring its influences in multi-dwelling units (MDUs) or comparing social capital vis-a-vi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DUs.
      This paper states that social capital is necessary in bringing residents into a cooperative planning process in order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community projec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democratic governa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duce and compare the key factors of social capital’s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various types of housing (MDUs, single-family housing), and to infer forms social capital can take, and the ways to measure them.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network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influence, as the expansion of social capital depends on it. Second, because social capital uses public trust as its basis, community access is necessary to the expansion of social capital. Third, social capital based on open networks is characterized by participation in groups that tend towards vertical relationships and by passive participation. Fourth, participation in groups tending towards horizontal relationships is characteristic of social capital based on closed networks, and forms of active participation emerg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분석모형 설계
      • 4. 실증분석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분석모형 설계
      • 4. 실증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8 (8): 47-, 2006

      2 김종미, "중산층부부의 여성주의 정치학과 사회 자본 창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3 진정수,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국토연구원 30-35, 1998

      4 노정민, "주거지 재생사업에서 일상활동과 계획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3

      5 신은진, "전게서" 21-, 2012

      6 천지영, "전게서" 33-34, 2010

      7 임병호,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심 기능 회복 방안" 대전발전연구원 11-, 2005

      8 문경복, "원도심 기능강화를 위한 고찰" 33 (33): 197-, 2013

      9 최용부, "아파트 주거만족도의 구성요소와 관련 요인 분석 : 가중치 부여방법을 이용한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5

      10 신상영, "서울시 주거환경의 질 지표와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5-39, 2008

      1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8 (8): 47-, 2006

      2 김종미, "중산층부부의 여성주의 정치학과 사회 자본 창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3 진정수,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국토연구원 30-35, 1998

      4 노정민, "주거지 재생사업에서 일상활동과 계획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3

      5 신은진, "전게서" 21-, 2012

      6 천지영, "전게서" 33-34, 2010

      7 임병호,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심 기능 회복 방안" 대전발전연구원 11-, 2005

      8 문경복, "원도심 기능강화를 위한 고찰" 33 (33): 197-, 2013

      9 최용부, "아파트 주거만족도의 구성요소와 관련 요인 분석 : 가중치 부여방법을 이용한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5

      10 신상영, "서울시 주거환경의 질 지표와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5-39, 2008

      11 신은진, "서울시 아파트단지의 주거환경 유형별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2

      12 박재길, "살고싶은 도시만들기와 도시계획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16-18, 2006

      13 정연택, "사회정책연구의 분석틀로서의 사회적 자본 가능성과 관계" 사회과학연구 301-, 2003

      14 주 덕, "사회적 자본이 지방자치단체의 공익적 관광개발사업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2014

      15 서순탁,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도시계획의 역할과 과제 : 접근방법과 정책적 함의" 국토연구원 33 : 5-87, 2002

      16 장시준, "사회자본의 개념과 교욱적 시사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 2006

      17 한상미,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7

      18 김상준,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한국사회학회 38 (38): 63-95, 2004

      19 노춘희, "도시학개론" 형설출판사 1993

      20 천지영, "도시지역 주거 유형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비교 분석" 서울시립대 2010

      21 김창석, "도시중심부 연구" 보성각 2000

      22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 분석 방법론" 21세기사 2011

      23 고은정, "근린환경이 사회적 다양성과 동네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2014

      24 김선희, "국토관리분야의 사회적 자본 확충 방안(1)" 국토연구원 2-, 2008

      25 김광우, "광주도시계획사" 광주광역시 2011

      26 박선홍, "광주 1백년" 심미안 2012

      27 서종녀, "공동주택단지 유형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련성" 중앙대학교 2008

      28 김봉준, "공동주택 단지의 주거환경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40 : 147-166, 2007

      29 이희연, "고급 통계분석론" 법문사 2012

      30 Bourdieu, "le capital" 31 : 2-3, 1980

      31 Fukunama, F, "Trust : the Social Val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Free Press 1995

      32 Granovertter, M, "The Strength of Weak Ties" 78 : 1360-1380, 1973

      33 Jacobs.j, "The Death of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Random House 1961

      34 Alder, Paul S, "Social Capital: Prospects For a New Concept, Academy of Management" 27 : 21-22, 2002

      35 Coleman, J,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41 (41): 999-1023, 1988

      36 Lin, N, "Social Capit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7 홍종선, "SAS/SPSS와 다변량 자료분석" 자유아카데미 2012

      38 홍종선, "SAS/SPSS와 다변량 자료분석" 자유아카데미 31-, 2012

      39 Coleman, J, "Foundation of Social Theo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40 김광우, "20세기초 광주시가지형성에 관한 계획사연구" 29 (29): 125-146,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15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