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xploration on Autobiographical Discoveries from Creative Work based on Hooded Crane Dancing = 흑두루미춤을 토대로 한 창작 활동에서 나타나는 자전적 발견에 관한 탐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1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practice of using hooded crane dancing as an aesthetic and spiritual journey towards creative experiences through a gradual understanding of hooded cranes. I first became involved in individual and group performances that obser...

      This paper explores the practice of using hooded crane dancing as an aesthetic and spiritual journey towards creative experiences through a gradual understanding of hooded cranes. I first became involved in individual and group performances that observed and mimicked hooded cranes via video clips. A documentary film on the hooded crane (Doori) played a strong role in increasing my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ecology of the Suncheon bay wetland conservation area, including hooded cranes. As I became more immersed in my performances, I became more adept at particular movements and reached the level of doing choreography work on my own.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investigate how I was able to reveal my inner self while searching for ideas, modifying story-lines, selecting music, doing choreography and performing a final piece on stage.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September 2014 and May 2016, including field notes, reflective memo taking, photos, video clips and self-recollections. After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 was able to grasp almost 13 aspects related to creative work following Root-Bernstein (Root-Bernstein & Root-Bernstein, 1999). As a professor/researcher/artist, I enjoyed playing with my ideas and body movements, heavily shaped by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my understandings on hooded cranes. I also needed to transform existing resources and carefully select an appropriate piece of music for my choreography work by coming up with images or abstract concepts. The course of this journey inwards, enabled by my intimate contact with the world of the Hooded Crane was uplifting, aesthetically and spiritually. Additionally, the course of the journey toward my own creative space in the Suncheon wetlands, where I existed in harmony with the Hooded Crane, lifted my spirit up and allowed me to reach a better place, aesthetically and spiritu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순천만의 흑두루미를 주제로 한 몸짓과 춤을 만들어 가는 대학 교수의 자전적 사례에서 창의적 활동이 나타나는 양상을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순천만 야외에서 흑두루미를 관찰...

      이 논문은 순천만의 흑두루미를 주제로 한 몸짓과 춤을 만들어 가는 대학 교수의 자전적 사례에서 창의적 활동이 나타나는 양상을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순천만 야외에서 흑두루미를 관찰하고 모방하는 활동을 자발적으로 하면서 점점 순천만 과 흑두루미에 대한 관심을 더 갖게 되었다. 2013년 이후부터 개인 또는 동아리 형태의 공연 활동을 전개하면서 흑두루미에 대한 관찰과 모방을 통한 놀이 활동이 몸짓에 관한 형상화 작업으로 발전되어 나갔다. 특히, 순천만에서 실제 일어난 흑두루미 두리의 이야기를 접목하여 몸짓을 통하여 두리의 입장에서 험난한 과정을 헤쳐나가게 된 구체적인 몸짓을 형상화 시키고 흑두루미의 동작에서 패턴의 인식하여 형상을 만들어 나가는 안무작업을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 ‘나’는 창작에 관한 구상, 스토리 전개, 음악, 안무 및 시연에 이르기까지 과정에서 경험한 내면의 상태를 토대로 창의성의 발현에 관한 지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부터 2016년 5월 사이에 걸쳐 창작 과정에 관한 현장 노트, 성찰 메모, 사진, 동영상 및 자전적 기억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자료 분석과 해석 작업을 거쳐 창의적 사고에 뛰어난 인물들을 연구한 Root-Bernstein이 제시한 13개의 창의적인 측면(Root-Bernstein & Root-Bernstein, 1999)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나는 흑두루미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흑두루미의 몸짓에서 패턴을 추출하여 변형하거나 추상적인 이미지 작업으로 나아갔다. 이 자전적 사례는 순천만습지에서 흑두루미와 인간이 서로 조화스럽게 살아가는 공감각적 관점에서 다양한 방식의 앎과 느낌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창작춤 활동을 전개해 나감으로써 자신을 심미적이고 영적으로 고양시키게해 줌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n excursion into breading meditation and martial arts movements
      • Performing “bird movements” with foreign university students
      • Creative work with schoolchildren and teachers
      • Hooded crane dancing
      • Reflection on creative work for hooded crane dancing
      • An excursion into breading meditation and martial arts movements
      • Performing “bird movements” with foreign university students
      • Creative work with schoolchildren and teachers
      • Hooded crane dancing
      • Reflection on creative work for hooded crane danc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