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거리에서 개입하기 : 광주지역 성매매 청소녀 지원활동을 중심으로 = Intervention on the streets : Focusing on changes in the support system and activity for teenage prostitutes in Gwa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9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asks of the support system for prostitution juveniles in the Gwangju area, and further analyze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1318 Soft Hideo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jit’) activity, w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asks of the support system for prostitution juveniles in the Gwangju area, and further analyze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1318 Soft Hideo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jit’) activity, which was started as an activity of an anti-prostitution women’s group.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hanges and limitations of the support system centered on local awareness and governments, centered on the 2000s, when the problem of prostitution among teenage women became visible. Second, the case of Ajit in Gwangju, which was prepared as an intervention program to support teenage prostitutes, was reviewed. The local community has established a support system focused on the protection and control of teenage prostitutes. In particular, in that prostitution of young women is being conducted in the process of collective life of peer groups in jjokbang villag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way to support young women's prostitution an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it.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essential services, on-site support programs and suggests that an integrated community support system plan should be prepared from a gender perspective to support teenage prostitu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광주지역의 성매매 청소녀를 지원하는 체계를 검토하고, 나아가 반성매매 여성단체의 활동으로 시작된 ‘1318뽀송뽀송 아지트’(이하, 아지트) 활동의 의미와 한계를 분석...

      이 연구의 목적은 광주지역의 성매매 청소녀를 지원하는 체계를 검토하고, 나아가 반성매매 여성단체의 활동으로 시작된 ‘1318뽀송뽀송 아지트’(이하, 아지트) 활동의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녀의 성매매 문제가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지역에서의 청소녀 성매매인식과 행정지원체계의 변화를 살폈다. 두 번째, 성매매 청소녀를 지원하기 위해 여성단체에서 기획한 아지트의 주요 활동 사례를 검토하였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운영되었던 아지트는 당시 지역에서 쪽방촌으로 알려진 광주 동구 금동지역에 설립되었으며, 아지트를 중심으로 성매매 청소녀를 발굴하고 생계지원을 하였다. 지역에서 성매매 피해 청소녀에 대한 보호와 범죄예방에 집중된 지원체계 속에서, 쪽방촌에 거주한 십대들에 대한 생계지원과 아웃리치 등 거리에서 직접 개입하는 과정은 필수적인 사회적 지원(긴급구호, 의료지원 등)이외에 새로운 거주 지원서비스의 필요를 보여준다. 특히 쪽방촌내에서 또래 집단이 집단적으로 함께 생활하는 과정에서 청소녀 성매매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청소녀의 성매매를 지원하는 방식과 이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에 이 연구는 성매매 형태의 다변화 속에서도 현장형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성매매 청소녀를 지원하는 성인지적인 통합형 지역사회 지원체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해수 ; 류진아, "학교 기반의 위기청소년 통합지원모형 개발" 한국상담학회 8 (8): 1205-1221, 2007

      2 한겨레신문, "티켓다방서 차배달 시키지 맙시다"

      3 최은지 ; 조아미, "탈성매매 청소년의 삶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3 (23): 83-111, 2021

      4 장수정 ; 정재훈, "탈성매매 여성의 자활지원에 대한 여성주의적 함의: 탈성매매 여성을 위한 사회적 경제조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4 (14): 35-73, 2014

      5 성윤숙, "청소년의 인터넷성매매 유입실태와 탈성매매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91-104, 2012

      6 구차순 ; 김현옥, "청소년의 성매매 유입과정과 지속배경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97-126, 2019

      7 박찬걸, "청소년성매매 예방 및 피해지원 관련 법령에대한 검토" 한국소년정책학회 28 (28): 33-57, 2015

      8 한겨레신문, "청소년 유혹하는 유해환경 추방을"

      9 박성수, "청소년 성매매의 현황과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6 (6): 123-149, 2004

      10 민가영, "청소년 성매매 행위의 ‘자발성’과 그 맥락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한 성매매 청소년의 자발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73-202, 2009

      1 권해수 ; 류진아, "학교 기반의 위기청소년 통합지원모형 개발" 한국상담학회 8 (8): 1205-1221, 2007

      2 한겨레신문, "티켓다방서 차배달 시키지 맙시다"

      3 최은지 ; 조아미, "탈성매매 청소년의 삶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3 (23): 83-111, 2021

      4 장수정 ; 정재훈, "탈성매매 여성의 자활지원에 대한 여성주의적 함의: 탈성매매 여성을 위한 사회적 경제조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4 (14): 35-73, 2014

      5 성윤숙, "청소년의 인터넷성매매 유입실태와 탈성매매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91-104, 2012

      6 구차순 ; 김현옥, "청소년의 성매매 유입과정과 지속배경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97-126, 2019

      7 박찬걸, "청소년성매매 예방 및 피해지원 관련 법령에대한 검토" 한국소년정책학회 28 (28): 33-57, 2015

      8 한겨레신문, "청소년 유혹하는 유해환경 추방을"

      9 박성수, "청소년 성매매의 현황과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6 (6): 123-149, 2004

      10 민가영, "청소년 성매매 행위의 ‘자발성’과 그 맥락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한 성매매 청소년의 자발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73-202, 2009

      11 전남일보, "청소년 성매매 뿌리뽑자"

      12 변혜정 ; 민가영, "청소녀의 가출의미에 대한 연구-계급정체성에 따른 성역할과 성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3 (23): 5-37, 2007

      13 윤선미 ; 이나영, "청소녀의 가출 후 경험 연구: 경계들 사이의 생존 지대를 찾아" 한국여성학회 28 (28): 119-171, 2012

      14 김고연주, "조금 다른 아이들, 조금 다른 이야기: 십대 여성들의 성매매경험과 치유에 관한 기록" 이후 2011

      15 김은정, "저소득층 십대 여성의 성매매 유입/재유입을 통한 사회화 과정 분석: ‘구조’와 ‘행위’ 간 이중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22) : 271-321, 2013

      16 김은정, "저소득층 성매매 십대여성들의 성매매와 사회화 과정에 대한 일 연구: 통상적인 ‘청소년 사회화 과정’에 대한 재고(再考)를 논의하며" 한국가족학회 22 (22): 31-72, 2010

      17 남정림, "인테넷 청소년 성매매의 특성과 행위자 전략에 관한 성문화적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01-320, 2004

      18 공미혜, "여성청소년의 성적 권리와 복지" 신정출판사 2009

      19 김송이, "아르바이트를 통해 본 청소녀의 노동 경험 연구 ― 젠더, 계층, 연령의 경계 넘기와 갈등" 한국여성연구소 17 (17): 99-144, 2017

      20 장명선, "아동・청소년 성매매 실태 및정책개선방안" 젠더법학연구소 10 (10): 111-147, 2018

      21 조주은,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법률상의 대상아동청소년의 보호지원체계 실태 및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7

      22 정현미, "아동ㆍ청소년 성매매 환경 및 인권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ㆍ국가인권위원회 2016

      23 김혁, "아동·청소년의 성매매 현황과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학회 29 (29): 67-90, 2017

      24 민가영, "십대 성매매 대응 방식과 신자유주의적 통치성: ‘대상아동‧청소년’ 범주에 내재한 신자유주의적 질서 비판과 향후 피해자 지원 방향에 관한 모색" 여성학연구소 14 (14): 7-41, 2021

      25 김주희, "성산업 공간인 티켓 영업 다방 내 십대 여성의 "일"에 관한 연구" 14 (14): 133-180, 2006

      26 홍봉선 ; 남미애, "성매수피해청소년의 욕구와 사회적 지원방안"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1-33, 2010

      27 이현숙, "성매매(성착취 목적의 인신매매) 피해 청소년의 권리증진을 위한 보호지원시스템 강화 방안에 대하여" 2017

      28 최승희, "성매매 피해 청소년의사이버또래상담원 활동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4) : 157-186, 2018

      29 김연주, "성매매 피해 십대 여성들의 자활을 위한 쉼터의 역할과 위치 모색: A 쉼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0 (30): 123-160, 2014

      30 김민영 ; 강동욱, "성매매 아동・청소년 보호를 위한 법제도 검토와 개선방안 - 청소년성보호법을 중심으로" 한양법학회 29 (29): 1-30, 2018

      31 강지명, "성매매 아동․청소년 처우의 현황과 개선방안" 아시아교정포럼 7 (7): 165-192, 2013

      32 김고연주, "성매매 경험이 있는 십대 여성들의 인권 침해 사례 연구" 5.18연구소 11 (11): 189-215, 2011

      33 김연주, "성매매 경험이 있는 십대 여성들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 폐쇄적인 사회 관계망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연구소 11 (11): 239-273, 2011

      34 배화정, "서울시 <위기 십대여성 전용 일시쉼터> 운영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82-111, 2014

      35 민가영, "생존의 개인화 시대에십대 가출 여성의 자기 보호" 한국여성연구원 34 (34): 29-59, 2017

      36 "빅카인즈뉴스검색포털"

      37 오마이뉴스, "미성년자 천국 광주, 오명 벗겠다"

      38 박찬걸, "랜덤채팅을 통한 청소년 성매매의 효과적인 대응방안" 한국소년정책학회 30 (30): 59-114, 2017

      39 "국가통계포털_광주경찰청통계 검색"

      40 김지연, "가출청소년 보호지원 실태 및 정책과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41 추주희, "‘탈가정’ 십대의 주거 형태와 공간의 (재)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5.18연구소 16 (16): 89-126, 2016

      42 한국여성인권진흥원, "2017년 자치단체성매매방지 및 피해자 지원정책사례집" 여성가족부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생명문화연구원 -> 생명문화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3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