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Mental Map과 Space Syntax를 활용한 가로환경 과 공간인지의 연관성 분석 - 신촌, 홍대, 왕십리 대학가 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et Environment and Spatial Cognition Using Mental Map and Space Syntax - Focused on the University Districts of Sinchon, Hongdae and Wangsimni Areas in Seoul,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47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Kevin Lynch’s components of city image as well as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case study area and university stu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using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districts in Seou...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Kevin Lynch’s components of city image as well as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case study area and university stu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using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districts in Seoul, Korea. The analytical data were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field survey from university students. The primary methods included mental map, space syntax,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at Kevin Lynch’s components of city image and spatial configuration of a case study area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Second, the brand shop density, which includes commercial land uses on streets,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effect of the brand shop on spatial cogni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ercial uses. Food and beverage and retail facilities, which had frequent visits compared to other commercial us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Finally, the total integration of a space syntax variable was significant in all models,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the case study areas in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대학가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케빈 린치의 도시 이미지구성요소와 사례지역의 공간구조가 대학생들의 가로 공간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대학가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케빈 린치의 도시 이미지구성요소와 사례지역의 공간구조가 대학생들의 가로 공간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사례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현상조사를 통해 구득하였다. 분석방법은 멘탈맵, 공간구문론, 그리고 음이항 회귀분석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케빈 린치가 제시한 도시 이미지 구성 요소와 가로공간의 물리적 환경이 응답자들의 가로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로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상업시설인 브랜드 상점 밀도는 도시 이미지 구성 요소와 더불어 가로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업시설의 업종에 따라 응답자들의 공간인지에 미치는 영향이상이함을 확인하였다. 다른 업종에 비해 방문횟수가 잦은 식음료 및 소매 업종들이 가로 인지와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간구문론 변수인 전체 통합도는 모든 모형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가로 공간 인지에서 가로의 위상학적 구조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내영, "신도시 공간 이미지 인지에 관한 분석- 분당 신도시 5개 생활권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0 (10): 75-88, 2009

      2 임하나, "상업시설의 다양성과 가로활력과의 관련성 실증분석 - 서울시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을 구분하여" 한국도시설계학회 18 (18): 37-49, 2017

      3 유승준, "상업가로활성화를 위한 보행환경요소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4 임유경, "상업가로변 건축물 저층부 및 전면공간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제도 개선연구" 건축도시공간 연구소 2014

      5 문서영, "도시광장의 접근기회 분석을 통한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영빈, "대상지역의 공간의 명료성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영욱, "공간형태와 공간인식의 상호관련성 연구" 16 (16): 37-44, 2000

      8 정수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적용한 울산시 도시 공간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3 (13): 195-208, 2014

      9 Dalton, RC, "The syntactical image of the city: a reciprocaldefinition of spatial elements and spatial syntaxes" 2003

      10 Hillier, B,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Press 1984

      1 안내영, "신도시 공간 이미지 인지에 관한 분석- 분당 신도시 5개 생활권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0 (10): 75-88, 2009

      2 임하나, "상업시설의 다양성과 가로활력과의 관련성 실증분석 - 서울시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을 구분하여" 한국도시설계학회 18 (18): 37-49, 2017

      3 유승준, "상업가로활성화를 위한 보행환경요소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4 임유경, "상업가로변 건축물 저층부 및 전면공간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제도 개선연구" 건축도시공간 연구소 2014

      5 문서영, "도시광장의 접근기회 분석을 통한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영빈, "대상지역의 공간의 명료성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영욱, "공간형태와 공간인식의 상호관련성 연구" 16 (16): 37-44, 2000

      8 정수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적용한 울산시 도시 공간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3 (13): 195-208, 2014

      9 Dalton, RC, "The syntactical image of the city: a reciprocaldefinition of spatial elements and spatial syntaxes" 2003

      10 Hillier, B,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Press 1984

      11 Long, Y, "The role of space syntax in spatialcognition" 2007

      12 Lynch, K,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960

      13 Lee C, "The 3Ds+R : quantifying land use and urban formcorrelates of walking" 11 : 204-215, 2006

      14 Tversky, B, "Structures of mental spaces: how people think aboutspace" 35 (35): 66-80, 2003

      15 Golledge, RG, "Spatial behavior: a geographic perspective" Guilford 1997

      16 Baran, PK, "Space syntax and walking ina New Urbanist and suburban neighborhoods" 13 (13): 5-28, 2008

      17 Penn, A, "Space syntax and spatial cognition or why the axial line?" 35 (35): 30-65, 2003

      18 Ratti, C, "Space syntax : some inconsistencies" 31 (31): 487-499, 2004

      19 Hillier, B, "Space is the machine: a configurational theory of architecture" Space Syntax 2007

      20 Hillier, B,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21 Jiao, J, "Revisiting image of the city incyberspace : Analysis of spatial Twitter messages during a special event" 25 (25): 65-82, 2018

      22 Hillier, B, "Natural movement: or. configuration and attraction inurban pedestrian movement" 20 (20): 29-66, 1993

      23 Devlin, AS, "Mind and maze: spatial cognition and environmental behavior" Praeger 2001

      24 이훈, "Mental Map 을 이용한 도시환경의 이미지 인지에 관한 연구 -청주시를 중심으로" 27 (27): 37-52, 2008

      25 Batty, M, "Local movement:Agent-based models of pedestrian flow" Centre for Advanced Spatial Analysis,University College London 1998

      26 Kim, Y., "Linking the spatial syntax of cognitive maps to thespatial syntax of the environment" 36 (36): 483-504, 2004

      27 신순용, "Kevin Lynch의 도시 이미지 이론을 적용한 홍대주변지역 개선 방안"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6

      28 Bosselmann, P, "Kevin Lynch and his legacy on teaching professionalplanners and designers" 84 (84): 284-292, 2018

      29 Portugali, J, "Geography, environment and cognition : an introduction" 23 (23): 107-109, 1992

      30 Couclelis, H, "Exploring the anchor-point hypothesis of spatialcognition" 7 (7): 99-122, 1987

      31 Norberg-Schulz, C, "Existence, space & architecture" Praeger 1971

      32 O’Neill, MJ, "Evaluation of a conceptual model of architectural legibility" 23 (23): 259-284, 1991

      33 Cerin, E, "Destinations that matter-associations with walking fortransport" 13 (13): 713-724, 2007

      34 Lee, S, "Combining space syntax with GIS-based builtenvironment measures in pedestrian walking activity" 2013

      35 Stea, D, "Behavioral Problems in Geography" Northwestern University 228-253, 1969

      36 Filomena, G, "A computational approach to‘The Image of the City’" 89 : 14-25, 2019

      37 이우상, "'Kevin Lynch'의 대학 캠퍼스 주변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신촌. 연세대학교 주변 가로환경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45-61,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