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회화를 통한 실재의 추구 - 일본 트릭아트와 한국 극사실 회화 = The pursuit of the Real by the painting : Japanese Trick Art and Korean Hyperre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3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define the true meaning of “Korean Hyperrealism” in Korean art history by relating it to contemporary Japanese Trick Art. The recent research which unveiled the influence of the Junjo Ishiko and the Genshoku group of Shizuoka o...

      This paper tries to define the true meaning of “Korean Hyperrealism” in Korean art history by relating it to contemporary Japanese Trick Art. The recent research which unveiled the influence of the Junjo Ishiko and the Genshoku group of Shizuoka on the Monoha allows us to reason that Japan Trick Art has influnced both Dansaekhwa and Korea Hyperrealism via Ufan Lee.
      Pop art came out of the overflow of media images in Consumer Society and Trick Art appeared by criticizing the Western Modernist Thoughts and Arts. But in the early 1970’s, Korea was different from the West and Japan as it was still pursuing Western Modernity and thus could not yet criticize it. Owing to this difference, when Ufan lee introduced Trick Art to Korean artists, they understood it in an overly simplified way: as a dichotomy of Reality and Image in Dadaism and Surrealism. And they read the photographic description of hyperrealism in a similar way as the traditional portrait painting technic called ‘Jeon-Shin-Sa-Jo(傳神寫照)’; that a portrait painting must depict not only the physical form, but the spirit that embodies it as well.
      As an answer to the Pop Art‘s and Trick Art‘s question regarding whether painting can represent reality, Monoha artists sought to face the reality of the things through presenting things in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Korea Dansaekhwa painters tried to understand how the universe works through repetitive and rather simple actions on the picture plane just as Confucian scholars had trained themselves by repeating same brush strokes. But Korean Hyperrealism painters adhered to the belief that painting can represent the reality by detailed and photographic manual description. Korean painters were conscious of the contemporary issues and understood it in their own way. But they also got to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Modernism, precisely what reality is and what Art or Painting is. And they found their own solution within painting unlike their contemporaries in the West and Jap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단색화 이후 나타난 한국의 극사실 회화를 동시대 일본의 트릭아트와 연결하여 고찰함으로써 그 미술사적 의의를 재정의한다. 최근 이시코 준조(石子順造) 및 그가 이끈 겐쇼쿠(...

      본 논문은 단색화 이후 나타난 한국의 극사실 회화를 동시대 일본의 트릭아트와 연결하여 고찰함으로써 그 미술사적 의의를 재정의한다. 최근 이시코 준조(石子順造) 및 그가 이끈 겐쇼쿠(幻觸) 그룹과 모노하의 영향관계가 밝혀지면서, 트릭아트는 모노하와 이우환을 경유하면서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단색화와 극사실 회화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고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 극사실 회화는 이우환을 통해 서구 팝아트와 일본의 트릭아트의 문제의식이 소개된 이후, 근대비판에 기반한 동시대의 문제의식을 다다와 초현실주의라는 기왕의 사조에서 나타났던 실재와 이미지라는 단순한 이분법으로 소화한 후, 동시대의 하이퍼리얼리즘 기법을 전통 초상화 기법의 논리로 수용해서 대처한 것으로 다소 단순하게 도식화시킬 수 있다. 그 점에서 극사실 회화는 선진국의 사회발전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후발국에서 선진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혼성성을 다양한 수준과 방식으로 드러낸다.
      동일한 동시대의 문제의식에 대해서 일본은 모노하를 통해 회화, 즉 이미지를 벗어난 실재의 대면을 추구했다. 그에 반해 한국의 단색화는 실재의 재현을 회화의 단순반복적인 행위를 통해서 물아일체라는 세계의 이치를 깨닫는 것으로, 그리고 극사실 회화는 격물치지(格物致知)라는 사물의 이치를 구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실행했다. 이와 같은 전통적 사유 속에서 실재의 구현은 이치에 대한 깨달음이었으므로 이들은 서구나 일본과 같이 외적 사물의 제시로 나갈 필요를 느끼지 못했고, 회화면 위에 머물렀다. 그런데 단색화와 극사실화 모두 1970년대 근대화과정에 있어서의 근면한 노동자의 노동조건을 자신의 작업에서 내면화하고 있었다. 이렇게 표현행위를 주제화하면서, 당시 우리 화가들은 소비사회에 진입한 서구와 일본의 동시대 미술의 문제의식을 공감할 수는 없었지만, 적어도 실재란, 회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모더니즘의 가장 근원적인 물음에 도달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경, "한국현대미술자료(1960-70년대)약사-메타크리틱의 의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6 : 2002

      2 오상길, "한국현대미술 다시 읽기 Ⅲ-70년대 단색조 회화의 비평적 재조명 Vol. 1" ICAS 2003

      3 오상길, "한국현대미술 다시 읽기 Ⅱ-6, 70년대 미술운동의 자료집 Vol. 1" ICAS 2001

      4 윤난지, "한국 극사실화의 ‘사실성’ 담론"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4 : 2000

      5 국립현대미술관, "탄생 100주년 기념 곽인식"

      6 "카마쿠라갤러리 홈페이지"

      7 허욱, "중국에서의 기술에 대한 물음" 새물결 2019

      8 강태희, "이우환과 70년대 단색 회화" 현대미술사학회 (14) : 135-160, 2002

      9 이태호, "옛 화가들은 우리 얼굴을 어떻게 그렸나" 생각의 나무 2008

      10 장진성, "사실주의의 시대: 조선 후기 회화와 ‘즉물사진(卽物寫眞)’"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4) : 6-29, 2014

      1 김미경, "한국현대미술자료(1960-70년대)약사-메타크리틱의 의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6 : 2002

      2 오상길, "한국현대미술 다시 읽기 Ⅲ-70년대 단색조 회화의 비평적 재조명 Vol. 1" ICAS 2003

      3 오상길, "한국현대미술 다시 읽기 Ⅱ-6, 70년대 미술운동의 자료집 Vol. 1" ICAS 2001

      4 윤난지, "한국 극사실화의 ‘사실성’ 담론"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4 : 2000

      5 국립현대미술관, "탄생 100주년 기념 곽인식"

      6 "카마쿠라갤러리 홈페이지"

      7 허욱, "중국에서의 기술에 대한 물음" 새물결 2019

      8 강태희, "이우환과 70년대 단색 회화" 현대미술사학회 (14) : 135-160, 2002

      9 이태호, "옛 화가들은 우리 얼굴을 어떻게 그렸나" 생각의 나무 2008

      10 장진성, "사실주의의 시대: 조선 후기 회화와 ‘즉물사진(卽物寫眞)’"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4) : 6-29, 2014

      11 전유신, "박서보의 1960년대 작업 연구: 프랑스 체류 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학회 (42) : 93-118, 2017

      12 국립현대미술관, "박서보 : 지칠줄 모르는 수행자"

      13 이승현, "물질과 행위로 보는 단색화의 기원과 차이" 현대미술사학회 (46) : 85-110, 2019

      14 이우환, "만남을 찾아서" 학고재 2011

      15 윤난지, "단색조 회화운동 속의 경쟁구도: 박서보와 이우환" 현대미술사학회 (32) : 251-284, 2012

      16 "다음 백과"

      17 中原佑介, "中原佑介美術批評選集〈第3巻〉前衛のゆくえ―アンデパンダン展の時代とナンセンスの美学" 現代企画室 2012

      18 尾野 正晴, "トリックス アンド ヴィジョン ヌスマレタ メ テン ニ ツイテ" 静岡文化芸術大学 2 : 2002

      19 Mika Yoshitake, "Tokyo 1955-1970: A New Avant Garde" MoMA 2012

      20 Alexandra Monroe, "Lee Ufan: Marking Infinity" Guggenheim Museum 2011

      21 Miyakawa Atsushi, "From Postwar to Postmodern: Art in Japan 1945-1989" MoMA 2012

      22 千葉雅也, "<實在>の時代の思想と病理" 靑年社 47 (47): 2019

      23 本阿弥淸, "<もの派>の起源" 水声社 2016

      24 김현화, "1970~1980년대 한국 극사실화: 이미지와 실재의 간극, 장 보드리야르의 하이퍼리얼 담론으로 읽기" 한국미술연구소 (31) : 169-19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근대미술사학회 ->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Modern Art Studies -> Association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KCI등재
      2008-01-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근대미술사학 ->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Art History ->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Art History KCI등재후보
      2005-05-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1집 -> 한국근대미술사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1.029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