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터넷을 통한 남북통일교육에 대한 소고 = The Education for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by the Internet - On the base of educational support law for reunific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652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8년 현 정부 이전의 정부가 추진해 온 남북한의 화해협력정책은 교류협력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초를 놓았고 동시에 평화위협을 제거하는 잠정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현 정부는 ...

      2008년 현 정부 이전의 정부가 추진해 온 남북한의 화해협력정책은 교류협력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초를 놓았고 동시에 평화위협을 제거하는 잠정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현 정부는 화해협력정책의 연장선상에서 한반도의 평화 증진과 남북의 공동번영을 통해 평화통일의 기반을 마련하는 평화번영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00년 6월과 2007년 10월 남북한 정상회담 이후 사회적 현상으로써 인터넷에 김정일을 형상화한 캐릭터가 돌아다니는 등 예전에는 상상하기 힘든일들이 대수롭지 않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이러한 관심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면서 하나의 문화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제 우리는 과거 일방적인 통일에 대한 기대와 이에 따른 통일교육도 이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는데,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에서 통일문제에 대해 다양한 인식과 견해들이 표출되고있다.이러한 국민들의 의식을 하나로 통합하고자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안으로 우리는 인터넷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안인 인터넷의 활용은 대중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프로그램 내용의 질적 변화와 방법적 변화의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 이다. 사이버를 활용한 통일교육은 정보화 시대에 가장 적합한 교육으로 더욱 큰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본다. 즉 인터넷을 통한 통일교육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이므로 순기능적 측면을 최대한 이용
      한다면 어떠한 정보 매체보다도 가장 활용도가 높고 오늘날 이 시대에 부합하는 교육방법 중의 하나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icy for the South-North Conciliation and Cooperation conducted since the launch of the former president Kim’s administration laid a solid foundation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further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and y...

      The policy for the South-North Conciliation and Cooperation conducted since the launch of the former president Kim’s administration laid a solid foundation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further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and yielded tangible results of eliminating threats to peac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current Participatory Government is driving forward with the policy for peace and prosperity, which will establish a sound basis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by promoting peace and mutual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extended from the policy for the South-North 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n this regard, it is considered that a huge transition is under way for the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of unilateral expectations for the Unification the past. Still, the Korean society is witnessing that a variety of views and opinions are emerging on the issue of Unification. It is natural, of course, that diverse opinions are shared by
      citizens in a free democracy. But it is surprising that there are many who question even the validity of the Unification. This paper aims to integrate people’s awareness about the Unification into unity, and carry out a new method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by making the best use of broadcasting and Internet. As part of new method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broadcasting media will serve as a catalyst to make qualitative and methodological changes for the education program by facilitating the direct participation by people. I understand that the web-based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best form for education in a new era of informatization and telecommunication. As it is a customized education devoted for users, it is my view that it will be the most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 with the highest level of exploitation rather than any other
      information med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 Ⅱ. 통일교육의 중요성과 인터넷의 기능
      • Ⅲ. 남북통일에 관한 교육과 문제점
      • Ⅳ. 인터넷을 통한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 V. 맺음말
      • I. 머리말
      • Ⅱ. 통일교육의 중요성과 인터넷의 기능
      • Ⅲ. 남북통일에 관한 교육과 문제점
      • Ⅳ. 인터넷을 통한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 V.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