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g JeongJo made a 『GungWon-ui[宮園儀]』-book. That laid many ceremonies at Gyeongmogung[景慕宮] and Youngwoowon[永祐園]. He had a sense of purpose that fixed of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s position. Maybe JeongJo think of Empero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62899
정해득 (한신대학교)
2015
Korean
宮園儀 ; 永祐園 ; 園幸定例 ; 顯隆園 ; 風水 ; 關王廟 ; 華城 ; 『GungWon-ui[宮園儀]』 ; Youngwoowon[永祐園] ; 『Wonhaing-jeongrye(園幸定例)』 ; HyunRyungWon[顯隆園] ; PoongSoo[風水] ; GoanWangMyo[關王廟] ; WhaSeong[華城]
KCI등재
학술저널
369-404(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ng JeongJo made a 『GungWon-ui[宮園儀]』-book. That laid many ceremonies at Gyeongmogung[景慕宮] and Youngwoowon[永祐園]. He had a sense of purpose that fixed of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s position. Maybe JeongJo think of Emperor...
King JeongJo made a 『GungWon-ui[宮園儀]』-book. That laid many ceremonies at Gyeongmogung[景慕宮] and Youngwoowon[永祐園]. He had a sense of purpose that fixed of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s position. Maybe JeongJo think of Emperor Chu-Sung(追崇) of Crown Prince Sado in mind, since his son MoonHyo[文孝世子] was born in 1782. But after Crown Prince MoonHyo died in 1786, JeongJo showed a Su-BinPak[綏嬪朴氏] in Hugung[後宮] to bear a Prince. And he practiced his plan in 1789 that he transfers Youngwoowon[永祐園] to the better place to bear a Prince. JeongJo expressed his regret by visiting 10 times in the Period JeongJo prepared the parades by making 『Wonhaing-jeongrye(園幸定例)』 to secure additional finances in Gwacheon and Suwon while he constructs HyunRyungWon[顯隆園]. As a result, Su-BinPak got pregnant, and next year, she gave birth to Soonjo. JeongJo though that is Sado’s virtue, and proclaimed almost the same with ancestor’s charitable. JeongJo treated virtually the same King by giving the 8 letters jonho[八字尊號] in 1795 in which Sado’s 60th birthday.
JeongJo went on a trip by way of Jeongreung[貞陵], Jangreung[章陵], Henreung[獻陵] to Sado’ tomb. A symbolic meaning practiced of Emperor Chu-Sung(追崇) on a fixed plan abdicate the Crown to his son. JeongJo bring Sado up into a image of MooDek[武德] when went on a trip by way of GoanWangMyo[關王廟] to Sado’ tomb.
JeongJo strained to reach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HyunRyungWon PoongSoo[風水] for his tomb site. Besides JeongJo reflected civil appeals of new Suwon in the WhaSeong[華城] management. Following to JeongJo’s think, Suwon shoud have proper style because it would be guard the Royal Tomb.
국문 초록 (Abstract)
정조는 즉위 직후에 경모궁과 영우원에 행차하는 격식을 정한 『궁원의』를 만들었다. 그것은 종묘의 ‘之次’로 규정한 사도세자의 위상을 확립하려는 목적이었다. 정조는 1782년 문효세자...
정조는 즉위 직후에 경모궁과 영우원에 행차하는 격식을 정한 『궁원의』를 만들었다. 그것은 종묘의 ‘之次’로 규정한 사도세자의 위상을 확립하려는 목적이었다. 정조는 1782년 문효세자가 탄생한 이후부터 사도세자의 국왕추숭 문제를 염두에 두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문효세자가 1786년 서거하자 정조는 왕자생산을 위해 수빈박씨를 맞아들였다. 그리고 1789년 영우원을 더 좋은 길지로 옮겨 자식을 얻는다는 계획을 실행하였다. 그 기간 중 정조는 10차례나 행차하여 예를 표하였다. 정조는 현륭원을 조성하면서 『원행정례』를 제정하면서 과천과 수원에 별도의 재원을 마련하여 원행에 대비하였다. 그 결과 수빈박씨가 懷妊하여 이듬해 6월 순조가 태어났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蔭德으로 생각하였고, 조종의 聖君들에 버금가는 공덕을 세운 것이라고 선포하였다. 사도세자의 회갑년인 1795년에는 8자 존호까지 올려 사실상 국왕에 해당하는 예우를 하였다. 정조는 貞陵, 章陵, 獻陵을 경유하여 원행하기도 하였다. 각각의 메시지는 封陵, 追崇, 讓位로서 정조가 상왕으로 물러나고 세자를 즉위시켜 사도세자를 국왕으로 추숭할 것이라는 의미였다. 또한 정조는 원행때마다 關王廟에 들렸는데, 사도세자가 武德을 갖춘 인물이라는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것이었다. 정조는 현륭원 주변을 답사하여 자신의 능침자리를 살펴보면서 풍수적 보완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또한 移住한 수원부민들의 민원을 알아보고 화성경영에 반영하기도 하였다. 장차 왕릉을 호위하게 될 수원도 그 격에 맞아야 한다는 것이 정조가 가진 생각이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 1998
2 정해득, "정조의 수원 園幸路와 그 성격" 서울학연구소 (51) : 119-153, 2013
3 정해득,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신구문화사 2009
4 이현진, "이복원의 궁원의(宮園儀) 편찬 과정" 56 : 2014
5 정해득, "왕의행차"
6 최성환, "사도세자 추모 공간의 위상 변화와 永祐園 천장" 조선시대사학회 (60) : 139-181, 2012
7 유봉학, "꿈의 문화유산, 화성" 신구문화사 1996
8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 소장 왕실자료 해제․해설집 2"
9 이달호, "水原府로의 莊獻世子 園寢 遷奉 背景 硏究" 7 : 1999
10 "正祖實錄"
1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 1998
2 정해득, "정조의 수원 園幸路와 그 성격" 서울학연구소 (51) : 119-153, 2013
3 정해득,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신구문화사 2009
4 이현진, "이복원의 궁원의(宮園儀) 편찬 과정" 56 : 2014
5 정해득, "왕의행차"
6 최성환, "사도세자 추모 공간의 위상 변화와 永祐園 천장" 조선시대사학회 (60) : 139-181, 2012
7 유봉학, "꿈의 문화유산, 화성" 신구문화사 1996
8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 소장 왕실자료 해제․해설집 2"
9 이달호, "水原府로의 莊獻世子 園寢 遷奉 背景 硏究" 7 : 1999
10 "正祖實錄"
11 조계영, "朝鮮後期 宮園儀의 刊印과 粧" 한국서지학회 (35) : 83-112, 2006
12 "日省錄"
13 "承政院日記"
14 "弘齋全書"
15 "宮園展省錄"
16 "宮園儀"
17 "園幸定例"
18 정해득, "『한중록』의 집필목적과 그 영향" 조선시대사학회 (74) : 179-212, 2015
19 김문식, "18세기 후반 정조 陵幸의 意義" 88 : 1997
20 이현진, "1789년(정조 13) 永祐園에서 顯隆園으로의 遷園 절차와 의미" 서울학연구소 (51) : 85-118, 2013
17세기 중반 問慰行을 통해 본 대일외교의 내용과 성격 - 1640․1651년 문위행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