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문법 재구성을 통한 학교혁신의 목표와 전략 = Goal and Strategy of School Innovation through Reconstruction of School Gramm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2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maintain modern society based on meritocracy, schools have developed robust institutional control mechanisms which are like gramm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oals and strategies for reconstructing existing school grammar in...

      In order to maintain modern society based on meritocracy, schools have developed robust institutional control mechanisms which are like gramm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oals and strategies for reconstructing existing school grammar in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mmarizes lots of literatures on educational reform and school change, then summarizes the principles and conditions for the success of school change. These are moral and audacious goals of education, democratization of goal and policy formation process, subjectivization of teachers for innovation through redefinition of teacher role, refinement of innovation plan through leanstartup model and learning organization, support for middle leadership and network. Next, this study presents the goal and strategies of future school innovation. In this study, while acknowledging the achievements of existing policies such as Hyuksin schools, we argue that it is school education should overcome micro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chool 's grammar should be reconstructed with the following: community of dignity, garden of democracy, life-learning platform, experimental and imaginary platform. Finally, in this study, the conditions for reconstruction of school grammar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prospect and meaning sharing system a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능력주의를 바탕으로 한 근대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학교는 문법과도 같이 견고한 제도적 통제 장치를 발달시켜왔다.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위시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기존의 학교문법...

      능력주의를 바탕으로 한 근대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학교는 문법과도 같이 견고한 제도적 통제 장치를 발달시켜왔다.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위시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기존의 학교문법을 재구성하기 위한 목표와 전략을 제안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교육개혁이나 학교변화를 위한 기존의 문헌을 정리하여 학교변화의 성공을위한 원리와 조건을 정리하였다. 교육의 도덕적 목적과 담대한 목표, 목표 및 정책 형성 과정의 민주성, 교사의 역할재규정을 통한 혁신의 주체화, 린스타드업 모델과 학습조직화를 통한 혁신안의 정교화, 중간리더십과 네트워크 지원, 총제적 변화 등이 그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교문법의 전환을 위한 목표와 실행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연구에서는 혁신학교와 같은 기존의 정책이 갖는 성과를 인정하면서도 기존의 노력이 미시적이고 기술적인 측면의혁신으로 감환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학교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학교문법 전환의 목표를 설정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존엄의 공동체, 민주주의의 정원, 삶의 배움터, 실험과 상상의 플랫폼을키워드로 학교의 문법을 재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전망 및 의미 공유 체제의 구축등을 비롯해서 학교문법 재구성을 위한 조건들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병부, "혁신학교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2 이승호, "혁신학교 정책집행과정 특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3 김성천, "혁신학교 정책의 여섯 가지 차원의 딜레마" 교육연구소 24 (24): 33-56, 2018

      4 신은희, "혁신학교 교육과정제도 변화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6 (26): 231-260, 2019

      5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당연의 세계 낯설게 보기" 생각의나무 2007

      6 김인희, "학교교육혁신론" 한국학술정보 2008

      7 김병찬, "왜 핀란드 교육인가" 박영스토리 2017

      8 이영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소 24 (24): 127-153, 2018

      9 강영택,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 민들레 2017

      10 이수광,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학교혁명" 살림터 69-95, 2018

      1 백병부, "혁신학교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2 이승호, "혁신학교 정책집행과정 특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3 김성천, "혁신학교 정책의 여섯 가지 차원의 딜레마" 교육연구소 24 (24): 33-56, 2018

      4 신은희, "혁신학교 교육과정제도 변화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6 (26): 231-260, 2019

      5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당연의 세계 낯설게 보기" 생각의나무 2007

      6 김인희, "학교교육혁신론" 한국학술정보 2008

      7 김병찬, "왜 핀란드 교육인가" 박영스토리 2017

      8 이영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소 24 (24): 127-153, 2018

      9 강영택,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 민들레 2017

      10 이수광,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학교혁명" 살림터 69-95, 2018

      11 유주영, "국내 혁신학교 연구에 관한 동향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12 (12): 81-105, 2016

      12 박희진, "국내 혁신학교 기본가치와 운영 평가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28 (28): 131-152, 2018

      13 박복선, "교육공동체벗 3~4" 6-17, 2014

      14 정미경, "교육개혁 전망과 과제(Ⅱ): 초·중등교육영역" 한국교육개발원 2017

      15 백병부, "경기혁신교육 철학과 정책 특성 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16 백병부, "경기도교육청 학교혁신 정책의 성과와 과제: 2009년 이후 학교변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121-148, 2019

      17 백병부, "경기교육정책 형성·집행·평가 재구조화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18 Thomson, P., "Whole School Change: A Literature Review" CCE 2010

      19 Tyack, D, "Tinkering toward Utopia: A Century of Public School Reform"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20 Freire, P., "The Politics of Education: Culture, Power, and Liberation" Bergin & Garvey 1985

      21 Fullan, M.,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Teachers College Press 2007

      22 Fullan, M.,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Teachers College Press 2016

      23 Tyack, D, "The Grammar of schooling: Why has It been so hard to Change?" 31 (31): 453-479, 1994

      24 Liu, E, "The Gardens of Democracy: A New American Story of Citizenship, the Economy, and the Role of Government" Sasquatch Books 2011

      25 Hargreaves, A, "The Fourth Way: The Inspiring Future for Educational Change" Corwin Press 2009

      26 Ackoff, R. L., "The Art of Problem Solving" Wiley 1987

      27 Hargreaves. A., "Teaching in the Knowledge Society: Education in the Age of Insecurity" Teachers College Press 2003

      28 Giroux, H., "Teachers as Intellectuals: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Learning" Bergin and Garvey 1988

      29 Newmann, F, "Successful School Restructuring" Center on Organization and Restructuring of schools 1995

      30 Bottrell, D, "Schools, Communities and Social Inclusion" Palgrave 2011

      31 Senge, P., "Schools that Learn" Crown Business 2000

      32 Bourdieu, P, "Reproduction in Education, Society, Culture" Sage 1977

      33 Huberman, M., "Recipies for busy kitchens" 4 : 478-510, 1983

      34 Anyon, J., "Radical Possibilities: Public Policy, Urban Education, and a New Social Movement" Routledge 2005

      35 Hargreaves, A., "Professional Capital" Teachers College Press 2012

      36 Hendriks, C. M., "Policy design without democracy? Making democratic sense of transition management" 42 : 341-368, 2009

      37 Schneider, A. L, "Policy Design for Democracy" University of Kansas 1997

      38 Marris, P., "Loss and Change" Anchor Press 1975

      39 Hargreaves, A, "Leading for All: A Research Report of the Development, Design, Implementation and Impact of Ontario's “Essential for Some, Good for All” Initiative" Boston College 2012

      40 Levin, B., "How to Change 5000 Schools: A Practical and Positive Approach for Leading Change at Every Level" Harvard Education Press 2008

      41 Sahlberg, P., "Finnish Lessons 2.0: What Can the World Learn from Educational Change in Finland?" Teachers College Press 2015

      42 Foucault, M.,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Pantheon Books 1977

      43 Apple, M, "Democratic Schools: Lessons in Powerful Education" Heinemann 2007

      44 Sumara, D, "Complexity and Education: Inquiries into Learning, Teaching, and Research" Routledge 2006

      45 Apple, M., "Can Education Change Society?" Routledge 2013

      46 Fullan, M., "All Systems Go: The Change Imperative for Whole School Reform" Corwin 2010

      47 Goodlad, J., "A Place Called School: Prospects for the Future" McGraw-Hill 1984

      48 이수광, "4.16의 교육적 ‘함의’와 학교체제 전환의 상상력" 29-38, 2014

      49 이수광, "4.16교육체제 비전과 전략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50 Harari, Y. N., "21 Lessons for the 21st Century" Spiegel & Grau 2018

      51 김경애, "2035 미래교육 시나리오: 초중등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