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보화정책의 진단과 발전방향 : 우리나라 정보화정책의 성과와 과제 = Korean Informatization Policies :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 Informatization Policies and Strategies in Korea: History, Performance and Tas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351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국가적 차원의 정보화정책을 강력히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론 갖춘 나라가 되었으며, 경제 사회 전반의 정보화도 꾸...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국가적 차원의 정보화정책을 강력히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론 갖춘 나라가 되었으며, 경제 사회 전반의 정보화도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또한 우리 정부는 국가정보화의 추진 과정에서 정보통신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해왔으며, 그 결과로 정보통신산업은 우리나라의 핵심적 전략산업으로 급성장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 우리나라 정보화정책이 보다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어떤 과제들이 해결되고 개선되어야 할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세 가지 관점에서 정보화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먼저, 정보화가 항상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며, 정보통신산업에도 성장의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두 번째로 정보통신기술 투자를 통한 정보화의 추진은 개별 경제주체의 유인구조가 작동하여야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세 번째로 지식과 정좌, 또는 콘텐츠의 경쟁력이 갖추어져야 정보통신 인프라의 구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정보화정책이 정보통신산업 육성정책에서 벗어나 우리 경제사회의 정보화를 위한 환경과 여건을 정비해 가는 범국가적 정책과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has put emphasis on the strategic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IT) as one of key drivers for economic growth since the early 1980`s. It did not only attempted to foster IT-producing industries (IT industrial policy), but also a...

      The Korean government has put emphasis on the strategic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IT) as one of key drivers for economic growth since the early 1980`s. It did not only attempted to foster IT-producing industries (IT industrial policy), but also adopted several policy measures to encourage the effective use of IT in many sectors (informatization policy). The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informatization and IT industrial policies, to analyze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nd finally, to answer how to improve the policy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paper suggests three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IT-producing sector should not be regarded as an infinitely growing industry. IT can contribute to economic growth or productivity improvements only if it is used effectively. Second, the benefits from the use of IT (or informatization) may be maximized when economic agents use IT as a result of their optimizing behavior. Finally, I stress the role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digital contents in a knowledge-based economy. Korea could not be a developed country in the 21st century, unless it would be a world-class information and knowledge producing count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1-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47 0.859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