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린이 박물관 전시개발에 대한 교육비평: 국립민속박물관의 <흥부전>을 중심으로 = An Educational Criticism of the Exhibition Development in a Children's Museum: The <Heungbu-Jeon>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54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riticize educationally on exhibition development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In this study researchers analyzed <Heungbu-Jeon> that NFMK developed one of korean classics into the exhibition in the viewpoin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riticize educationally on exhibition development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In this study researchers analyzed <Heungbu-Jeon> that NFMK developed one of korean classics into the exhibition in the viewpoint of education. Firstly, researchers analyzed the intension of curators in exhibition development, the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design of exhibition formality. Then researchers examined the expression of exhibition theme and the written texts ctitically, and reinterpreted the exhibition in the viewpoint of play and learning. Finally, researchers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exhibition development that recognize and respect the independence of learning and the right of lear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전시개발에 대해 교육비평을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전을 재해석하여 개발한 <흥부전>을 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개발하는 ...

      본 연구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전시개발에 대해 교육비평을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전을 재해석하여 개발한 <흥부전>을 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개발하는 과정에서 어떤 의도로 전시를 개발하게 되었고, 원전을 어떻게 해석했으며, 어떤 형식으로 전시를 구상하였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다음 이러한 분석 내용을 참조하여 전시주제를 표현하고 발문을 하는 것에 대해 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놀이와 학습의 관점에서 전시를 재해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습의 주체성과 학습권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전시개발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시는 개발자에 의해 개발되고 따라서 개발자의 의식이 중요하지만, 박물관교육의 맥락에서 볼 때 그 의식은 관람을 하는 관람자 및 관람자의 교육적 성장에 지향되어 있어야 한다. 이것은 전시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에 주목하지 않고 그 메시지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관람자 안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민속박물관, "흥부이야기 속으로: 박타러 가세 시르렁 실근 뚝딱! 전시도록"

      2 조관성, "현상학과 윤리학" 교육과학사 163-, 2003

      3 김환표, "한국의 디즈니를 꿈꾼다, 아이코믹스 대표, 최종일" 183 : 130-153, 2013

      4 오명숙, "학예사와 관람객의 관계와 역할, In 한국박물관교육학" 문음사 271-295, 2010

      5 윤여각, "학교평생교육론" 에피스테메 2009

      6 황규진, "참여박물관과 참여전시의 활용" 1 : 232-247, 1998

      7 Merriam, S. B., "질적 사례 연구법" 양서원 1994

      8 노진호, "존 듀이의 교육이론: 반성적 사고와 교육" 문음사 132-, 1996

      9 엄태동,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도서출판 원미사 140-, 2001

      10 이경희, "어린이박물관에서의 아동과 어머니의 전시참여형태와 아동과 어머니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5 (25): 77-92, 2004

      1 국립민속박물관, "흥부이야기 속으로: 박타러 가세 시르렁 실근 뚝딱! 전시도록"

      2 조관성, "현상학과 윤리학" 교육과학사 163-, 2003

      3 김환표, "한국의 디즈니를 꿈꾼다, 아이코믹스 대표, 최종일" 183 : 130-153, 2013

      4 오명숙, "학예사와 관람객의 관계와 역할, In 한국박물관교육학" 문음사 271-295, 2010

      5 윤여각, "학교평생교육론" 에피스테메 2009

      6 황규진, "참여박물관과 참여전시의 활용" 1 : 232-247, 1998

      7 Merriam, S. B., "질적 사례 연구법" 양서원 1994

      8 노진호, "존 듀이의 교육이론: 반성적 사고와 교육" 문음사 132-, 1996

      9 엄태동,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도서출판 원미사 140-, 2001

      10 이경희, "어린이박물관에서의 아동과 어머니의 전시참여형태와 아동과 어머니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5 (25): 77-92, 2004

      11 이혁규,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우리교육 2008

      12 민수영, "성인학습자로서 박물관 도슨트의 경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43-168, 2007

      13 이한우, "빌헬름 딜타이 체험·표현·이해" 책세상 2012

      14 김인회, "박물관교육의 정신사적 의미" 18 : 1-21, 1997

      15 이주연, "박물관교육의 기본" 미진사 2007

      16 조희진, "박물관-학교-지역 박물관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운영과 활용 -‘국립민속박물관, 『박물관에서 배우는 사회교과』 (2003~2008)’를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28) : 159-192, 2011

      17 오명숙, "박물관 전시 및 교육개발 과정 분석 : 국립민속박물관의 전시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한국평생교육학회 205-217, 2012

      18 류현종, "박물관 전시 구성과 초등학생들의 문화 재현-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삼국 문화체험을 중심으로-" (하계) : 123-148, 2007

      19 박영란, "미술에 있어서 상호작용성의 기원과 의미" 13 : 185-200, 2002

      20 백령, "멀티미디어시대의 박물관교육" 예경 2005

      21 Elkind, D., "놀이의 힘" 한스미디어 2008

      22 Caillois, R.,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2006

      23 김상욱, "그림책론 : 어린이 그림책의 서사 방법" 보림 2011

      24 박경미,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전시참여와 교육활동에 대한 동기부여 전략 제안"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25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누리집"

      26 윤여각, "교육문제 연구론" 한국방송통신대출판부 2012

      27 최성희, "관람자 중심의 박물관에서 미술작품의 해석과 교육방법" 7 (7): 121-137, 2006

      28 김신일, "‘학습권론’의 형성과 전개, In 학습사회의 교육학" 학지사 39-60, 2010

      29 Dean, D., "The exhibition development process, In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Routledge 191-194, 1994

      30 Jarvis, P., "Meaning. Learning to be a person in society" Routledge 2009

      31 김창진, "<흥부전>의 사상적 고찰" 16 : 137-184,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