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캠퍼스용 로봇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실험환경 구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13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대학 캠퍼스를 주행하는 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실험환경 구축에 대해 논한다. 이 차량은 대학이나 공원과 같은 특별한 장소에서 사용되고 근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2인이 탑승한...

      본 논문은 대학 캠퍼스를 주행하는 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실험환경 구축에 대해 논한다. 이 차량은 대학이나 공원과 같은 특별한 장소에서 사용되고 근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2인이 탑승한다. 정문에서 본부까지 자율주행을 수행하기 위한 실험환경을 구축한다. 초기 단계로 카메라로 바닥의 색깔을 구별하여 선을 검출한다. 빨간색과 노란색의 경계선을 검출하여 로봇차량이 추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부 구간의 자율 주행 실험을 통해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experimental setup for autonomous navigation of a robotic vehicle for touring university campus. The robotic vehicle is developed for navigation of specific areas such as university campus or play parks. The robotic vehicle can...

      This paper presents the experimental setup for autonomous navigation of a robotic vehicle for touring university campus. The robotic vehicle is developed for navigation of specific areas such as university campus or play parks. The robotic vehicle can carry two passengers to travel short distances. For the robotic vehicle to navigate autonomously the specific distance from the main gate to the administrative building in the university, the experimental setup for SLAM is presented. As an initial step, a simple method of following the line detected by a single camera is implemented for the partial area. The central line on the pavement colored with two kinds, red and yellow, is detected by image processing, and the robotic vehicle is commanded to follow the line. Experimental studies ar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navigation as a possible touring vehic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차량로봇(AmuseTranBot)
      • 3. 환경구축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차량로봇(AmuseTranBot)
      • 3. 환경구축
      • 4.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
      • 5. 실험연구
      • 6.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택, "운송 및 엔터테인먼트용 로봇차량의 바운스 및 주행제어 실험 연구"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5 (25): 266-267, 2015

      2 김현욱, "엔터테인먼트용 로봇차량의 제작과 균형 제어"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 (20): 736-740, 2014

      3 이형직, "밸런싱 메커니즘을 이용한 이륜형 자동차 형태의 이동로봇개발 : BalBOT Ⅶ" 한국로봇학회 4 (4): 289-297, 2009

      4 김현욱, "무게 변화에 따른 차륜형 밸런싱 로봇의 제어기 설계 및 실험연구"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 (20): 469-475, 2010

      5 S. H. Jeong, "Wheeled Inverted Pendulum Type Assistant Robot : Design Concept and Mobile Control" 1932-1937, 2007

      6 K. Pathak, "Velocity and position control of a wheeled inverted pendulum by partial feedback linearization" 21 : 505-513, 2005

      7 "Segway"

      8 "PUMA"

      9 "En-v"

      10 H. J. Lee, "Balancing and navigation control of a mobile inverted pendulum robot using sensor fusion of low cost sensors" 22 (22): 95-105, 2012

      1 조성택, "운송 및 엔터테인먼트용 로봇차량의 바운스 및 주행제어 실험 연구"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5 (25): 266-267, 2015

      2 김현욱, "엔터테인먼트용 로봇차량의 제작과 균형 제어"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 (20): 736-740, 2014

      3 이형직, "밸런싱 메커니즘을 이용한 이륜형 자동차 형태의 이동로봇개발 : BalBOT Ⅶ" 한국로봇학회 4 (4): 289-297, 2009

      4 김현욱, "무게 변화에 따른 차륜형 밸런싱 로봇의 제어기 설계 및 실험연구"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 (20): 469-475, 2010

      5 S. H. Jeong, "Wheeled Inverted Pendulum Type Assistant Robot : Design Concept and Mobile Control" 1932-1937, 2007

      6 K. Pathak, "Velocity and position control of a wheeled inverted pendulum by partial feedback linearization" 21 : 505-513, 2005

      7 "Segway"

      8 "PUMA"

      9 "En-v"

      10 H. J. Lee, "Balancing and navigation control of a mobile inverted pendulum robot using sensor fusion of low cost sensors" 22 (22): 95-105, 2012

      11 C. C. Tsai, "Adaptive neural network control of self-balancing two-wheeled scooter" 57 (57): 1420-142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KCI등재
      2008-02-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영문명 : Korea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Society ->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0.866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