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1960~70년대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근세사회론 = 1960s-70s Joseon Dynasty’s Agricultural History Research and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Early Modern Society Era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28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will critically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among the agricultural history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1960s to the 1970s, I would like to search through the proposal of the ‘ear...

      In this paper, I will critically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among the agricultural history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1960s to the 1970s, I would like to search through the proposal of the ‘early modern society era theory'. In the 1960s, the Korean historians had published a lot of research result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raising the logic of overcoming colonialism in history, the development of change in Korean society, the development of economics. In the 1960s and 1970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gricultural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Kim Jong-seop's research on land registers, were largely based on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gricultural history of the intrinsic developmental theory that was established as a premise we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age division of the transition from medieval society to modern society. Therefore new alternatives to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should be made in the division of times.
      It will be possible to distinguish the Korean society from the Joseon society by focusing on the social personality, the ruling class, especially the domination system which is seen between the Joseon dynasty society and the Koryô dynasty society, and it can be established as the middle age and the early modern age. Specifically, it can be presumed that the ruling system of the early modern society was establish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and continu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 mid-19th century. In addit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ransition of the early modern society into the modern society and look for the change factors of the early modern society internally and emphasize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earch to capture the development of change in history and trace the direction of redefine of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 한국사연구회 창립(1967년)을 전후한 시기 즉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이루어진 조선 시대 농업사 연구 가운데 내재적 발전론에 의거한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내재...

      본 논문에서 한국사연구회 창립(1967년)을 전후한 시기 즉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이루어진 조선 시대 농업사 연구 가운데 내재적 발전론에 의거한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대안을 시대구분론에 입각한 ‘근세사회론’의 제기를 통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한국사학계는 앞선 시기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극복논리의 제기, 한국사회의 변화 발전, 경제학계의 후진국개발론, 일본학계의 영향 등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내재적 발전론에 의거한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 발전을 설명하는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 金容燮의 量案 연구에서 비롯한 1960년대와 70년대의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성과는 대체로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또는 내재적 발전론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었다.
      1960년대와 70년대 조선 후기 농업사 연구성과의 결론이자 전제로 자리잡았던 내재적 발전론은 중세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이라는 시대구분 인식에 근거하고 있었다. 따라서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새로운 대안 제시가 시대구분론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조선왕조사회와 고려왕조사회 사이에 보여지는 사회성격, 지배층, 특히 지배체제의 차별에 주목하여 대략 고려사회와 조선사회를 구별하여 중세와 근세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근세사회의 지배체제가 대략 15세기 후반에 정립되어 19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에 걸쳐 시기적인 부침을 거치면서 지속된 것으로 규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근세사회의 지배체제는 양반(사족) 지배층이 신분제와 관료제를 기본 골격으로 삼고, 성리학적 이념을 현실화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향촌사회 지배세력의 노력이 하층민에게 가해지는 역사과정이 전개되면서, 직접생산에 대한 부세수취와 인신 노동력에 대한 신역부과를 재정적 기반으로 삼아 유지되는 체제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근세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전환에 주목하여, 근세 사회의 변화 요인을 내부적으로 찾고 또한 역사상의 변화 발전이라는 점을 포착하기 위한 이론적, 실증적 모색을 강조하고 내재적발전론의 재정립’이라는 방향성을 추적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승진, "金容燮의 原蓄論과 社會經濟史學의 전개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Ⅰ・Ⅱ≫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47) : 335-356, 2009

      2 고영진, "해방 50년 조선시대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일지사 79 : 1995

      3 박찬승, "한국학연구 패러다임을 둘러싼 논의-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35) : 73-118, 2007

      4 이성무, "한국의 학술연구-역사학-" 대한민국학술원 2006

      5 정형지, "한국사연구 50년" 혜안 2005

      6 오종록, "한국사연구 50년" 혜안 2005

      7 이헌창, "한국사 파악에서 내재적 발전론의 문제점" 일조각 40 : 2007

      8 金仁杰, "한국사 인식과역사이론" 지식산업사 1997

      9 염정섭, "조선후기 內的 發展과정 연구와 중세사회 解體論의 동거 -≪朝鮮後期農業史硏究[I]-農村經濟・社會變動-≫,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Ⅱ]-農業變動・農學思潮-≫-" 한국사연구회 (147) : 307-333, 2009

      10 김인걸, "조선시대사 연구가 걸어온 길: ‘근대 기획’ 넘어서기" 아카넷 14 : 2013

      1 정승진, "金容燮의 原蓄論과 社會經濟史學의 전개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Ⅰ・Ⅱ≫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47) : 335-356, 2009

      2 고영진, "해방 50년 조선시대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일지사 79 : 1995

      3 박찬승, "한국학연구 패러다임을 둘러싼 논의-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35) : 73-118, 2007

      4 이성무, "한국의 학술연구-역사학-" 대한민국학술원 2006

      5 정형지, "한국사연구 50년" 혜안 2005

      6 오종록, "한국사연구 50년" 혜안 2005

      7 이헌창, "한국사 파악에서 내재적 발전론의 문제점" 일조각 40 : 2007

      8 金仁杰, "한국사 인식과역사이론" 지식산업사 1997

      9 염정섭, "조선후기 內的 發展과정 연구와 중세사회 解體論의 동거 -≪朝鮮後期農業史硏究[I]-農村經濟・社會變動-≫,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Ⅱ]-農業變動・農學思潮-≫-" 한국사연구회 (147) : 307-333, 2009

      10 김인걸, "조선시대사 연구가 걸어온 길: ‘근대 기획’ 넘어서기" 아카넷 14 : 2013

      11 염정섭, "조선시대 농법 발달 연구" 태학사 2002

      12 염정섭, "조선 후기 사회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 -" 부경역사연구소 (38) : 49-103, 2016

      13 최윤오, "조선 후기 사회변동과 근대로의 이행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 22 : 2005

      14 윤한택, "역사학의 소생을 위하여" 재단법인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 (71・72) : 2018

      15 왕현종, "동아시아 비교사의 방법과 의미―미야지마 히로시의 동아시아 근대사론" 역사문제연구소 (105) : 327-348, 2013

      16 권내현, "내재적 발전론과 조선 후기사 인식" 역사문제연구소 (111) : 417-442, 2015

      17 이헌창, "근세 실학의 선구자이자 실천자인 金堉(1580~1658)" 한국실학학회 (33) : 7-54, 2017

      18 이영호, "근대전환기 토지정책과 토지조사" 서울대 출판부 2018

      19 강만길, "韓國史硏究會 創立 25週年 記念 座談會" 韓國史硏究會 79 : 1992

      20 近代史硏究會, "韓國中世社會 解體期의 諸問題 上" 한울 1987

      21 李相佰, "韓國 近代化의 基本 性格, 韓國 近代化 問題(其一)" 진단학회 23 : 1962

      22 鄭昌烈, "近世史(朝鮮後期)-한국학연구 반세기-" 震檀學會 57 : 1984

      23 宋贊植, "李海南博士 華甲紀念 韓國史學論叢" 李海南博士華甲紀念韓國史學論叢 刊行委員會 1970

      24 安秉珆, "朝鮮近代經濟史硏究" 曰本評論社 1975

      25 김용섭,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Ⅱ]-農業變動・農學思潮-" 一潮閣 1971

      26 김용섭, "朝鮮後期農業史硏究[I]-農村經濟・社會變動-" 一潮閣 1970

      27 한영국, "朝鮮 後期의 雇工-18・9世紀 大邱府戶籍에서 본 그 實態와性格-" 歷史學會 81 : 1979

      28 김용섭, "日本・韓國에 있어서의 韓國史叙述" 역사학회 31 : 1966

      29 李基白, "國史新論" 태성사 1961

      30 李佑成, "回顧와 展望 國史, 總說" 歷史學會 39 : 1968

      31 李佑成, "回顧와 展望 國史, 總說" 歷史學會 39 : 1958

      32 이영호, "‘내재적 발전론’ 역사인식의 궤적과 전망" 한국사연구회 (152) : 239-272, 2011

      33 홍정완, "1950년대 한국 경제학계의 후진국 개발론 수용" 한국사연구회 (182) : 403-448, 2018

      34 염정섭, "18~19세기 농정책의 시행과 농업개혁론" 태학사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2.615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