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손와(損窩) 최석항(崔錫恒)의 연구시(聯句詩) 연구(硏究) ― 시회(詩會)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uccessive Lines of Verse (聯句詩) by Choi Seok-hang (崔錫恒)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문인들의 交遊는 文學, 그 가운데 대체로 漢詩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벗과 함께 술이나 유람을 즐기거나 혹은 어떠한 일로 헤어짐을 맞이할 때마다 作詩를 통한 교감이 빈번하였다....

      조선시대 문인들의 交遊는 文學, 그 가운데 대체로 漢詩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벗과 함께 술이나 유람을 즐기거나 혹은 어떠한 일로 헤어짐을 맞이할 때마다 作詩를 통한 교감이 빈번하였다. 이러한 文人들의 교감활동 중 하나가 詩會였고 활용된 漢詩의 詩體 중 하나가 바로 聯句詩이다.
      少論의 명문 가문 출신인 損窩 崔錫恒(1654~1724)은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했으며 少論四大臣으로 언급될 정도로 정치적 비중이 있는 인물이다. 損窩는 1680년 27세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라 7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왕성하게 활동한 관료 문인이었다. 그는 관직 생활을 해나가며 少論의 여러 명사들과 交遊 하였는데, 그 중심에는 詩會가 있었다. 그의 문집 곳곳에 남은 작품들을 통해 그의 교유가 詩會를 중심으로 하였고, 詩會에서 창작된 작품 가운데 하나가 聯句詩라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이 글은 損窩의 문집에서 확인되는 詩會의 흔적과 그 결과물 가운데 하나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聯句詩에 대해 살폈다. 이 연구는 損窩의 詩會와 聯句詩의 관계, 그리고 聯句詩의 양상을 살피는 데에서 끝나지 않고 損窩에게 聯句詩가 지니는 의의를 확인하여 그의 聯句詩를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changes between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exchange of literary arts, particularly Chinese poetry. When drinking and playing with acquaintances or when departing, poetry was frequently used as a means of communio...

      Exchanges between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exchange of literary arts, particularly Chinese poetry. When drinking and playing with acquaintances or when departing, poetry was frequently used as a means of communion. Poetry clubs also acted to facilitate communion and one of the poems of Chinese poetry that was utilized was Successive Lines of Verse (聯句詩). Choi Seok-hang (崔錫恒, 1654-1724), from a famous Soron family, was a personage of great political weight to the extent that he is referred to as one of ‘the four ministers of Soron’. He was a bureaucratic literary personage who was active from when he passed the Imperial Examination at the age of 27, in 1680, until he passed away at the age of 71. While working in government, he interacted with several celebrities in the Soron faction, at the center of which were poetry clubs. Through the works that remain here and there in his collection,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his exchanges centered on poetry clubs, one of the works created by poetry clubs being Successive Lines of Verse (聯句詩). This research does not merely end with an examination of the poetry clubs of Sonwa (損窩) and their relation to Successive Lines of Verse, and the aspects of Successive Lines of Verse. It also looks at at Sonwa (損窩)’s Successive Lines of Verse (聯句詩) from multiple angles, as a means of confirming the meaning of the Successive Couplet (聯句詩).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진, "聯句詩의 창작 방식과 배경 고찰 -­ 謙齋 趙泰億의 사례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74) : 247-280, 2019

      2 "한국고전종합DB"

      3 "조선왕조실록"

      4 신민섭, "조선시대 詩會 序跋 연구 — 詩軸ㆍ詩帖ㆍ詩卷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2019

      5 심경호, "조선선비의 문자생활과 지적 교류" 한국국학진흥원 (14) : 413-450, 2009

      6 강필임, "시회의 탄생" 한길사 2016

      7 "승정원일기"

      8 김묘정, "곤륜(昆侖) 최창대(崔昌大)의 교유시(交遊詩) 연구 — 지식인들과의 교유 양상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6 (76): 183-211, 2019

      9 任聖周, "鹿門集" 민족문화추진회

      10 吳道一, "西坡集" 민족문화추진회

      1 이미진, "聯句詩의 창작 방식과 배경 고찰 -­ 謙齋 趙泰億의 사례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74) : 247-280, 2019

      2 "한국고전종합DB"

      3 "조선왕조실록"

      4 신민섭, "조선시대 詩會 序跋 연구 — 詩軸ㆍ詩帖ㆍ詩卷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2019

      5 심경호, "조선선비의 문자생활과 지적 교류" 한국국학진흥원 (14) : 413-450, 2009

      6 강필임, "시회의 탄생" 한길사 2016

      7 "승정원일기"

      8 김묘정, "곤륜(昆侖) 최창대(崔昌大)의 교유시(交遊詩) 연구 — 지식인들과의 교유 양상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6 (76): 183-211, 2019

      9 任聖周, "鹿門集" 민족문화추진회

      10 吳道一, "西坡集" 민족문화추진회

      11 오보라, "紅泉社의 결성과 시세계‒ 聯句詩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66) : 35-73, 2017

      12 朴用萬, "江華學派의 聯句詩에 관한 고찰" 한국한시학회 (12) : 413-432, 2004

      13 南皐, "時庵集" 민족문화추진회

      14 李瀷, "星湖僿說" 민족문화추진회

      15 尹國馨, "大東野乘" 민족문화추진회

      16 안대회, "18세기 詩社의 현황과 전개양상" 한국고전문학회 (44) : 421-450, 2013

      17 김묘정, "17세기 少論계열 지식인들의 聯句詩 고찰 - 吳道一·崔錫鼎·趙泰億의 시적 교류 양상을 중심으로" 석당학술원 (78) : 63-85,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5-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2 1.31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