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예술교육과 노인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 연구: 정보화 활용, 문화예술관심, 여가활동만족을 중심으로 = Relations between Art & Culture Education and Psychological Welfare in Elderly People: Focusing o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erest in Art & Culture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077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이 행복감, 생활만족과 연관이 있는 심리적 복지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0세 이상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이 행복감, 생활만족과 연관이 있는 심리적 복지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0세 이상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 수강자와 수료자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중요 요인인 정보화활용, 문화예술관심, 여가활동만족 3개 요인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를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활용, 문화예술관심, 여가활동만족, 심리적 복지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정보화활용, 문화예술관심, 여가활동만족 3개 요인은 심리적 복지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여가활동만족은 심리적 만족감에 상관관계와 영향력이 가장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 culture education for elderly people on psychological welfare concerning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 total of 114 senior citizens age...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 culture education for elderly people on psychological welfare concerning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 total of 114 senior citizens aged 60 or order, who were taking (or took) an art & culture education program. Then, the relations between the three factors of art & culture education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erest in art & culture,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fare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all three factor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far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ticular,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was the highest in terms of correlation and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fa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숙경, "행복을 끌어오는 집단 상담이 대학생들의 행복에 대한 자각, 행복한 사람들의 특성, 인간관계, 내적 통제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2 (12): 16-69, 2002

      2 이병준, "평생학습연구에 있어서의 교육학적 생애사 접근"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91-112, 2010

      3 이재호, "지방자치단체의 상대적 문화향유 측정과 문화정책추진 방향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105-124, 2010

      4 안정신,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전생애 발달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의 영향" 한국노년학회 25 (25): 245-266, 2005

      5 전상완, "주민자치센터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239-250, 2010

      6 김봉화, "정보활용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6

      7 신용주, "정보화교육을 통한 노인 임파워먼트의 모색"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33-53, 2005

      8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9 정갑영, "우리나라 문화복지정책의 흐름과 전망" 17 : 230-233, 2005

      10 이갑숙, "여가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4

      1 박숙경, "행복을 끌어오는 집단 상담이 대학생들의 행복에 대한 자각, 행복한 사람들의 특성, 인간관계, 내적 통제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2 (12): 16-69, 2002

      2 이병준, "평생학습연구에 있어서의 교육학적 생애사 접근"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91-112, 2010

      3 이재호, "지방자치단체의 상대적 문화향유 측정과 문화정책추진 방향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105-124, 2010

      4 안정신,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전생애 발달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의 영향" 한국노년학회 25 (25): 245-266, 2005

      5 전상완, "주민자치센터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239-250, 2010

      6 김봉화, "정보활용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6

      7 신용주, "정보화교육을 통한 노인 임파워먼트의 모색"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33-53, 2005

      8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9 정갑영, "우리나라 문화복지정책의 흐름과 전망" 17 : 230-233, 2005

      10 이갑숙, "여가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4

      11 이은회, "신노인복지론" 학지사 2013

      12 하미경, "문화예술학습활동이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및 개방성의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157-177, 2013

      13 최현묵, "문화예술교육이 문화복지로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14 황연주, "문화예술교육의 미술교육적 논의"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1-28, 2005

      15 김세훈,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4

      16 박진영,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문화예술교육 개념에 대한 혼란 양상 및 인식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33-64, 2011

      17 김갑수, "문화예술 향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9

      18 홍애자,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지식경영적 해석" 추계예술대학교 2015

      19 김종식,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79-189, 2014

      20 장찬애, "노인의 문화예술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미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위한 분석과 제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21 하경분,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78-289, 2013

      22 성희자,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남구지역 중심으로" 13 (13): 151-169, 2003

      23 이갑숙,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91-306, 2012

      24 이영주,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형태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건강" 3 (3): 21-44, 2005

      25 이동수,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인지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4

      26 박은희,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 :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2016

      27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원 233-256, 1986

      28 김용순, "노인복지와 노인정보화 : 주요 관련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6

      29 서형석, "노인문화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문화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6

      30 이귀옥, "노인들의 여가활동에서 여가몰입이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9 (19): 117-133, 2010

      31 양선화, "노인대학 참여노인의 노인대학 운영 및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 학술교육원 2009

      32 최태복, "노인교육프로그램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1

      33 김정엽, "노인교육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7-30, 2010

      34 최경애, "노인 정보화교육의 참여동기, 지속동기, 학습지속유형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34 (34): 65-90, 2013

      35 김명숙,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46-259, 2013

      36 박충선, "노년의 정보화태도와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노인들의 정보화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8 (8): 25-44, 2003

      37 정현민, "고령층의 정보화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38 Maslow, A. H.,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Van No strand 1968

      39 Bradburn, N. M.,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ldine 1969

      40 Cawlkell, T., "The information age-for better or for worse" 24 (24): 56-58, 1998

      41 Parker, S., "The future of work and leisure" MacGibbon and Knee 1971

      42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43 Atchley, R. C.,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Wadsworth Publishing Co Inc 2003

      44 Havinghurst, R. J., "Older people" Longmans, Green & Co 1953

      45 MaCowell, I., "Measuring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46 Andrew, F. M., "Measure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61-114, 1991

      47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Press 1986

      48 Bilt-Cohen, E, "Elder participation in cyberspace: A qualitative analysis of Israel retirees" 18 : 385-398, 2004

      49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50 Lemon, B. W., "An Exploration of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27 (27): 511-523, 1972

      51 Kade, S., "Altern und Bildung, Eine Einfuhrung" Bertelsman Verlag 2007

      52 Cutler, N. E., "Aging variation in the dimensionality of life satisfaction" 34 (34): 573-578, 1979

      53 정갑영, "21세기 우리나라 문화복지 증진 방안" 문화정책개발원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cademy Welfare Counselling -> Korea Academy of Welfare Counsell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