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의 한국학 교육·연구동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53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는 한국의 사회, 정치, 경제, 언어, 문화, 지리, 역사 등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영역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중국에서의 한국학은 국제 정세, 한중 관계, 남...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는 한국의 사회, 정치, 경제, 언어, 문화, 지리, 역사 등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영역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중국에서의 한국학은 국제 정세, 한중 관계, 남북 관계의 변화 등 국제적 요인과 중국 및 남북한의 국내 상황 변화에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해 왔는데, 그 중 중국과 한국 양국 관계의 변화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원래 중국에서의 한국학 교육은 한국어 교육에서 출발하였다. 한국어 교육은 1946년 남경에 개설된 국립동방언어전문대학에서 시작되었는데, 현재까지 한국어 교육의 역사는 60여 년이 넘었으며 한국어를 배우려는 열기는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강하여 대학의 한국어학과 수와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 수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1992년 수교 전까지 북경대학, 연변대학, 대외경제무역대학, 낙양외국어대학, 북경 제2외국어대학, 중앙민족대학 등 6개 대학교에서만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였는데, 현재 중국에는 총 218개의 한국 관련 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한국학 교육은 학과와 전공 수준에서부터 ‘한국학대학’과 같은 단과대학의 수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과는 어문학 계통으로 중국내의 한국학 교육은 여전히 국제지역연구의 초기형태인 언어와 문화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학 연구가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및 문학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국제 지역학으로서의 한국학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동시에 대학의 한국어학과도 한국학과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실제로 중국의 한국학 연구 및 교육 분야에서 발견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국에서의 한국학의 정체성, 교육 및 연구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내 대표적인 한국학 교육기관, 연구 기관, 한국 정부지원 하의 세종학당에서 이루어지는 한국학 연구 및 교육, 한중 교육 교류 등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지금 중국학계에서 한국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어떤 내용을 가지고 교육·연구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존의 연구목록문헌 및 검색사이트를 활용하여 문헌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수교 직후 1992~1993년까지는 중국 항주대학교 한국연구소에 편찬한 『한국연구중문문헌목록(1912~1993)』, 1993~2005년까지의 연구 성과 자료는 심정창·유대군(沈定昌?劉大軍)이 편찬한?『조선반도문헌목록(1992~2005)』을 기초로 하여 한국 관련 연구성과를 수집·분석하였다. 2005년 이후의 연구 성과 자료는 도서인 경우, 중국 국가도서관, 북경대학교 도서관, 상해시도서관의 전자도서관 검색시스템을 통해서 수집하였다. 학술지 논문과 석?박사학위논문은 만방데이터(萬方數據, www.wanfangdata.com.cn) 사이트를 활용하여 정리하였다. 또, 한국의 교육부, 국제교류재단과 대학교육협의회 등에서 발간한 각종 자료와 관련 연구보고서를 통해 문헌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중국의 교육부와 한국관련 연구소, 한국어 전공이 개설된 대학의 기관 홈페이지 등을 활용하여 문헌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중국의 인민망(www.people.com.cn), 만방데이터 및 구글(www.google.com) 등에 제공된 정보와 자료를 기본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자료를 대상으로 중국의 한국학 교육 및 연구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한국학의 교육과 연구는 양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중국의 대학에는 한국 관련 학과가 수교 전 6개뿐이었는데 현재 36배로 늘어나 218개가 되었다. 이는 영어전공학과, 일본어전공학과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숫자이다. 그러나 중국에서 한국학이라는 용어는 여전히 생소하며, 특히 북한과의 관계로 인하여 ‘조선’과 ‘한국’을 ‘조선(한국)어’와 같이 병용하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학문적 분류에서는 학부 과정의 경우에는 문학 분야에 ‘조선어문학’과 ‘조선어’가 있지만, 대학원 과정의 석· 박사 학위학문분류에서는 조선이나 한국을 사용한 분야 자체가 없다. 대학원의 학위분류에서 한국학 연구는 외국문학분야에‘아시아·아프리카 문학(亞非語文學)’에 속해 있다. 일본이나 일본학, 미국학에 비교해서 여전히 그 비중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둘째, 중국의 한국학 교육은 주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에서 한국학 교육 기관의 역사는 이미 70여년이 되었다. 그 중에 중앙민족대학과 연변대학은 소수민족 교육의 일환으로 중국조선족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여 북한이나 한국에 비해 전혀 손색이 없는 교육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밖의 대학의 한국학 연구는 북경대학, 연변대학, 산동대학 등 일부를 제외하면 여전히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학과의 전공과목 개설현황을 살펴볼 때, 조사대상인 학부 전공교육과정에서 어문학 중심의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역사나 사상과 같은 기초 분야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전공과정의 교과목뿐만 아니라 교수 전공분야에서도 어문학 전공교수의 비율이 과반수를 차지한다는 것도 문제라 할 수 있다.
      셋째, 한국학 연구의 주제는 한중관계의 특성을 반영하여 경제 및 어학 중심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에서의 한국 연구 성과물들을 주제별로 살펴보면 경제가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한중 관계가 경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2위가 어문학 분야인데 이 역시 한중 양국 수교 후 한국 기업체의 대거 중국 진출과 "한류" 등 여러 가지 시류를 반영한 요소들이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한국 관련 연구 중에 가장 낮은 비율을 점유하는 분야는 종교, 철학·사상, 역사·지리 등 인데, 이들 기초 학문 분야가 어문학이나 정치·경제 등 시류에 민감한 분야보다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학 연구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학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선행연구 검토 5
      • 1.3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10
      • Ⅱ. 중국 고등교육 기관들의 한국학 교육 동향 14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선행연구 검토 5
      • 1.3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10
      • Ⅱ. 중국 고등교육 기관들의 한국학 교육 동향 14
      • 2.1 역사적 발전 과정 14
      • 2.2 학부(본과) 과정의 한국학 교육 16
      • 2.2.1 대학의 한국 관련 전공학과의 명칭 사용 현황 19
      • 2.2.2 대학의 한국 관련 전공학과의 교과목 개설 현황 21
      • 2.2.3 대학의 한국관련 전공학과 교수들의 전공 분포 27
      • 2.2.4 기존 소수민족 교육으로서의 조선어 교육 28
      • 2.3 대학원(연구생) 과정의 한국학 교육 32
      • 2.3.1 대학의 대학원(연구생) 과정 개설 현황 32
      • 2.3.2 대학원(연구생) 과정 교육의 특징 33
      • 2.4 한중 고등교육교류 동향 38
      • 2.4.1 한중 고등교육교류의 역사와 발전 38
      • 2.4.2 한중 고등교육교류의 현황 40
      • 2.4.2.1 학생교류 40
      • 2.4.2.2 대학 간 교류 54
      • Ⅲ. 중국 학계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60
      • 3.1 중국의 한국학 연구기관 현황 60
      • 3.2 한국학 관련 학회 및 학술지 현황 64
      • 3.2.1 한국학 관련 학회 현황 64
      • 3.2.2 한국학 관련 학술지 현황 69
      • 3.3 중국의 한국학 연구 성과 및 주요 영역별 변화 추이 70
      • Ⅳ. 한국 정부의 중국 내 한국학 지원 보급 사업 80
      • 4.1 중국에서의 세종학당 현황 82
      • 4.1.1 세종학당의 설립현황 82
      • 4.1.2 세종학당의 교육과정현황 및 성과 92
      • 4.2 중국에서의 한국어능력시험 실시 및 운영현황 100
      • Ⅴ. 결론 및 제언 109
      • 5.1 결론 109
      • 5.2 제언 112
      • 참고문헌 11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교육부, ": http://www", moe.go.kr, null

      2 정판룡, "조선학 연구 제1권", 연변대학출판사, 1989

      3 김중섭, "한국어교육의 이해", 한국문화사, 서울: 한국문화사, 2008

      4 정판룡, "조선학-한국학 총서", 중국사회과학출판사, 1993

      5 박건일, "「중국의 한반도 연구」", 2009년 한국학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pp.108~130, 2009

      6 백봉자, "세종학당 교재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07

      7 우형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한국문화사, 2006

      8 송현호, "「중국지역의 한국학 현황」", 한중인문학연구제35집, pp.463~504, 2011

      9 허용, "세종학당 교육과정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2007

      10 묘춘매,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평가", 국어교육연구 제10집, pp.449 ~463, 2002

      1 교육부, ": http://www", moe.go.kr, null

      2 정판룡, "조선학 연구 제1권", 연변대학출판사, 1989

      3 김중섭, "한국어교육의 이해", 한국문화사, 서울: 한국문화사, 2008

      4 정판룡, "조선학-한국학 총서", 중국사회과학출판사, 1993

      5 박건일, "「중국의 한반도 연구」", 2009년 한국학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pp.108~130, 2009

      6 백봉자, "세종학당 교재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07

      7 우형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한국문화사, 2006

      8 송현호, "「중국지역의 한국학 현황」", 한중인문학연구제35집, pp.463~504, 2011

      9 허용, "세종학당 교육과정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2007

      10 묘춘매,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평가", 국어교육연구 제10집, pp.449 ~463, 2002

      11 조항록, "한국어 교육 현장의 주요 쟁점", 한국문화사, 2010

      12 박영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2

      13 백봉자, "「문화 교육 자료의 개발 방향」",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31집, pp.1~23, 2006

      14 심의림, "「中國에서의 韓國學硏究현황」", 중소연구 통권 56호, pp.183~209, 1992

      15 전상인, "「한국학, 한국어, 한국어교육」",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제 20집, pp.45~62, 2007

      16 송현호,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한국문화 제33집, pp.309~330, 2004

      17 이경자, "한중 고등교육 교류의 현황과 과제",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중국학논총 제41집, pp.301~321, 2013

      18 김재욱, "「세종학당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나라사랑 121집: 566돌 한글날 특집, pp.76~97, 2012

      19 송현호, "「연변대학의 한국학 현황과 과제」", 한중인문학회, 한중인문학연구 제41집, pp.427~449, 2013

      20 백봉자, "「세종학당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새국어생활 제18권 제3호, pp.115~134, 2008

      21 강혜선, "세종학당 설치 현황 등 관련 주요 통계",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 과, 2013

      22 김병운,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과제", 한국학연구 제15집, pp.45~66, 2006

      23 최희수, "중국의 한국어 교육에서 제기되는 과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 육 제30집, pp.211~226, 2005

      24 송현호, "「중앙민족대학의 한국학 현황과 과제」", 한중인문학회, 한중인문학연구 제40집, pp.329~354, 2013

      25 黃智裕, 宋光勳, "「한 중 유학생 교육의 교류 현황 분석」", 중국인문학회, 중국인문과학 제51 호, pp.539~567, 2012

      26 김희섭, 최윤정, "「중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과 과제」", 동북아문화연구 제19집, pp.169~186, 2009

      27 김재훈, "세종학당 설립 및 운영의 경제적 효과 분석",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07

      28 정호진, "「EPS-TOPIK 시행 현황 및 관계자 요구 분석」",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비교문화연구 제 31집, pp.395~414, 2013

      29 박태형, "「중국 조선족학교에서의 이중 언어교육」",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12권, pp.401~405, 1995

      30 김왕배, "「은둔의 왕국: 한국학의 맹아와 선구자들」", 정신문화연구 제22권 제3호, pp.5~28, 1999

      31 김동택, "한류와 한국학: 해외 한국학 현황과 지원방안", 역사비평 통권 74 호, pp.213~240, 2006

      32 조상호, "김준섭과 중국: 한국의 중국학, 중국의 한국학", 사회과학원, 2012

      33 심의림, "「中國에서의 韓國學硏究」, 아시아문화 제6호", 한림대학교 아시아 문화연구소, pp.191~207, 1991

      34 김윤태, "「중국의 한국학 연구 동향」, 中國硏究 제38집", 한국 외대 중국연 구소, pp.77~91, 2006

      35 파려, "「세종학당과 공자학원의 문화교육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4

      36 김영옥,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에 관한 고찰」", 청람어문교육학회, 창림어문교육 제 26집, pp.253~272, 2003

      37 주성일, "공자학원을 통한 중국의 소프트파워 증진정책 연구", 경제인문사 회연구회 연구보고서, 2010

      38 김아영, "「한국어 국외 보급 정책으로서의 세종학당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9 박문자, "「중국 대학의 한국학 연구와 그 역할에 대한 고찰」",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 학 제2권 제1호, pp.101~109, 2005

      40 조항록, "한국어 고급 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한국어교 육 제10집, pp.223~237, 1998

      41 채미화, "「동아시아 한국학 방법의 모색」, 한국학연구 제17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p.7~22, 2007

      42 김영수, "중국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기초 연구", 한중인문 학연구 제20집, pp.417~435, 2007

      43 양갑용, 전병곤, "중국의 한반도 관련 정책연구기관 및 전문가 현황분석", 통일연구원, 통 일연구원 연구총서, pp.1~132, 2012

      44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의 중국학과 중국의 한국학: 연구추세의 비교분 석",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대 중국 종합연구 협동연구 총서 10~03~43, 2010

      45 태평무, 최경봉, "「중국의 소수민족어정책과 소수민족어의 현황 연구」",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중국학논총 제32집, pp.75~113, 2011

      46 리득춘, "「중국 한국학의 흥기와 전망」, 한국어 교육 제15권 3호", 국제한국 어교육학회, pp.191~206, 2004

      47 이춘호, "「중국에서의 한국 역사 교육에 대하여」, China 연구 제3집", 부산 대학교 중국연구소, pp.377~394, 2007

      48 김영수, "「중국에서의 대학교 한국어 교육 과정 현황과 개선 연구」", 한국(조 선)어 교육 국제학술 세미나 논문집(하), pp.1~8, 2010

      49 권문화, "「중국 연변 지역의 조선어-한어 이중 언어 교육과정 연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희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0 이득춘,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급속한 부상과 한국어의 위치」", 한글학회, 교육한 글 제10집, pp.161~180, 1997

      51 김 상, "「동아시아의 ‘한류’: 싱가포르에 “한류”가 존재하는가?」", 동아연구 , 42권. pp.114~136, 2005

      52 최용기,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세종학당 운영 방향」, 문법교육 제6호", 한 국문법교육학회, pp.213~246, 2007

      53 이인순, 허세림,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4년제 대학의 한국어교육을 중 심으로」", 새국어교육 제97호, pp.361~386, 2013

      54 김중섭, 임규섭,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 발전과정과 과제」, 한국어교육제 23권 제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47~75, 2012

      55 김동택, "「세계와 소통하는 한국학을 향하여: 국내외 한국학 지원현황과 대안 」", 역사비평 통권 61호, pp.375~401, 2002

      56 이승미, "「한국의 공공외교 연구: 공공외교의 주체와 전략적 수단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7 송현호, "「한중 인문교류의 현황과 과제: 교육부의 한국학진흥사업을 중심으로 」", 한중인문학회, 한중인문학연구 제44집, pp.1~24, 2014

      58 김 철,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어제와 오늘 및 그 미래」, 한중인문학 연구 제24집", 중 한인문과학연구회, pp.275~308, 2008

      59 최경봉, "「중국 내 조선 한국학의 특성과 위상: 우리말 연구의 역사와 경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제155호, pp.103~131, 2010

      60 이완범, "해외한국학현황 및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 구과제 결과보고서", 정책연구 09-06, 2009

      61 김경일, "「한국학의 기원과 계보: 한국과 동아시아, 미국을 중심으로」, 사회 와 역사 통권 64집", 한국사학회, pp.129~165, 2003

      62 강은국, "「대학교 본과 외국어 비통용 어종 학과 규범의 측면에서 본 중국에 서의 한국어 교육」", 한국(조선)어 교육 국제학술 세미나 논문집(상), pp.234~244, 2010

      63 이해영, "「중국 칭다오 지역의 세종학당 운영 현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 제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697~705, 2008

      64 김일권, "「중국의 한국학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어 및 한국학 교 육 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5 이무조, 하채현,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이 적절성에 관한 논의-교과 과정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제9권 제3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329~352, 2013

      66 전영근, "「중국 광동외어외무대학교 세종학당 현황과 발전 방향」, 국제한국 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200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707~715, 2008

      67 김종건, "「중국 역사교과서상의 한국 관련 서술내용 변화에 대한 검토: 최근 초급중학 중국역사(中國歷史) 교과서를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제69집", 중국사학회, pp.129~156,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