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회계정보의 전자공시 시점과 정보효과 = (The) electronic disclosure timing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eff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33321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회계학과 , 200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5.9 판사항(4)

      • DDC

        65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vi, 96장 : 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90-9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0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이익정보를 공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회계정보의 공시현황 및 시장의 반응에 대해 연구하...

      본 연구는 2000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이익정보를 공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회계정보의 공시현황 및 시장의 반응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분기보고서와 반기보고서가 제출되었을 때 제공되는 이익정보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또한, 결산과 관련된 공시일정에 따라 손익구조변경 수시공시, 주주총회 소집통지공시, 감사보고서 제출공시, 주주총회 결과공시, 사업보고서 제출공시 등의 공시가 이루어지는데, 이들 공시를 통해 제공되는 이익정보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2002년 11월부터 시행된 공정공시제도에 의해 제공되는 이익정보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주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재무분석가 예측치가 없는 기업이 분기 및 반기보고서를 공시하였을 때 여기에 나타난 이익정보는 정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산과 관련된 공시일정에 따라 손익구조변경 수시공시, 주주총회 소집통지공시, 감사보고서 제출공시, 주주총회 결과공시, 사업보고서 제출공시의 순서로 결산일 이후 이익정보의 공시가 이루어지는데, 결산일 이후 가장 빠르게 공시되는 항목은 손익구조변경 수시공시로서 여기에 나타난 이익정보는 재무분석가 예측치가 없는 기업에서 정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빠르게 공시가 이루어지는 주주총회 소집통지공시의 이익정보는 정보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보고서 제출공시는 감사를 통해 신뢰성이 확보된 이익정보라는 특징이 있지만, 이익정보가 정보효과를 갖지 못했다. 주주총회 결과공시 및 사업보고서 제출공시에서 제공된 이익정보 또한 정보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2002년 11월부터 공정공시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기업들이 IR(Investor Relationship)활동 등으로 영업실적을 알리고자 할 경우 공정공시 사항에 해당된다. 따라서 IR활동 이전에 영업실적에 대한 공정공시를 해야 하고, 공정공시제도가 취지대로 운영되고 있다면, 영업실적의 사전 정보유출이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결과, 영업실적 공정공시는 공시일 이전에는 유의적인 시장의 반응이 나타나지 않고, 공시일 이후부터 유의적인 시장의 반응이 나타나 사전 정보유출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정공시제도의 취지대로 재무정보공시가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ffect of some disclosures using a sample of KSE(Korean Stock Exchange) firm's income information reported on the DART(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s of the FSS(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from 2...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ffect of some disclosures using a sample of KSE(Korean Stock Exchange) firm's income information reported on the DART(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s of the FSS(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from 2000 through 2006.
      Concretely, when quarterly reports and semi annual reports were released by KSE firm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come information is useful to capital market. And when timely disclosure regarding income structural changes, notice of annual meeting of stockholders, audit report, annual meeting of stockholders and annual report were release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come information is useful to capital market. Also, with the adoption of Regulation Fair Disclosure on November 200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formation asymmetry was reduced among market participants.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s is as follows.
      First, for the sample of KSE firms without analyst' forecast, regression result between the unexpected earnings and cumulative abnormal returns over the quarterly reports and semi annual reports show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Thi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earnings on quarterly reports and semi annual reports are informative.
      Second, for the sample of KSE firms without analyst' forecast, unexpected earnings in timely disclosure regarding income structural changes were associated with cumulative abnormal returns. Thi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annual earnings in timely disclosure is are informative.
      Finally, on November 2002, Regulation Fair Disclosure became effective. It prohibits companies from providing material information to specific investors. If firms execute Regulation Fair Disclosure effectively, when firms issue fair disclosure items, information leakage does not exist in markets. In empirical test, when firms issue earnings information in fair disclosure, abnormal returns are not significant before disclosure date. But, when firms issue earnings information in fair disclosure, abnormal returns are significant after disclosure date. It indicates that Regulation Fair Disclosure executes effec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1. 연구의 동기 = 1
      • 2. 연구의 목적 및 구성 = 2
      • 제2장 기업공시제도 = 4
      • 1. 전자공시시스템과 공시절차 = 4
      • 제1장 서론 = 1
      • 1. 연구의 동기 = 1
      • 2. 연구의 목적 및 구성 = 2
      • 제2장 기업공시제도 = 4
      • 1. 전자공시시스템과 공시절차 = 4
      • 2. 정기 및 수시공시제도와 공시일정 = 6
      • 3. 공정공시제도 = 14
      • 제3장 정보공시와 시장의 반응 = 17
      • 1. 공시수준의 결정요인과 정보비대칭 = 17
      • 2. 공시시점과 시장의 반응 = 18
      • 3. 전자공시가 주가반영시점에 미치는 영향 = 20
      • 4. 공정공시와 정보불균형 = 22
      • 제4장 연구설계 = 25
      • 1. 연구가설 = 25
      • 2. 연구방법 = 26
      • 3. 표본 = 31
      • 제5장 실증분석 결과 = 37
      • 1. 분기 및 반기 관련 공시(가설1)에 대한 분석결과 = 37
      • 2. 결산 관련 공시(가설2)에 대한 분석결과 = 55
      • 3. 공정공시제도(가설3)에 대한 분석 결과 = 76
      • 4. 추가분석 = 81
      • 5. 실증결과가 갖는 의미 = 85
      • 제6장 결론 = 87
      • 1. 요약 및 결론 = 87
      • 2. 연구의 한계 및 미래 연구방향 = 88
      • 참고문헌 = 90
      • (Abstract) = 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