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의 차이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erception on Children's Emotional Maladaptive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5749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간의 차이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주시에 소재...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간의 차이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주시에 소재한 N초등학교의 5학년 5학급, 6학년 4학급 남.여 학생 33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성실히 응답한 319부의 질문지를 연구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이에 대한 자료처리는 SPSS/PC 프로그램에 의해 전산처리를 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간에는 차이가 있다. 즉, 수용-거부적 태도와 자율-통제적 태도에서 아동이 어머니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수용적이고 자율적으로 지각한다. 반면 비과잉-과잉적 태도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하는 것보다 아동이 과잉기대, 즉 성취압력을 더 받고 있다.
      이것을 성별로 보면, 여아는 수용-거부적 태도에서 어머니보다 더 수용적으로 지각하고, 남아인 경우는 자율-통제적 태도에서 어머니보다 더 자율적으로 지각한다. 비과잉-과잉적 태도의 경우는 남아와 여아 모두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어머니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과잉기대를 받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다.
      또한, 이것을 어머니의 연령별로 보면 어머니의 연령에 관계없이 아동들은 어머니의 양육태도보다 자율성의 허용범위를 더 넓게 지각하고, 과잉기대를 더 받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다.
      둘째, 수용-거부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 과잉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자율-통제적 태도에 대한 지각이 불일치할 때는 위축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비과잉-과잉적 태도에 대한 지각이 불일치할 때 위축행동과 과잉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을 성별로 보면, 수용-거부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 남아는 위축행동, 과잉행동, 공격행동, 퇴행행동, 강박행동 모든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받으며, 여아인 경우는 수용-거부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자율-통제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 여아의 위축행동과 강박행동에 영향을 준다. 또, 비과잉-과잉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하면 여아의 경우에만 위축행동과 과잉행동, 공격행동에 영향을 준다.
      이것을 어머니의 연령별로 보면, 수용-거부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 40대 이상의 어머니를 가진 아동들이 과잉행동에 영향을 받고, 자율-통제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는 40대 이상의 어머니를 가진 아동들이 위축행동에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비과잉-과잉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 30대 이하의 어머니를 가진 아동들이 과잉행동과 공격행동에서 영향을 받는다.
      셋째,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 차이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상관관계는 그 상관관계가 극히 낮아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이 지각한양육태도간의 차이와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는 상관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의 차이는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첫째,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의 발달에 대한 이해와 자녀와의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을 돕는 부모교육의 강화 둘째, 아동과 부모가 함께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를 투입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필요함을 강력히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erception of it on children's emotional maladaptive behavi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0 fifth graders and sixth g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erception of it on children's emotional maladaptive behavi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0 fifth graders and sixth graders and their mothers from 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Jeju. A survey was implemented with questionnaires. And the sincere response from 319 students and their mother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 perception of it. Children perceived more receptive and autonomous than mothers' thought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and autonomous-control attitude. But, on the other hand, children were put under excessive expectation that is, achievement stress more than mothers' thought in non excessive-excessive attitude.
      By gender, girls perceive more receptive than mothers' thought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and boys perceive more autonomous than mothers' thought in autonomous-control attitude.
      By mothers' age, children perceived more autonomous and mothers' excessive expectation than mothers' parenting attitude regardless of mothers' age.
      Second, when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perception and their children's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excessive behavior. And when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autonomous-contro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withering behavior. And when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non excessive-excessive attitude, it had an influence on withering behavior and excessive behavior.
      By gender,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boys' all maladaptive behavior such as withering behavior, excess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obsessive behavior and it had no effect on girls. And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autonomous-contro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girls' withering behavior and obsessive behavior. And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non excessive-excessive attitude, it had an influence on only girls' withering behavior, excessive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By mothers' age,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excessive behavior of children who had mothers over 40 years old.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autonomous-control attitude, it had an influence on withering behavior of children who had mothers over 40 years old. And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non excessive-excessive behavior, it had an effect on excessive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of children who had mothers under 30 years old.
      Third, the discord of perception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on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maladaptive behavior had no interrelation, which means that there's no interrelation between the discord of perception of them and children's emotional maladaptive behavior.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perception on parenting attitude had an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maladaptive behavior.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suggest some actions should be taken in relation to the way of reducing the discord of perception of them on parenting attitude,
      First, it is necessary to teach mothers how to understand growth of their children and how to communicate with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which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uld enjoy together and to implement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및 가설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목차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및 가설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양육태도의 개념 및 유형 = 4
      • 2.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 8
      • 3.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 13
      • Ⅲ. 연구방법 = 17
      • 1. 연구대상 = 17
      • 2. 측정도구 = 18
      • 3. 자료처리 = 20
      •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22
      • 1. 가설 1의 검증 = 22
      • 2. 가설 2의 검증 = 26
      • 3. 가설 3의 검증 = 37
      • Ⅴ. 요약.결론 및 제언 = 39
      • 1. 요약 = 39
      • 2. 결론 = 43
      • 3. 제언 = 45
      • 참고문헌 = 46
      • Abstract = 51
      • 부록 = 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