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표기반시나리오를 적용한 상호작용적 수해양 교육 컨텐츠 개발 사례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6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및 저작 도구
      • Ⅳ. 연구 결과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및 저작 도구
      • Ⅳ.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현, "특성화 고등학교의 학습 효과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기술학회 11 (11): 113-119, 2013

      2 차현진, "초‧중학생 대상 웹기반 진단평가관리시스템 사용성 개선을 위한 휴리스틱스 개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675-690, 2017

      3 허균, "일반교육과 수해양 교과교육에서 스마트교육미디어 효과성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28-136, 2017

      4 박선주, "스토리라인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7 (17): 487-496, 2013

      5 배영권, "스토리라인(Storyline)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7 (17): 135-146, 2013

      6 한상준, "스마트러닝 효과성 메타분석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6 (26): 148-155, 2014

      7 노규성, "스마트교육 환경 분석과 정책 제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5-44, 2013

      8 임병노,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형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9 (29): 459-489, 2013

      9 강영옥,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 교과교육연구소 20 (20): 140-151, 2016

      10 강인애,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283-303, 2012

      1 박재현, "특성화 고등학교의 학습 효과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기술학회 11 (11): 113-119, 2013

      2 차현진, "초‧중학생 대상 웹기반 진단평가관리시스템 사용성 개선을 위한 휴리스틱스 개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675-690, 2017

      3 허균, "일반교육과 수해양 교과교육에서 스마트교육미디어 효과성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28-136, 2017

      4 박선주, "스토리라인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7 (17): 487-496, 2013

      5 배영권, "스토리라인(Storyline)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7 (17): 135-146, 2013

      6 한상준, "스마트러닝 효과성 메타분석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6 (26): 148-155, 2014

      7 노규성, "스마트교육 환경 분석과 정책 제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5-44, 2013

      8 임병노,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형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9 (29): 459-489, 2013

      9 강영옥,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 교과교육연구소 20 (20): 140-151, 2016

      10 강인애,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283-303, 2012

      11 김혜숙, "e-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 정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275-298, 2013

      12 나일주, "WBI 완성도 향상을 이한 Usability Test 활용 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6 (6): 109-117, 2003

      13 Oh SH, "Using the Storyline 2, The development of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al content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20 (20): 127-130, 2016

      14 Anderson, T., "The Theory and Practice of Online Learning" AU Press 2008

      15 Morten Hertzum, "The Evaluator Effect: A Chilling Fact About Usability Evaluation Methods" Informa UK Limited 13 (13): 421-443, 2001

      16 Herman C.,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content" 3 : 75-78, 2016

      17 Bates, A. W., "Technology, open learning and distance education" Routledge 1995

      18 Leem JH, "Mobile based smart learning:Concept and applicability to higher education" 2011

      19 KME,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ath to Talented Major Countries, Smart education promotion strategy"

      20 Robert M. Gagne, "Learning outcomes and their effects: Useful categories of human performa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39 (39): 377-385, 1984

      21 Nesbit J. C., "Learning object review instrument (LORI) User"

      22 Harnett, S., "Learning Articulate Storyline" PACKT Publishing in USA 2013

      23 Ellen D. Wagner, "In support of a functional definition of interaction" Informa UK Limited 8 (8): 6-29, 1994

      24 Nielson J., "How Many Test Users in a Usability Study?"

      25 Anderson, T., "Getting the mix right again: an updated and theoretical rational for interaction" 4 (4): 2003

      26 Legault, N., "Get to Know The 3 Levels of E-Learning Heroes Community"

      27 박희정, "GBS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시나리오 운영활동의 유형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28 Andrew See, "Effective e-Training: Using a Course Management System and e-Learning Tools to Train Library Employees" Informa UK Limited 11 (11): 66-90, 2014

      29 Schank R. C., "Dynamic Memory Revisited:14.Goal-Based Scenari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5-269, 1999

      30 Schank R. C., "Designing world class e-learning:How IBM, GE, Harvard Business, School, and Columbia University are succeeding at e-learning" Mcgraw-Hill Companies, Inc 2001

      31 Joanne Elizabeth Beriswill, "Design Process of a Goal-Based Scenario on Computing Fundamental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59 (59): 15-20, 2015

      32 Silius K., "An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the evaluation tool into the portal of Finnish virtual university" Finnish virtual univers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수산해양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7 0.82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