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統辭的 重義性에 대한 國語敎育 方案-7次 敎育課程을 중심으로- = A Pla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Syntax Ambigu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2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has two aims. One is to arrange the forms of ambiguity found in linguistic life and the other is to understand their problems in educational area.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doesn't seem to consider teaching m...

      The study has two aims. One is to arrange the forms of ambiguity found in linguistic life and the other is to understand their problems in educational area.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doesn't seem to consider teaching method about synonymous expressions' area and level. So in this study effective educational curriculum is considered by comparing contents of its official process centralized on syntactic ambiguity among ambiguous expressions. We take educational method of circulation and repetition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 about syntactic ambiguity expressions alloted to grade 9 students. And we suggest the way to prevent focusing specific topics on a certain grade on the basic of current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硏究는 國語生活 속에서 발견되는 重義的인 表現의 樣相을 整理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敎育的인 側面에서의 問題點들에 대한 理解를 도모하고자 하는 데에 그 目的이 있다.現行 敎育...

      본 硏究는 國語生活 속에서 발견되는 重義的인 表現의 樣相을 整理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敎育的인 側面에서의 問題點들에 대한 理解를 도모하고자 하는 데에 그 目的이 있다.現行 敎育課程의 構成이 동의적인 표현의 領域別, 段階別 敎授 方法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이에 본고에서는 重義的 표현 가운데 統辭的인 중의 표현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에 반영된 내용을 비교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육과정의 구성을 모색하고, 9학년에 집중적으로 할당된 統辭的인 중의 표현에 대하여 우리는 敎授 效果의 增大를 위한 循環反復의 敎授 方法을 취하고, 특정 학년의 특정 主題에 많이 비중이 담기는 경향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현행 7차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論議하였다. 國語敎育의 거의 모든 영역과 단계에 걸쳐 重義的인 표현과 관련된 敎授 內容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어 관계절 부착의 중의성" 2001

      2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토씨 -와/과와 -의 구문의 중의성 연구"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23 ㆍ24합집 : 341-361, 1999

      4 "토론식 강의를 위한 국어의미론" 박이정 1996

      5 "의미중복표현의 유형과 기능" 15집 : 47-66, 1996

      6 "부정법 논의와 국어의 현실" 국어학회 6 : 1978

      7 "복수명사구문과 양화명사구문의 중의성에 대한 통합적 연구" 한국언어학회 1988

      8 "문맥에서의 중의성 분석" 1995

      9 "국어의 중의성 연구" 1988

      10 "국어의 구조적 중의성에 관한 교육 연구" 2005

      1 "한국어 관계절 부착의 중의성" 2001

      2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토씨 -와/과와 -의 구문의 중의성 연구"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23 ㆍ24합집 : 341-361, 1999

      4 "토론식 강의를 위한 국어의미론" 박이정 1996

      5 "의미중복표현의 유형과 기능" 15집 : 47-66, 1996

      6 "부정법 논의와 국어의 현실" 국어학회 6 : 1978

      7 "복수명사구문과 양화명사구문의 중의성에 대한 통합적 연구" 한국언어학회 1988

      8 "문맥에서의 중의성 분석" 1995

      9 "국어의 중의성 연구" 1988

      10 "국어의 구조적 중의성에 관한 교육 연구" 2005

      11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1996

      12 "국어부정문의 중의성에 대하여2" 어문학회 제74집 : 1-20, 2001

      13 "국어부정문의 중의성에 대하여1" 한민족어문학회 (38호) : 163-183, 2001

      14 "국어 의미 중복 표현 연구" 2001

      15 "국어 어휘의 특성에 대하여" 국립국어연구원 1990

      16 "국어 셈숱화 구문의 중의성에 대한 연구" 계명어문학회 1988

      17 "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미" 국어연구소 10 : 1987

      18 "고유명사의 의미와 중의성 해소" 한국어학회 20 : 2003

      19 "The MIT Press" 1979

      20 "Semantic Interpretation in Generative Grammar The MIT Press" 1972

      21 "?현대국어 어휘 사용의 양상?" 태학사 1991

      22 "?현대 의미론?" 민음사 1984

      23 "?의미론 개론?" 한신문화사 1985

      24 "?국어의미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94

      25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1992

      26 "?국어 의미론?" 형설출판사 1987

      27 "-만의 작용역 중의성" 한국언어학회 (21호) : 673-692, 1996

      28 "-고 있- 구성의 重義性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5 : 215-24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