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계몽교재《弟子規》고찰과 그 활용 사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81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한자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교육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한자교육을 통해 어휘력을 신장할 수 있고 문해능력 및 학습능력이 향상될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한자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교육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한자교육을 통해 어휘력을 신장할 수 있고 문해능력 및 학습능력이 향상될 뿐 아니 라 우리의 정체성 확립과 인성교육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한자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적절한 교재의 선정과 교육방법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한자와 관련된 교육과정 자체가 부재하고 국가적 수준의 교육용 기초 한자마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활용되어 온 교재에만 머물지 말고 한자문화권 아동들이 사용하는 초보적인 교재에도 눈을 돌리는 시도가 필요하다. 현재 중화문 화권의 아동들의 경전교육의 가장 기초교재인《弟子規》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할 만하다.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교과를 재구성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활동 시간 등에 실험적으로 접근해 본 결과, 보완을 거친다면 충분히 적용해 볼 만한 가치가 있었다. 《弟子規》는 청나라 때부터 현재까지 아동경전교육의 기초교재로 중화문화권에서 애용되고 있 는 책으로 3字1句, 4句1意의 형식으로 전체가 360구, 1080자밖에 되지 않는다.《弟子規》는《論語ㆍ 學而》 제6조를 근간으로 하여 공자의 핵심사상을 서술하였다. 《弟子規》는 우리 아동들에게 필요한 한자학습을 쉽고 재미있게 인도하는 기초 입문서이며 도덕 교과서이기도 하다. 이 책의 장점은 우선 첫째로 단순히 한자의 낱자를 배워 익히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세 글자만으로도 여러 형태의 문장이 만들어지는 것을 자연스레 습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운율과 일정한 대우ㆍ대구 규칙이 있어서 암송과 한문 문장의 구조파악이 쉽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 교육용 한자와의 상응도가 아주 높고 비교적 획순이 적은 한자를 사용하였 기에 아동들이 입문기에 알아야 할 상용한자를 쉽고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점이다. 셋째,부모님과 주변 사람을 대하는 태도, 바람직한 행동과 생활태도 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지식 축적에만 머무르지 않고 인성교육까지 함께 도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사상 및 문화와 관련이 깊은 유가의 핵심과 기초사상을 알 수 있고 인문학적 소양을 넓혀서 동양문화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우리가 궁극적으로 한자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계몽교재로 《弟子規》를 초보적인 단계에서 활용할 것을 적극 제안한다. 이를 위해 뜻을 같이 하는 교사들과 연구자들이 모여 아동들의 발달 단계와 교과내용을 고려한 교재 연구 및 효과적인 교수방법ㆍ교수 자료를 함께 계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훨씬 효과적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it has been strongly insisted that Han-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for children in Korea since it enables not only to improve their vocabulary, literacy and learning ability but also helps them to estab...

      Recently it has been strongly insisted that Han-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for children in Korea since it enables not only to improve their vocabulary, literacy and learning ability but also helps them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and build up their character. To achieve above goal, it is required to select prompt textbook and sufficient study for teaching method. However, in reality, curriculum for Han-character is not even existed at the most elementary schools and discussion on designating basic Han-character for education in school has not been progressed on the government level as well. In this situation, it is more encouraged to consider elementary textbook used by children of other countries that share Han-character culture than seeking local materials. In this context,《Di Zi Gui》, the primary textbook of Chinese children is usable to educate senior student at elementary school in Korea.
      《Di Zi Gui》 have widely used as a basic classical-written-language textbook for children in China from Qing Dynasty. It is composed of only 1,080 letters and describes major idea of Confucius based on the article 6 of《The Analects of Confucius》.
      《Di Zi Gui》 guides children to study Han-character interestingly and it could be ethic textbook as well. It have mainly four advantages; first of all, it includes essential and basic Han-character. Moreover, children would learn how letters compose sentences, not only single letter. In addition, it gives moral lesson since it describes right attitude between people and lifestyle. Finally, it broadens children’s perspective about traditional thoughts and culture of Korea and Asia. In conclusion, it is strongly suggested to adopt《Di Zi Gui》 as a elementary textbook for Han-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弟子規》선정 배경
      • Ⅲ.《弟子規》의 내용
      • Ⅳ.《弟子規》의 구성
      • Ⅴ.《弟子規》활용의 실험적 접근
      • Ⅰ. 머리말
      • Ⅱ.《弟子規》선정 배경
      • Ⅲ.《弟子規》의 내용
      • Ⅳ.《弟子規》의 구성
      • Ⅴ.《弟子規》활용의 실험적 접근
      • Ⅳ. 맺음말
      • ▮參考文獻 Reference
      • ▮中文摘要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한문교육학회,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조정에 관한 연구 보고서" 1999

      2 한은수, "現行 初等學校 漢字 認定 敎科書 內容 分析"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9-93, 2009

      3 語文政策定常化推進會, "漢字敎育의 필요성에서 憲法訴願에 이르기까지"

      4 임완혁, "朝鮮朝 『明心寶鑑』의 收容 樣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13-244, 2013

      5 謝氷瑩, "新譯四書讀本" 三民書局 2014

      6 李相玉, "新完譯 禮記 上ㆍ中ㆍ下" 明文堂 2003

      7 成百曉, "懸吐完譯童蒙先習ㆍ 擊蒙要訣" 傳統文化硏究會 1992

      8 成百曉, "懸吐完譯 明心寶鑑" 傳統文化硏究會 1992

      9 成百曉, "懸吐完譯 小學集註" 傳統文化硏究會 1993

      10 莊麗娟, "弟子規 硏究" 高雄師範大學 1997

      1 한국한문교육학회,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조정에 관한 연구 보고서" 1999

      2 한은수, "現行 初等學校 漢字 認定 敎科書 內容 分析"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9-93, 2009

      3 語文政策定常化推進會, "漢字敎育의 필요성에서 憲法訴願에 이르기까지"

      4 임완혁, "朝鮮朝 『明心寶鑑』의 收容 樣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13-244, 2013

      5 謝氷瑩, "新譯四書讀本" 三民書局 2014

      6 李相玉, "新完譯 禮記 上ㆍ中ㆍ下" 明文堂 2003

      7 成百曉, "懸吐完譯童蒙先習ㆍ 擊蒙要訣" 傳統文化硏究會 1992

      8 成百曉, "懸吐完譯 明心寶鑑" 傳統文化硏究會 1992

      9 成百曉, "懸吐完譯 小學集註" 傳統文化硏究會 1993

      10 莊麗娟, "弟子規 硏究" 高雄師範大學 1997

      11 王雪嬌, "弟子規 德育思想硏究" 中共中央黨校 2012

      12 中國國學文化藝術中心, "弟子規" 人民敎育出版社 2011

      13 育靈童敎育硏究院, "國學ㆍ第一冊" 北京師範大學出版集團 2010

      14 張志公, "傳統語文教育初探" 上海教育出版社 1962

      15 沈謙, "修辭學" 五南圖書出版 2010

      16 박흥수, "『三字經』의 교육특징에 관한 고찰" 한국중어중문학회 (51) : 293-308, 2012

      17 唐东辉, "21世纪初“儿童读经”论争焦点述评" 福建师范大学 2013

      18 박삼서, "2000년도 제정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와 21세기 한자 한문 교육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5): 133-146,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3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