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권강사 양성교육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Attending a Training Course on Human Rights Lectur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7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권강사양성교육 참여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지방자치단체의 인권강사양성교육에 참여했던 성인학습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본 연구의 목적은 인권강사양성교육 참여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지방자치단체의 인권강사양성교육에 참여했던 성인학습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권강사는 인권지식, 인권감수성, 실천, 강의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둘째, 인권은 나로부터 출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자신의 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셋째, 올바름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교육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으며, 법교육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성인기이기에 인권을 직업, 부부관계, 자녀교육, 강사역량과 연관 지어 적용하였다. 다섯째, 인권강사보다는 인권에 대해 알아가고 실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인권강사로서의 정체성, 자질 등을 기준으로 수강자를 선발했을 때 인권강사양성교육은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인권강사양성교육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essential meaning of participating in a training course for human rights lecturer. To do so,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adult learner who attended a training course for human rights lecturer provided by A lo...

      This study aims to find essential meaning of participating in a training course for human rights lecturer. To do so,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adult learner who attended a training course for human rights lecturer provided by A local government and a phenomenological method derived from Giorgi is used to analyze students’ experienc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portant qualities for a human rights lecturer include knowledge on human rights, sensitivity, capacity for action, and competency in giving lectures. Second,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human rights start from themselves, and they focused on changing themselves. Third, the participants developed confidence that they can make judgments based on rightness and became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law education. Fourth, the participants learned to apply their knowledge of human rights to marital relationships, children’s education, and capabilities as a lecturer. Fifth, the participants felt that training of human rights lecturer could be more effective if participants are selected based on their identity and qualities as a human rights lecturer.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were developed on how to improve training of human rights lectur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준, "학생인권 보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발전과제" 법과사회이론학회 (56) : 387-428, 2017

      2 이대성, "학교폭력문제 해결을 위한 법과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4 (4): 25-47, 2011

      3 유병열, "학교 인권교육 강화 및 교사의 인권교육 역량 증진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3 (23): 51-71, 2012

      4 김윤나, "평생학습도시에서의 인권교육 접목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4 (4): 49-74, 2011

      5 유형근, "청년 아르바이트 노동실태와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방안 검토" 한국법교육학회 13 (13): 63-92, 2018

      6 조흥식, "질적연구방법론 - 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0

      7 이혜원, "지역아동센터 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 인권감수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49-170, 2010

      8 국가인권위원회, "제2차 세계인권교육프로그램 행동계획" 국가인권위원회 2010

      9 구정화, "인권교육의 의미 재탐색 - 최근 제기되는 의문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3 (23): 5-23, 2017

      10 최용성,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대안적 개발·적용·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175-223, 2014

      1 김병준, "학생인권 보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발전과제" 법과사회이론학회 (56) : 387-428, 2017

      2 이대성, "학교폭력문제 해결을 위한 법과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4 (4): 25-47, 2011

      3 유병열, "학교 인권교육 강화 및 교사의 인권교육 역량 증진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3 (23): 51-71, 2012

      4 김윤나, "평생학습도시에서의 인권교육 접목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4 (4): 49-74, 2011

      5 유형근, "청년 아르바이트 노동실태와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방안 검토" 한국법교육학회 13 (13): 63-92, 2018

      6 조흥식, "질적연구방법론 - 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0

      7 이혜원, "지역아동센터 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 인권감수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49-170, 2010

      8 국가인권위원회, "제2차 세계인권교육프로그램 행동계획" 국가인권위원회 2010

      9 구정화, "인권교육의 의미 재탐색 - 최근 제기되는 의문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3 (23): 5-23, 2017

      10 최용성,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대안적 개발·적용·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175-223, 2014

      11 주효경, "인권감수성 훈련이 정신간호사의 인권의식과 정신질환자에 대한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 22 (22): 169-179, 2013

      12 김윤정, "인권 교육에 따른 온라인대학 성인학습자의 인권감수성 변화에 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15 (15): 27-54, 2017

      13 국가인권위원회, "유엔 세계인권교육프로그램 행동계획" 국가인권위원회 2018

      14 최윤진, "외국의 평생학습도시의 사례와 인권교육"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 (2): 26-42, 2009

      15 나달숙, "세계인권교육프로그램 행동계획에 비추어 본 일반 공무원 인권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4 (4): 1-17, 2011

      16 황미경, "사회복지사의 인권태도와 인권교육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77-100, 2014

      17 박형원, "사회복지과목 이수 대학생의 인권감수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91-200, 2013

      18 오승호, "사회과 법교육에서 인권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한ㆍ미 법교육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법교육학회 6 (6): 113-141, 2011

      19 허종렬, "법교육·인권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법과인권교육연구’ 10년의 성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1 (11): 31-52, 2018

      20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2018 연간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2019

      21 국가인권위원회,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인권교육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4

      22 남재성, "경찰공무원의 인권의식 강화를 위한 경찰 인권교육의 개선방안" 한국경찰연구학회 13 (13): 55-77, 2014

      23 정상우, "간호대학에서의 인권교육 실태 및 필요성 연구" 한국법교육학회 8 (8): 111-140, 2013

      24 Lauren Fielder, "Transnational Legal Processes and Human Rights" Routledge 19-, 2013

      25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07

      26 Giorgi, A,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ne University Press 1985

      27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0.719 0.8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