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 여자 세단뛰기선수 공식기록의 운동학적 변인 비교를 통한 경기력 평가 = An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through the Comparison of Kinematic Variables for the Official Records in World Women’s Triple Jump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5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우수한 세계 엘리트 여자 세단뛰기선수들의 유효한 시기를 선정하여 선수별 운동학적 변인들의 차이와 일관성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우수한 세계 엘리트 여자 세단뛰기선수들의 유효한 시기를 선정하여 선수별 운동학적 변인들의 차이와 일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여자 세단뛰기에서 입상한 선수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선수들의 모든 동작을 완전히 수행한 유효시기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도움닫기 및 홉, 스텝, 점프 국면의 운동학적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각 국면에서의 운동학적 변인들과의 Pearson’s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제동시간과 추진시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난 운동학적 변인과 이와 연계된 변인들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홉, 스텝, 점프 지지 국면에 대한 지지요인(support factor)과 duty factor를 산출하였다. 〔결과〕 총 6번의 시기 중 유효율은 Olha 선수가 66.7 %, Olga 선수가 50 %, Caterine 선수가 83.3 %로 나타났다. 도움닫기 마지막 세 스트라이드 거리는 Olha와 Caterine 선수가 ‘보통-길게-짧게’ 패턴, Olga 선수는 ‘길게-짧게-보통’ 패턴이 나타났다. Duty factor는 홉 강조형 기술 유형은 홉과 점프에서 duty factor 값의 차이가 없었으나 밸런스형은 점프에서 차이가 있었고, 스텝에서는 두 기술 유형 모두 국면 수행 소요시간 대비 지지시간이 홉과 점프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Support factor의 백분율은 Olha와 Caterine 선수의 경우 스텝과 점프에서 제동시간 비율이 상반되는 패턴을 보였다. 반면에, Olga 선수는 홉과 스텝에서 동일한 비율이 나타났고 점프에서는 더 작은 비율을 보였다. Olha와 Caterine 선수의 추진시간은 제동시간과 같이 스텝과 점프에서 상반되는 비율을 보였다. 그리고 Olga 선수는 홉과 스텝의 추진시간 비율이 같고 점프에서 높게 나타났다. 세 국면에서 접지 순간 수평거리의 일관성은 Olha와 Olga 선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 Olga 선수가 가장 일정한 패턴을 보였다. 〔결론〕 마지막 스트라이드 거리(1SL)가 유지되어야만 구름판에서의 거리 손실을 줄이고 도움닫기 발구름 동작의 일관성이 높아져 시기별 성공률도 높아진다. Duty factor는 경기력 수준과 기술 유형을 동시에 판단할 수 있고, support factor는 경기력 수준을 판단하는 변인이기보다는 홉, 스텝, 점프의 기술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변인이다. 세단뛰기 동작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상대적 시간과 국면별 지지 시간(제동과 추진)의 가변성이 일정하다면 시기별 기록의 차이가 작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and consistency of kinematic variables for each athlete by selecting the official records of the world's elite female triple jumpe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level. [Methods] Three 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and consistency of kinematic variables for each athlete by selecting the official records of the world's elite female triple jumpe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level. [Methods] Three athletes who won the prizes at the World Championships Daegu 2011 Women's Triple Jump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only the successful trials were used f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kinematic variables in the hop, step, and jump phase, respectively. Also, kinematic variabl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raking time and pushing time and related variables were described separately. The duty factor and support factor for the hop, step, and jump of support phases were calculated. [Results] The successful trials rate were 66.7% for Olha, 50% for Olga, and 83.3% for Caterine. In the last three stride distances of the approach run, Olha and Caterine had a “medium-long-short” pattern and Olga had a “long-short-medium” patter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uty factor value between hop and jump phases in the ‘hop-dominate’ technique typ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jump phase in the ‘balance’ technique type, and the duty factor value in the step of both technique types was greater than that of hop and jump phases. As for the percentage of the support factor, Olha and Caterine had a characteristic that the percentage of braking time in step and jump phases was opposite. On the other hand, Olga had the same percentage for the hop and step phase, and a smaller percentage for the jump phase. [Conclusion]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board touch-down, maintain a certain last stride(1SL) depending on the technique type. This consistency of the approach run increases reduces distance loss on the take-off board and increases the successful rate of each trial. The duty factor can judge both the performance level and the technique type of triple jump, and the support factor is a variable that can classify the technique types of hop, step, and jump phases. If both the relative time required for the triple jump and the variability of the support time(braking and pushing) for each phase are constant, the difference in records by trial will be sma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재균, "여자 세단뛰기 운동수행의 일관성과 속도전환계수에 의한 최적의 국면비" 한국운동역학회 25 (25): 39-47, 2015

      2 류재균, "남자 세단뛰기 선수들의 운동학적 특성들에 대한 영상분석" 한국체육학회 44 (44): 353-364, 2005

      3 송주호, "국내 엘리트 세단뛰기 선수의 기술 유형과 국면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1 (21): 1105-1114, 2010

      4 Maraj, B. K., "Variance and Invariance in Expert and Novice Triple Junipers" 64 (64): 404-412, 1993

      5 Allen, S. J., "Trade-offs between horiaontal and Vertical velocities during triple jumping and the effect on phase distances" 46 : 979-983, 2013

      6 Yu, B.,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 limb motions and performance in the triple jump" 14 (14): 223-237, 1998

      7 Hay, J. G., "The biomechanics of the triple jump : A review" 10 (10): 343-378, 1992

      8 Fihl, P., "Recognizing human gait types" 183-208, 2010

      9 Yu, B., "Optimum phase ratio in the triple jump" 29 : 1283-1289, 1996

      10 Allen, S. J., "Is a single or double arm technique more advantageous in triple jumping?" 43 (43): 3156-3161, 2010

      1 류재균, "여자 세단뛰기 운동수행의 일관성과 속도전환계수에 의한 최적의 국면비" 한국운동역학회 25 (25): 39-47, 2015

      2 류재균, "남자 세단뛰기 선수들의 운동학적 특성들에 대한 영상분석" 한국체육학회 44 (44): 353-364, 2005

      3 송주호, "국내 엘리트 세단뛰기 선수의 기술 유형과 국면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1 (21): 1105-1114, 2010

      4 Maraj, B. K., "Variance and Invariance in Expert and Novice Triple Junipers" 64 (64): 404-412, 1993

      5 Allen, S. J., "Trade-offs between horiaontal and Vertical velocities during triple jumping and the effect on phase distances" 46 : 979-983, 2013

      6 Yu, B.,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 limb motions and performance in the triple jump" 14 (14): 223-237, 1998

      7 Hay, J. G., "The biomechanics of the triple jump : A review" 10 (10): 343-378, 1992

      8 Fihl, P., "Recognizing human gait types" 183-208, 2010

      9 Yu, B., "Optimum phase ratio in the triple jump" 29 : 1283-1289, 1996

      10 Allen, S. J., "Is a single or double arm technique more advantageous in triple jumping?" 43 (43): 3156-3161, 2010

      11 Yu, B., "Horizontal-to-vertical velocity conversion in the triple jump" 17 (17): 221-229, 1999

      12 McNeill Alexander, R., "Energetics and optimization of human walking and running : the 2000 Raymond Pearl memorial lecture" 14 (14): 641-648, 2002

      13 Hay, J. G., "Effort distribution and performance of olympic triple jumpers" 15 (15): 36-51, 1999

      14 Liu, H., "Effects of phase ratio and velocity conversion coefficient on the performance of the triple jump" 30 (30): 1529-1536, 2012

      15 Abdel-Aziz, Y, I.,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from comparator coordinates into object space coordinates into object space coordinates in close-range photogrammetry" 420-475, 1971

      16 Perttunen, J., "Biomechanical loading in the triple jump" 18 (18): 363-370, 2000

      17 Yu, B., "Angular momentum and performance in the triple jump : A cross-sectional analysis" 11 : 81-102, 1995

      18 우상연,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여자 세단뛰기 경기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21 (21): 621-629,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7-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체육과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4 0.781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