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프로그래밍 강좌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레임워크 = The Programming Education Framework for Programming Course in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3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육되고 있는 프로그래밍 강좌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먼저 프로그래밍에 관한 국내외의 다양한 심리학 및 교육학 관련 논문을 살펴본 결과, ...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육되고 있는 프로그래밍 강좌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먼저 프로그래밍에 관한 국내외의 다양한 심리학 및 교육학 관련 논문을 살펴본 결과, 몇 개의 논문에서 초보 프로그래머와 전문 프로그래머 사이에 존재하는 정신 모델, 프로그래밍 지식과 전략에 관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보 프로그래머가 겪는 많은 문제점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이를 우선 정리하여 프로그래밍 교사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초보 프로그래머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래밍 개발 과정, 프로그래밍 학습 요 소, 교수학습 방법을 세 개의 차원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육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프로그래밍 강좌의 개발과 운영,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present the framework for programming education relating to the programming course in university. First of all, I identify the literature of the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study of programming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Some o...

      In this paper I present the framework for programming education relating to the programming course in university. First of all, I identify the literature of the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study of programming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Some outstanding papers in foreign country show that the mental model, programming knowledge and strategies are the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novice and expert programmers. And various problems experienced by novice programmers are identified. I summarise this material and suggest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gramming teachers in their teaching activity. The framework for programming education presented by this work has three dimensions of program development process, programming learning factor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programming to develope the novice`s programming skill. It helps the programming teacher to design, implement and evaluate their programming course with the guideline of programming activ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승은, "프로그래밍 교육과 필요성의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1-13, 2009

      2 김미량,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 교수방법의 탐색적 대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5 (5): 1-10, 2002

      3 유관희, "초중등학교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 2 (2): 23-29, 2008

      4 문외식,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및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모델" 한국정보교육학회 9 (9): 595-605, 2005

      5 김갑수, "초등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방법론" 초등교육연구원 19 (19): 135-152, 2009

      6 박영미, "초·중등학교에서 수학교육체계와 연계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한국콘텐츠학회 8 (8): 116-127, 2008

      7 김종훈, "창의성향상을위한프로그래밍교육방안" 10 : 127-147, 2005

      8 배학진, "문제 중심 학습을 적용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모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11-22, 2009

      9 유인환,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한국정보교육학회 12 (12): 293-302, 2008

      10 최해심, "객체지향형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 두리틀의 다중 예약어 지원 체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8 (8): 23-32, 2005

      1 차승은, "프로그래밍 교육과 필요성의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1-13, 2009

      2 김미량,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 교수방법의 탐색적 대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5 (5): 1-10, 2002

      3 유관희, "초중등학교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 2 (2): 23-29, 2008

      4 문외식,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및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모델" 한국정보교육학회 9 (9): 595-605, 2005

      5 김갑수, "초등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방법론" 초등교육연구원 19 (19): 135-152, 2009

      6 박영미, "초·중등학교에서 수학교육체계와 연계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한국콘텐츠학회 8 (8): 116-127, 2008

      7 김종훈, "창의성향상을위한프로그래밍교육방안" 10 : 127-147, 2005

      8 배학진, "문제 중심 학습을 적용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모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11-22, 2009

      9 유인환,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한국정보교육학회 12 (12): 293-302, 2008

      10 최해심, "객체지향형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 두리틀의 다중 예약어 지원 체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8 (8): 23-32, 2005

      11 김수환, "개정된 정보교육과정에서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교육적 적용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23-31, 2009

      12 Brooks, R.E, "Towards a theory of the comprehension of computer programs" 18 : 543-554, 1983

      13 Kolling, "The design of an object-oriented environment and language for teaching" University of Sydney 1999

      14 Dehnadi & Bornat, "The camel has two humps" 2006

      15 Shneiderman, B, "Syntactic/semantic interactions in programmer behavior: A model and experimental results" 8 : 219-238, 1979

      16 Soloway, E, "Studying the novice programmer" Lawrence Erlbaum 1989

      17 Du Boulay, B, "Some difficulties of learning to program. In Studying the novice programmer" Lawrence Erlbaum 283-299, 1989

      18 McIver, Conway, "Seven Deadly Sins of Introductory Programming Language Design" 1996

      19 Winslow, L.E, "Programming pedagogy –A psychological overview" 28 : 17-22, 1996

      20 Von Mayrhauser, A, "Program understanding : A surve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Colorado State University 1994

      21 Rist, R.S, "Program structure and design" 19 : 507-562, 1995

      22 Kirsti Ala-Mutka, "Problems in Learning and Teaching Programming"

      23 김병욱, "PBL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차이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15-27, 2010

      24 Spohrer, J.C, "Novice mistakes: Are the folk wisdoms correct? In Studying the novice programmer" Lawrence Erlbaum 401-416, 1989

      25 Davies, S.P, "Models and theories of programming strategy" 39 : 237-267, 1993

      26 Anthony Robins, "Learning and Teaching Programming: A Review and Discussion" 13 (13): 137-172, 2003

      27 Perkins, D.N, "Fragile knowledge and neglected strategies in novice programmers. In Empirical studies of programmers" Ablex 213-229, 1986

      28 Détienne, F, "Expert programming knowledge: A schema based approach. In Psychology of programming" Academic Press 205-222, 1990

      29 Widowski, D, "Comprehending and recalling computer programs of different structural and semantic complexity by experts and novices. In Human decision making and manual control" North-Holland Elsevier 267-275, 1986

      30 Storeya, F, "Cognitive design elements to support the construction of a mental model during software exploration" 44 (44): 171-185, 1999

      31 조성환, "CPS에 기반한 스크래치 EPL이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2 (12): 77-88, 2008

      32 Kak, Avinash, "An essay on the state of how programming is currently taught in many universit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2 2.25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