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V광고에 나타난 양성적 성역할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8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TV광고 속 등장인물의 양성적 성역할을 분석하기위해 1997년 246편, 2007년288편, 2017년 283편 등 총 817편의 광고를 분석한 결과 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TV광고에 등장한 인물들의 양...

      본 연구는 TV광고 속 등장인물의 양성적 성역할을 분석하기위해 1997년 246편, 2007년288편, 2017년 283편 등 총 817편의 광고를 분석한 결과 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TV광고에 등장한 인물들의 양성적 성역할은 양성적 유형, 남성적 유형, 여성적 유형, 미분화 유형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을 때 양성적 유형보다는 남성적 유형과 여성적 유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양성적 성역할 유형을 연도별로 비교한 결과 과거에는 미미하다가 최근에 와서야 양성적 유형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등장인물의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남자는 남성적 유형으로, 여자는여성적 유형으로 가장 많이 표현되었으나, 양성적 유형 내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성유형화 제품군별로 비교한 결과, 남성적 제품에서는 남성적유형이, 여성적 제품에서는 여성적 유형이 가장 많이 표현되었으며, 최근에는 양성적 유형이 전반적으로 크게 늘어났다. 결론적으로, TV광고에 나타난 등장인물들의 양성성은 최근에 와서 그 비중이 높아졌으나, 남성에게 치우치게 반영됨으로써 남성들은 양성성이 많아진 반면 여성들은 여전히여성성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d analyzed 817 TVCs(246 in 1997, 288 in 2007, 283 in 2017) to compare androgynous gender role of figures in TVCs, and figured out below. First, classifying androgynous gender role of figures in TVCs as 4 types such as androgynous type, ma...

      This study had analyzed 817 TVCs(246 in 1997, 288 in 2007, 283 in 2017) to compare androgynous gender role of figures in TVCs, and figured out below. First, classifying androgynous gender role of figures in TVCs as 4 types such as androgynous type, masculine type, feminin type, and undifferentiated type, this study has reflected that the rate of masculine or feminine typ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ndrogynous type. Second, compared by year, androgynous type accounted for the biggest proportion recently. Third, compared by gender, males took bigger portion than females in the androgynous type, though males were represented as masculine type and females as feminine type. Lastly, compared by gender typed product category, masculine type applied to men’s products and feminine type for women’s products. To summarize, the rate of androgyny of figures on TVCs has risen recently, but reflected to males too much. Thus, the androgyny has been increased in males. though females consisted of feminity mos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서론
      • 이론적 배경
      • 양성성의 개념과 유형
      • 양성적 성역할의 특성
      • 국문초록
      • 서론
      • 이론적 배경
      • 양성성의 개념과 유형
      • 양성적 성역할의 특성
      • 양성적 성역할의 척도
      • 광고와 성역할 연구
      • 연구문제
      • 연구방법
      • 표집방법 및 분석대상
      • 분석유목
      • 분석방법
      • 코딩의 신뢰도 및 검토방법
      • 연구결과
      • TV광고 속 등장인물의 양성적 성역할 유형
      • 양성적 성역할 유형의 연도별 차이
      • 양성적 성역할 유형의 등장인물 성별 차이
      • 양성적 성역할 유형의 성유형화 제품군별 차이
      •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희, "한국형 성역할검사(Korean Sex Role Inventory)개발 연구" 27 : 153-182, 1988

      2 정진경, "한국 성역할 검사(KSRI)" 5 (5): 105-126, 1990

      3 김지현, "한국 단축형 성역할 척도(KSRI-SF; Korean Sex Role Inventory-Short Form)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125-147, 2016

      4 김상훈, "인터넷 광고에 반영된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내용 연구" 한국광고학회 17 (17): 163-195, 2006

      5 최은섭, "옥외 광고에서 여성은 차별되어 표현되고 있는가?- 지하철 광고 및 COEX 광고에 표현된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OOH광고학회 6 (6): 101-133, 2009

      6 고미라, "여성학 용어 사전" 7 : 127-137, 1996

      7 안대천, "여성 역할 성향과 공격적 여성역할 묘사 광고효과의 구조관계 연구" 한국방송학회 22 (22): 92-128, 2008

      8 김완석, "여성 리더의 심리 · 사회적 특성과 커리어지향성" 한국여성심리학회 9 (9): 1-23, 2004

      9 남수정, "성역할정체성, 자아존중감,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따른 메트로섹슈얼 소비" 한국생활과학회 19 (19): 91-102, 2010

      10 정진경, "성역할 연구의 양성적 시각" 3 (3): 132-170, 1987

      1 김영희, "한국형 성역할검사(Korean Sex Role Inventory)개발 연구" 27 : 153-182, 1988

      2 정진경, "한국 성역할 검사(KSRI)" 5 (5): 105-126, 1990

      3 김지현, "한국 단축형 성역할 척도(KSRI-SF; Korean Sex Role Inventory-Short Form)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125-147, 2016

      4 김상훈, "인터넷 광고에 반영된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내용 연구" 한국광고학회 17 (17): 163-195, 2006

      5 최은섭, "옥외 광고에서 여성은 차별되어 표현되고 있는가?- 지하철 광고 및 COEX 광고에 표현된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OOH광고학회 6 (6): 101-133, 2009

      6 고미라, "여성학 용어 사전" 7 : 127-137, 1996

      7 안대천, "여성 역할 성향과 공격적 여성역할 묘사 광고효과의 구조관계 연구" 한국방송학회 22 (22): 92-128, 2008

      8 김완석, "여성 리더의 심리 · 사회적 특성과 커리어지향성" 한국여성심리학회 9 (9): 1-23, 2004

      9 남수정, "성역할정체성, 자아존중감,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따른 메트로섹슈얼 소비" 한국생활과학회 19 (19): 91-102, 2010

      10 정진경, "성역할 연구의 양성적 시각" 3 (3): 132-170, 1987

      11 장수지, "문화와 성역할정체감: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비교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31-45, 2011

      12 조이영, "라디오 광고에 나타난 성역할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30 (30): 264-292, 2016

      13 남승희,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성 고정관념" 한국성인간호학회 17 (17): 561-572, 2005

      14 한정아,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8 (8): 317-328, 2002

      15 최은섭, "광고의 성유형화 표현이 아동소비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8 (8): 94-127, 2006

      16 Maccoby, E. E., "The psychological of sex differenc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4

      17 Spence, J. T., "The personal attributes questionnaire: A measure of sex role stereotypes and masculinity-femininity" 4 (4): 1974

      18 Bem, S. L.,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42 : 155-162, 1974

      19 Perez-Quintana, A., "The influence of sex and gender-role orientation in the decision to become an entrepreneur" 9 (9): 8-30, 2017

      20 Lieven, T., "The impact of brand gender on brand equity : Findings from a large-scale cross-cultural study in ten countries" 33 (33): 178-195, 2016

      21 김종필, "TV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성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 1993년, 2003년과 2012년의 TV광고 속 여성의 성역할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93-233, 2014

      22 김희정, "TV광고에 나타난 성역할 이미지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1 (21): 7-68, 2007

      23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Prentice-Hall 1977

      24 Bem, S. L., "Psychology of women: Future directions and research" Psychological Dimensions 1-23, 1978

      25 Bem, S. L., "On the utility of alternative procedures for assessing psychological androgyny" 45 : 196-205, 1977

      26 Way, A D., "Management of gender roles : Marketing the androgynous leadership style in the classroom and the general workplace" 31 (31): 82-94, 2013

      27 Stake, S.,J., "Integrating expressiveness and instrumentality in real-life setting: A new perspective on the benefits of androgyny" 37 (37): 541-564, 1997

      28 Grohmann, B., "Gender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46 (46): 105-119, 2009

      29 Goffman, E., "Gender advertisemen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30 Ford, J., "Differing reactions to female role portrayals in advertising" 33 (33): 43-52, 1993

      31 Shiminaka, Y., "Androgyny and successful adaptation across the life span among Japanese adults" 158 (158): 389-400, 1997

      32 권승경, "1990년대 국내 화장품 잡지광고의 여성상 연구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3 (23): 89-104,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6 1.39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