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촌지역 소규모 중학교 운영실태 및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Small Sized Middle School at Rural Areas and Its Development Pl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77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 in Korea under humanitarian ideal allows all nations to build up their own characters and have independent living skills and capability necessary for democrats, in order to lead a humane life and to help realiz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

      Education in Korea under humanitarian ideal allows all nations to build up their own characters and have independent living skills and capability necessary for democrats, in order to lead a humane life and to help realiz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ideal of mutual prosperity.
      Moreover, "right to receive education" is prescribed by the Constitution of Korea with appropriate facilities and system, so that everyone is able to receive an education based on their ability. Also, it is legally stated that educational policy that allows socially·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to receive equal education should be realized. However,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opulation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decreased; size of the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se areas reduced rapidly; educational gap between city and rural area is getting wider. This situation is causing a vicious cycle where more and more people are giving up farming and number of students schooling in small size middle school is getting smaller.
      Such vicious cycle is causing a problem of which "right to receive education" is not guaranteed, because the educational policy in these schools is not able to provide equal education and normal curriculum due to various reasons. Thus, in order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e of this small sized middle school and plan its normalization,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 was studied.
      Firstly, small sized middle schools can be amalgamated into one centralized school to expand the school size and normalize the operation of curriculum. This will lead to securement of students' rights to receive education and increase in the efficiency of operational funds.
      Secondly, as a plan to develop small school into specialized school, specialized school for rural area that emphasized the peculiarity of rural areas can be created. In this way, school can attract students from other area and play the central role in community development.
      Thirdly, small sized middle school students' lacking of sociality and insufficient competitiveness can be improved by establishing various cooperative system like school, local resident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facilities and develop an affiliate program or combine curriculu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Ⅰ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대상 및 범위 = 2
      • 제3절 연구의 방법 = 3
      • 제Ⅱ장 이론적 배경 = 4
      • 제Ⅰ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대상 및 범위 = 2
      • 제3절 연구의 방법 = 3
      • 제Ⅱ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소규모 학교의 개념 및 특징 = 4
      • 1. 소규모 학교의 개념 = 4
      • 2. 소규모 학교의 기능 = 5
      • 3. 소규모 학교의 특징 = 7
      • 제2절 중학교 교육과정 = 12
      • 1. 중학교 기능과 교육의 목적 = 12
      • 2.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16
      • 제3절 외국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 정책 = 27
      • 1. 영국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 정책 = 27
      • 2. 미국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 정책 = 36
      • 3. 캐나다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 정책 = 39
      • 제Ⅲ장 농촌지역 소규모 중학교 운영실태 및 문제점 = 50
      • 제1절 농촌지역 소규모 중학교 현황 = 50
      • 1. 군산지역 관내 중학교 현황 = 50
      • 2. 소규모 학교 통·폐합 추진 현황 = 52
      • 제2절 농촌지역 소규모 중학교 운영 실태 = 55
      • 1. 교육과정 편성 현황 = 55
      • 2. 교육활동 운영 현황 = 62
      • 3. 교원 배치 현황 = 65
      • 4. 예산 및 시설 현황 = 69
      • 5. 교육협력 체제구축 현황 = 73
      • 제3절 농촌지역 소규모 중학교 운영상의 문제점 = 75
      • 1. 교육과정 측면 = 75
      • 2. 인력활용 측면 = 76
      • 3. 교육여건 측면 = 77
      • 제Ⅳ장 농촌지역 소규모 중학교 발전 방안 = 78
      • 제1절 소규모 중학교 통·폐합 활성화 방안 = 78
      • 제2절 작고 아름다운 특성화 학교 육성 방안 = 80
      • 제3절 소규모 중학교 협력 체제구축 방안 = 82
      • 1. 학교 간 교육협력 = 83
      • 2. 지역 내 교육협력 = 85
      • 3. 지방자치단체와 교육협력 = 86
      • 제Ⅴ장 결론 = 89
      • 참고문헌 =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