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8도 관찰사의 재임실태 = The Actual Condition of Being in Office of Eight Do(道 ; Provinces) in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0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이 개창된 이후 8도체제 하에서 각 도에 재임했던 관찰사의 재임실태를 지역별로, 시기별로 비교하여 조선시대 관찰사제의 운영실태를 파악하려는 뜻에서 작성되었다. 검토...

      본 연구는 조선이 개창된 이후 8도체제 하에서 각 도에 재임했던 관찰사의 재임실태를 지역별로, 시기별로 비교하여 조선시대 관찰사제의 운영실태를 파악하려는 뜻에서 작성되었다. 검토시기는 조선이 개창된 이후 8도체제가 유지되었던 고종 32년(1895) 5월까지이다. 이때이후로 지방행정체계는 23부제로, 곧이어 다시 13도제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통계의 기본 수치인 관찰사의 총수는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의 한국사상의 관인관직 DB를 바탕으로 『실록』과 『승정원일기』, 읍지류에 나타난 관찰사의 재직기사와 내용을 상호교차확인하고 보충하여 이를 다시 임명ㆍ재직ㆍ면직 순으로 정리한 자료를 바탕으로 마련하였다.
      관찰사의 정비과정은 도별로 각각 다른 속도로 진행되었다. 직명의 정비시기를 기준으로 할 때 관찰사제의 정비시기는 충청도ㆍ강원도-황해도-경상도-전라도-경기도ㆍ함경도ㆍ평안도 순이었다. 특히 함경도와 평안도는 군사지역이면서 행정지역이라는 양면적 성격을 담고 있는 특징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법전에 규정된 관찰사의 임기는 조선전기는 1년이었고 조선후기는 2년이었다. 실제로 8도체제하에서 도별로 재임한 관찰사의 총수를 정리한 결과 관찰사의 실제 평균재임기간은 『경국대전』에서 정한 바와 같은 1년 정도였음을 알 수 있었다. 관찰사의 왕대별 평균재임기간은 평균재임기간인 1년을 기준으로 조선전기의 왕대가 집중되어 있었다. 조선후기의 왕대는 관찰사의 평균재임기간이 1년이상이거나 1년 미만으로 양분되었다. 관찰사의 평균재임기간이 평균이상인 경우는 세도정치로 일컬어지는 순조-헌종-철종이었다. 반대로 평균이하인 경우는 효종으로부터 정조에 이르는 7대의 왕대가 포함되었다. 8도별 관찰사의 재임기간은 각 도별 특징과 맞물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기도는 관찰사의 임기를 2년으로 연장해야 한다는 논의가 거셀 때에도 여전히 예외적으로 1년을 항식으로 간주되었다. 반대로 함경도와 평안도는 조선초기부터 관찰사의 임기를 2년으로 해 왔다. 실제로 관찰사의 평균재임기간에서도 평안도와 함경도가 가장 높았고 경기도가 강원도 다음으로 낮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강원도가 가장 낮은 재임기간을 갖는 것은 해당 지역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원인과 배경을 살펴야 하겠다.
      관찰사의 출신성분과 성관은 4개도 이상에 여러 차례 임명된 관찰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우선 출신성분은 대부분 문과출신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은 수로나마 무과와 음관출신자가 있었지만 모두 조선전기 인물이면서 왕실의 인척관계로 인한 배경이 주요했던 예외적 인물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해당 관찰사의 성관은 조선 전기에 비해 후기의 성관수가 줄어든 반면 해당 인명수는 늘어남으로써 성관의 집중도가 전기에 비해 후기가 높은 특징을 나타냈다. 아울러 전기에만 혹은 후기에만, 그리고 전ㆍ후기에 모두 나타난 각각의 시기별 성관 분석을 통해 볼 때 해당 관찰사의 배출 성관 중 전주 이씨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realities of provincial governor system in Joseon, comparing regionally and periodicall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rovincial governors under Eight Do system. The period covers from the genesis of Joseon to Ko-Jong(高宗) y...

      This study is about the realities of provincial governor system in Joseon, comparing regionally and periodicall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rovincial governors under Eight Do system. The period covers from the genesis of Joseon to Ko-Jong(高宗) year of 23, when Eight Do system was dissolved on May in 1895.
      Statistical figures of total provincial governors were prepared from the research of <Sil-Rok(實錄)>, <Seong Jung Won Diary(承政院日記)>, and kinds of Ep-Jie(邑誌)
      The term of office of a provincial governor in the code of laws was one year during former period and two i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Under Eight Do system, my research proved that eventually the average term of provincial governors was one year as it is written in <Kyung kuk Dae jun(經國大典)>.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provincial governor system was not practiced simultaneously in Eight Do.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its position name, the order is as it follows: Chung Cheong Do(忠淸道), Kang Won Do(江原道) - Hwang Hae Do(黃海道) - Kyung Sang Do(慶尙道) - Kyung Kie Do(京畿道), Ham Kyung Do(咸鏡道), Pyung Ahn Do(平安道). Especially I discovered that Ham Kyung Do and Pyung Ahn Do characteristically had double aspects of military regions as well as administrational provinces.
      The one year average terms of being in office mostly showed up in the kings's regime in the former period of Joseon. In the latter period, the terms were separated between under one year and over one year. It is the regimes of Sun Jo(純祖), Heon Jong(顯宗), and Chol Jong(哲宗) when the terms of being in office were over the average. The periods are known as Sae Do Jung Chie(世道政治). Opposite to these, the periods of seven kings from Hyo Jong(孝宗) to Jeong Jo(正祖) were under the average.
      It is understood that the realities of being in office wer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vince. Kyung Kie constantly kept the one year term in the time when the voices of extending the term were loud. This research proves that actually Ham Kyung Do and Pyung Ahn Do show the highest average terms and Kyung Kie is the next to Kang Won Do in the lowest. Further research is needed synthetically about Kang Won Do's lowest average ter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양수, 김양식, "조선후기 忠淸監司와 淸州守令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 한국사연구회 125 (125): 119-175, 2004

      2 李東熙, "조선시대 전라도의 감사와 수령 명단"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 1995

      3 최선혜, "고려말ㆍ조선초 지방세력의 동향과 관찰사의 파견" 78 : 1994

      4 최선혜, "고려말ㆍ조선초 관찰사론의 전개와 중앙집권체제의 정비" 76 : 1997

      5 李樹健, "韓國中世社會史硏究" 1984

      6 "邑誌" 아세아문화사 1986

      7 "經國大典"

      8 "朝鮮王朝實錄"

      9 任先彬, "朝鮮時代의 外官制度와 忠淸道觀察使" 향토사연구 2002

      10 李樹健, "朝鮮時代地方行政史" 민음사 1989

      1 김양수, 김양식, "조선후기 忠淸監司와 淸州守令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 한국사연구회 125 (125): 119-175, 2004

      2 李東熙, "조선시대 전라도의 감사와 수령 명단"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 1995

      3 최선혜, "고려말ㆍ조선초 지방세력의 동향과 관찰사의 파견" 78 : 1994

      4 최선혜, "고려말ㆍ조선초 관찰사론의 전개와 중앙집권체제의 정비" 76 : 1997

      5 李樹健, "韓國中世社會史硏究" 1984

      6 "邑誌" 아세아문화사 1986

      7 "經國大典"

      8 "朝鮮王朝實錄"

      9 任先彬, "朝鮮時代의 外官制度와 忠淸道觀察使" 향토사연구 2002

      10 李樹健, "朝鮮時代地方行政史" 민음사 1989

      11 李存熙, "朝鮮時代地方行政制度硏究" 일지사 1990

      12 金鎬逸, "朝鮮後期의 外官制" 8 : 1989

      13 李羲權, "朝鮮後期 觀察使와 그 統治機能" 9 : 1985

      14 李羲權, "朝鮮後期 地方統治行政 硏究" 集文堂 1998

      15 李存熙, "朝鮮前期의 外官制" 8 : 1989

      16 張炳仁, "朝鮮初期의 觀察使" 4 : 1978

      17 "承政院日記"

      18 "大典會通"

      19 "原州市史" 원주시사편찬위원회 2000

      20 "京畿道史" 경기도사편찬위원회 2002

      21 "(增補)慶尙道先生案 -역대 경상도 도정 책임자 인명록" 韓國國學振興院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