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 어머니의 미술치료활동 경험 = Experiences of art therapy activities of mothers with an autistic elementary schoolchild attending special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166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의 어머니들이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경험한 다양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자폐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미술치료...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의 어머니들이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경험한 다양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자폐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생각해 보고자 함에 있다. 또한 미술치료사들에게는 자폐아 어머니에 대한 전반적 이해자료를 제공하여 자폐아 치료에 있어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소아·청소년 정신과에서 자폐증으로 진단 받은 경기도 지역 특수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자폐아의 어머니 5명이다. 2003년 7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회, 회기당 60분정도로 총 10회기의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는 인간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있고 또한 인간 경험의 기본적인 구조이며, 총체적인 질(Holistic Quality)을 가지고 있는(Connelly & Clandinin, 1990)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따라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면담과 현장관찰, 참여자의 미술치료활동 작품, 현장일기, 참여자의 일기, 참여자에게 받은 이메일로 이루어졌고, ‘이야기하기’(telling)와 ‘다시 이야기하기’(retelling)를 통해 참여자의 경험 세계를 이해하고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인 5명의 특수학교 재학중인 자폐아의 어머니들이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진술한 경험이야기를 각 어머니별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1.'A' 미술치료활동 경험
      : ‘A' 는 1남 1녀를 두고 있으며, 그녀의 장남은 공격적인 성향이 있고, 식탐이 유난히 많은 자폐아이다. 자폐증 아들을 양육하는 데 있어 남편이 매우 지지적이고 협조적이며 그녀의 딸 역시 오빠와 스스럼없이 잘 어울린다.
      <나만을 위해 준비된 재료들을 마음껏 사용하며 샘솟는 자신감><그림 속에서 고스란히 묻어 나오는 이중적인 나의 모습이 혼란스러움><못난 감자 같지만 따져보면 잘 하는 것도 많은 아들이 소중함><나의 도움이 오히려 아이에게 불편감을 줄 수 도 있다는 생각이 듬><자폐아 오빠를 둔 딸이 늘 마음에 쓰임><‘유난히 지랄 맞은 놈 엄마’가 아닌 나 자체로 인정받는 시간이 소중함><나 자신을 쌓아가고 싶은 의욕이 솟아남><성질 더러운 내 자식 시설에서 매맞아 죽을까봐 먼저 죽지도 못함><내 마음의 그릇을 키워주는 특별한 아이><힘든 시간 함께 해 온 남편에 대한 고마움을 작품 속에 표현함>
      2.'B'의 미술치료활동 경험
      :'B'는 남편과의 사이에 외동아들을 두고 있으며 매사에 적극적인 성격이다. 그녀와 아들 모두 신체적으로 매우 허약한 편으로 특히 아들의 작은 변화에도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며 신체화 경향성이 높은 편이다. 아들의 장애진단에 대한 충격으로 1년간 정신과에서 우울증 치료를 받은 경력이 있다.
      <캄캄한 고민상자를 스스로 깨고 나온 내 자신이 기특함><가슴깊이 꾹 눌러놨던 얘기를 봇물 터지듯 쏟아내는 후련함><자기 안에 갇힌 아이를 세상 밖으로 섞어주어야 하는 책임감><잃어버린 나를 찾는 시간은 누구에게도 뺏기고 싶지 않음><마음의 찌꺼기를 걸러주는 필터 같은 시간으로 머리가 맑아짐><‘톡톡’ 치는 상동행동이 사춘기 들어 심해져 내 신경도 날카로워짐><변화를 못 견디는 아이와 치루는 전쟁이 진절 넌더리 남><오로지 아이만 신경 쓰느라 삶에 찌든 내 모습이 안쓰러움><나 없으면 오갈 데도 없는 아들 걱정에 이민까지 고려함><아이를 통해 더불어 사는 법을 알게 됨>
      3.'C'의 미술치료활동 경험
      :‘C'는 말수가 매우 적으며 소극적인 성격의 소유자로 아들의 자폐증 진단 이후 외부세계와 단절감을 많이 느낀다. 그녀의 남편은 아들의 장애를 수용하는 데 아직까지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녀의 딸 역시 엄마의 관심이 오빠에게 집중되는 것에 대해 분노감정을 느끼며 반항적인 태도를 보인다.
      <아이와 나 둘만 외계인이 된 듯한 단절감에 서러움><나와 같은 처지에 있는 다른 엄마들의 작품에 관심이 생김><‘일요일은 오뚜기 카레.레.레...’, 점점 심해지는 아들의 광고 따라하기로 속 터지게 답답함><이제서 불만을 터트리기 시작하는 딸의 반응이 당혹스러움><아들을 ‘바붕이’ 라고 부르는 남편에 대한 서운함><미술작품 속에서 처음 대면하는 내 모습이 낯설고 어색함><무뎌진 감정들이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조금씩 되살아 남><중학생이 되는 것 조차 상상 안 되는 불투명한 아들의 미래>
      4.'D'의 미술치료활동 경험
      :‘D'는 큰 사업체를 운영하는 남편과의 사이에 2남을 두고 있다. 그녀는 자폐아인 막내아들과 매우 밀착되어 있으며 허용 적인 양육태도를 보인다.
      <‘우리는 한 몸’, 죽을 때도 데려가야 되는 아이를 생각하니 서글픔><사춘기에 시작된 경기발작으로 심장이 덜컥 내려앉음><자폐아들을 중심으로 가족이 융화되고 서로 위해줌><내가 가진 고통의 무게로 다른 사람의 아픔을 이해하게 됨><나에게 방패막이가 되어주는 아들><그림을 그리면서 이야기가 술~술 풀려 나오는 편안함><혼자 지지고 볶던 마음이 그림에서 딱 드러나는 게 신기함><감추고 싶은 모습이 그림 속에서 들춰지는 것이 두려움>
      5.'E'의 미술치료활동 경험
      :‘E'는 남편과의 사이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 본 연구 참여자들 중 유일하게 자폐증 딸을 둔 어머니이며 시댁과 친정모두 엘리트층이며 그녀 역시 법대 출신으로 지적인 이미지의 소유자이다.
      <그림 속에서 되살아나는 딸에 대한 뭉클함><마냥 두 살배기 같은 딸의 장래를 생각하면 덜컥 겁이남><제법 처녀티가 나는 아이의 몸이 부담스러움><일거수 일투족 쫓아다녀야 되는 아이 덕에 시댁 일에 면죄부 받음><온전히 나를 위해 준비된 주인공 역할에 몰입하는 즐거움><아이의 장애로 인해 세상을 여러 방향에서 보게됨><내가 만든 작품처럼 뚱딴지같은 딸도 꼭 필요한 존재임><손으로 꼬물꼬물 만들면서 몰랐던 내 모습과 만나는 신기함>
      이들 5명의 연구참여자인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 어머니의 미술치료활동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재구성 해볼 수 있다.
      첫째, 미래에 대한 암담한 심정을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표출시킨다.
      둘째,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자녀의 심신 발달의 불균형으로 인해 겪는 심적 고통을 토로하는 계기가 된다.
      셋째, 미술치료활동시간만큼은 아이에게 벗어나 자신에게 집중 하는 자유로움을 경험한다.
      넷째, 그림 속에서 아이로 인한 긍정적인 부분들을 발견하게 된다.
      이를 통해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 어머니의 미술치료활동 경험에 관한 최종적 결론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내려볼 수 있다.
      첫째, 미술치료활동은 자녀의 장애로 인한 기쁨과 고통을 아이의 입장, 나의 입장, 타자의 입장에서 통합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기회를 부여한다.
      둘째, 미술치료활동은 자폐아의 양육과 진로에 대해 어머니 스스로 솔직한 이야기를 꺼내놓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셋째, 미술치료활동 시간만큼은 온전히 자신만을 위한 시간이 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초등학생 자폐아를 둔 어머니들로서 자녀가 성인이 되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염려스러운 감정을 표현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실제로 성인 자폐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자폐증 아들을 둔 어머니의 경험에 편중되어 있다. 자폐증 딸을 둔 어머니들만의 특수한 경험에 초점을 둔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자폐아 어머니의 경험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셋째, 후속연구에서는 자폐아 가정의 사회경제적 계층을 고려하여 경험을 심도 깊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장애아의 교육, 치료에 있어 개인의 부담이 큰 한국의 사회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계층의 어머니들에 대한 경험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교 특수반 어머니와 특수학교 어머니의 경험의 상이성에 의해 특수학교 어머니로 대상을 한정했다. 일반아 속에서의 차별대우, 보조교사제도에 대한 관심 등 일반학교 특수반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nature of various experiences that mothers with an autistic elementary schoolchild attending special school had through art therapy activities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to identify f...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nature of various experiences that mothers with an autistic elementary schoolchild attending special school had through art therapy activities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to identify factors to consider in art therapy for autistic children's m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art therapists with materials for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autistic children's mothers so that they may have a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mothers in treating autistic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mothers with 6th-grade autistic children attending special elementary schools in the Gyeonggi-do area, who had been found to have autism by medical specialists in children/juvenile psychiatry. Individual art therapy was conducted upon the subjects from July to October 2003, once a week and a total of 10 times, and 60 minutes at each time.
      Data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were focused on the subjects' human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Connelly & Clandinin, 1990), which is based on the basic structure and holistic quality of human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field observation, the participants' art works, field diaries, the participants' diaries and emails received from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author understoo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deriv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through 'telling' and 'retelling.'
      This study analyzed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as told by the five mothers with autistic children attending special elementary schools,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1. Mother ‘A's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A' has a son and a daughter. Her elder son is an aggressive and gluttonous autistic child. In raising the son, her husband is very supportive and cooperative and her daughter also plays well with her brother.
      <Confidence welling up when freely using materials prepared only for me><Feeling confused by my other side entirely disclosed by paintings><Treasuring my son who is good in many things although looking like a ugly potato><Sometimes thinking that my help would rather inconvenience my son><Always concerning over my daughter who has an autistic brother><Feeling I am precious when I am treated as I am rather than as a mother of 'an exceptionally insane boy'><Desire to develop myself><Impossible to die earlier than the son, worrying if my bad-tempered son may be beaten to death at a facility><My son a special boy who is broadening my mind><Expressing my appreciation in my works for my husband's being with me throughout hard time>
      2. Mother ‘B's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 Mother 'B' has an only son between her and her husband, and she is positive in all matters. Both she and her son are physically weak and, particularly reacting very sensitively to minor changes in her son, she shows a high tendency of somatization. Shocked at the diagnosis of her son's mental disorder, she had been treated of depression at psychiatry for a year.
      <Admiring myself who broke away the dark box of agony><Feeling free as if pouring out stories I have suppressed in my deep heart><Feeling responsible for leading the child confined in himself out to the world><Hating to be deprived of time for me to look for the lost self><Getting clear through time like a filter that strains out dregs in my heart><Getting mores sensitive to my kid's stereotypic behavior of tapping 'tick tick' that has gotten worse as he turned reach puberty><Getting truly tired of war with the son who cannot endure change><Feeling sorry for myself who is worn out with the child><Considering immigration out of worry about the son who will be thrown away without me><Learning how to live with others through the child>
      3. Mother ‘C's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 Mother 'C' is a very taciturn and passive woman, feeling alienated from the outside world since her son was found to be autistic. Her husband still has difficulties in accepting his son's disability. Her daughter also feels angry and takes a defiant attitude as the mother's attention is concentrated on the brother.
      <Getting sorrowful as I and my son look like aliens separated from the world><Getting interested in other mothers' works><Feeling choky when seeing my son desperately copying commercial message 'On Sunday Ottugi Curry..ry..ry...'> <Being perplexed with the response of the daughter who begins to complain><Feeling sorry for my husband who calls the son 'a fool'><Feeling Strange and awkward to myself I see first in my paintings><Getting more sensible through art therapy activities><My son's unimaginable dark future>.
      4. Mother ‘D's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 Mother 'D' has two sons between her and her husband who is running a large-sized business. She adheres to her autistic younger son and raises him permissively.
      <Thinking 'We are one body', regretting having to die together><Being shocked when the son began fits of convulsion in his puberty><Feeling bound in love among family members through the autistic son><Now understanding others' pains through my own unbearable pain><My son a shield for me><Feeling comfortable when drawing as if a story is coming out fluently><Amazing that my picture reveals my irritated inner mind as it is><Fearing if my real self, which I want to hide, may be disclosed>
      5. Mother ‘E's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 Mother 'E' has a son and a daughter between her and her husband. She is the only mother who has an autistic daughter. Both her family and her husband's family are elite class and she is an intelligent woman who graduated from a law school.
      <Getting filled with emotion when seeing my daughter reviving in my paintings><Being struck with awe when thinking the future of my daughter looking like only two year old><Feeling burdened when seeing my child's body growing as a girl><Being exempted from chores at my husband's house thanks to the daughter who needs help in her every move><Bing joyful to be absorbed in playing a heroine who is prepared solely for me><Looking at the world in many aspects because of the daughter's disability><Thinking there should be dull ones like my daughter as in my works><Loving to meet myself who I have not know before while making something by hand>
      This study restructured into four points the meanings of experiences of art therapy activities of the five mothers who had autistic children attending special school.
      First, They express their heavy heart for their children's dark future through fine art therapy activities.
      Second, Art therapy activities give them opportunities of pouring out mental pains from their children's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body and the mind.
      Third, They feel freedom during art therapy activities as they turn their attention from their children to themselves.
      Fourth, In paintings, they find positive sides with regard to their children.
      Based on these meanings, art therapy activities experienced by mothers who have autistic children attending special elementary schools are finally concluded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activities give opportunities for having an integrated view of delights and pains caused by the child's disability from the child's position, from my position and from others' position.
      Second, Art therapy activities give mothers opportunities for talking frankly about their autistic children's growth and future course.
      Third, Art therapy activities give mothers time solely for themselves.

      Based on the conclusions, the author makes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expressed their anxiety and worry about their children's future as mothers of autistic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autistic an adult son or daughter.
      Second, this study was mainly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an autistic son. If the peculiar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an autistic daughter are studied in depth, the experiences of mothers with autistic children will be understood more broadly.
      Thi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mothers with autistic children considering the social and financial conditions of their families. Considering that a personal burden is heavy in educating and treating disabled children in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mothers with financial difficulties.
      Fourth, this study was limited to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special elementary schools because of the heterogeneity of special classes in ordinary schools and special schools.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concerning discriminative treatment among ordinary children, interest in assistant teacher system, et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i
      • 목차 = vi
      • Ⅰ. 서론 = 1
      • 1. 나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 1
      • 1) 나의 어린시절의 경험에 관한 이야기 = 1
      • 논문개요 = i
      • 목차 = vi
      • Ⅰ. 서론 = 1
      • 1. 나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 1
      • 1) 나의 어린시절의 경험에 관한 이야기 = 1
      • 2) 나의 발달장애아반 교리교사 경험에 관한 이야기 = 4
      • 3) 나의 미술치료활동 경험에 관한 이야기 = 6
      •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8
      • 3. 연구문제 = 11
      • Ⅱ. 문헌고찰 = 12
      • 1. 장애아 어머니에 관한 문헌고찰 = 12
      • 2. 자폐아 어머니와 미술치료활동 = 15
      • 3. 미술치료학과 연구방법 = 19
      •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3
      • 1. Clandinin &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 = 23
      • 1)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및 필요성 = 23
      • 2)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 = 25
      • 2.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 25
      • 1) 현장에 들어가기: 이야기 속으로 걸어 들어가기 = 26
      • 2) 현장에서 현장텍스트로: 이야기의 장소에 존재하기 = 30
      • 3)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구성하기 = 30
      • 4) 현장 텍스트로부터 연구 텍스트로: 경험에 대한 의미 만들기 = 37
      • 5)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 = 38
      • 3. 내러티브 탐구에서 글쓰기 = 39
      • 4.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인 = 41
      • 5. 윤리적 고려 = 41
      • Ⅳ.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 어머니의 미술치료활동 경험이야기 = 43
      • 1.'A'의 이야기 = 43
      • 1)‘A’의 생활환경 = 43
      • 2)‘A’와 자폐증 아들 = 44
      • 3)‘A’의 미술치료 활동 경험 = 45
      • 경험이야기1. 나만을 위해 준비된 재료들을 마음껏 사용하며 샘솟는 자신감 = 45
      • 경험이야기2. 그림 속에서 고스란히 묻어 나오는 이중적인 나의 모습이 혼란스러움 = 47
      • 경험이야기3. 못난 감자 같지만 따져보면 잘 하는 것도 많은 아들이 소중함 = 50
      • 경험이야기4. 나의 도움이 오히려 아이에게 불편감을 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듬 = 51
      • 경험이야기5. 자폐아 오빠를 둔 딸이 늘 마음에 쓰임 = 53
      • 경험이야기6. ‘유난히 지랄 맞은 놈 엄마’가 아닌 나 자체로 인정받는 시간이 소중함 = 55
      • 경험이야기7. 나 자신을 쌓아가고 싶은 의욕이 솟아남 = 56
      • 경험이야기8. 성질 더러운 내 자식 시설에서 매맞아 죽을까봐 먼저 죽지도 못함 = 58
      • 경험이야기9. 내 마음의 그릇을 키워주는 특별한 아이 = 59
      • 경험이야기10. 힘든 시간 함께 해 온 남편에 대한 고마움을 작품 속에 표현함 = 60
      • 2.‘B’의 이야기 = 63
      • 1)‘B’의 생활환경 = 63
      • 2)‘B’와 자폐증 아들 = 64
      • 3)‘B’의 미술치료 활동 경험 = 65
      • 경험이야기1. 캄캄한 고민상자를 스스로 깨고 나온 내 자신이 기특함 = 65
      • 경험이야기2. 가슴깊이 꾹 눌러놨던 얘기를 봇물 터지듯 쏟아내는 후련함 = 67
      • 경험이야기3. 자기 안에 갇힌 아이를 세상 밖으로 섞어주어야 하는 책임감 = 69
      • 경험이야기4. 잃어버린 나를 찾는 시간은 누구에게도 뺏기고 싶지 않음 = 70
      • 경험이야기5. 마음의 찌꺼기를 걸러주는 필터같은 시간으로 머리가 맑아짐 = 71
      • 경험이야기6. ‘톡톡’ 치는 상동행동이 사춘기 들어 심해져 내 신경도 날카로워짐 = 74
      • 경험이야기7. 변화를 못 견디는 아이와 치루는 전쟁이 진절 넌더리 남 = 75
      • 경험이야기8. 오로지 아이만 신경 쓰느라 삶에 찌든 내 모습이 안쓰러움 = 76
      • 경험이야기9. 나 없으면 오갈 데도 없는 아들 걱정에 이민까지 고려함 = 77
      • 경험이야기10. 아이를 통해 더불어 사는 법을 알게 됨 = 78
      • 3.‘C’의 이야기 = 79
      • 1)‘C’의 생활환경 = 79
      • 2)‘C’와 자폐증 아들 = 80
      • 3)‘C’의 미술치료 활동 경험 = 81
      • 경험이야기1. 아이와 나 둘만 외계인이 된 듯한 단절감에 서러움 = 82
      • 경험이야기2. 나와 같은 처지에 있는 다른 엄마들의 작품이 궁금함 = 84
      • 경험이야기3. ‘일요일은 오뚜기 카레.레.레...’, 점점 심해지는 아들의 광고 따라하기로 속 터지게 답답함 = 85
      • 경험이야기4. 이제서 불만을 터트리기 시작하는 딸의 반응이 당혹스러움 = 86
      • 경험이야기5. 아들을 ‘바붕이’ 라고 부르는 남편에 대한 서운함 = 88
      • 경험이야기6. 미술작품 속에서 처음 대면하는 내 모습이 낯설고 어색함 = 89
      • 경험이야기7. 무뎌진 감정들이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조금씩 되살아 남 = 91
      • 경험이야기8. 중학생이 되는 것조차 상상 안되는 불투명한 아들의 미래 = 93
      • 4.‘D’의 이야기 = 93
      • 1)‘D’의 생활환경 = 93
      • 2)‘D’와 자폐증 아들 = 94
      • 3)‘D’의 미술치료 활동 경험 = 95
      • 경험이야기1. ‘우리는 한 몸’, 죽을 때도 데려가야 되는 아이를 생각하니 서글픔 = 95
      • 경험이야기2. 사춘기에 시작된 경기발작으로 심장이 덜컥 내려앉음 = 99
      • 경험이야기3. 자폐아들을 중심으로 가족이 융화되고 서로 위해줌 = 100
      • 경험이야기4. 내가 가진 고통의 무게로 다른 사람의 아픔을 이해하게 됨 = 101
      • 경험이야기5. 나에게 방패막이가 되어주는 아들 = 102
      • 경험이야기6. 그림을 그리면서 이야기가 술∼술 풀려 나오는 편안함 = 103
      • 경험이야기7. 혼자 지지고 볶던 마음이 그림에서 딱 드러나는 게 신기함 = 104
      • 경험이야기8. 감추고 싶은 모습이 그림 속에서 들춰지는 것이 두려움 = 107
      • 5.‘E’의 이야기 = 108
      • 1)‘E’의 생활환경 = 108
      • 2)‘E’와 자폐증 딸 = 110
      • 3)‘E’의 미술치료 활동 경험 = 110
      • 경험이야기1. 그림 속에서 되살아나는 딸에 대한 뭉클함 = 110
      • 경험이야기2. 마냥 두 살배기 같은 딸의 장래를 생각하면 덜컥 겁이남 = 113
      • 경험이야기3. 제법 처녀티가 나는 아이의 몸이 부담스러움 = 116
      • 경험이야기4. 일거수 일투족 쫓아다녀야 되는 아이 덕에 시댁 일에 면죄부 받음 = 118
      • 경험이야기5. 온전히 나를 위해 준비된 주인공 역할에 몰입하는 즐거움 = 118
      • 경험이야기6. 아이의 장애로 인해 세상을 여러 방향에서 보게됨 = 120
      • 경험이야기7. 내가 만든 작품처럼 뚱딴지같은 딸도 꼭 필요한 존재임 = 123
      • 경험이야기8. 손으로 꼬물꼬물 만들면서 몰랐던 내 모습과 만나는 신기함 = 125
      • Ⅴ.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 어머니들의 미술치료활동 경험의 의미 = 128
      • 1. 미래에 대한 암담한 심정을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표출시킨다 = 129
      • 2.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자녀의 심신 발달의 불균형으로 인해 겪는 심적 고통을 토로하는 계기가 된다 = 131
      • 3. 미술치료활동시간만큼은 아이에게 벗어나 자신에게 집중하는 자유로움을 경험한다 = 133
      • 4. 그림 속에서 아이로 인한 긍정적인 부분들을 발견하게 된다 = 135
      • Ⅵ. 마지막 이야기 = 138
      • 1. 연구자의 저널 = 138
      • 1) 연구주제에 대한 재음미 = 138
      • Ⅶ. 결론 및 제언 = 145
      • 참고문헌 = 151
      • 부록: 연구 참여 동의서 = 160
      • ABSTRACT = 1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