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나라 준고령자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 An Analysis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Korea - Focusing on the Semi-aged More Than Fifty Years Old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08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준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 및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및 시설이 미비하고 그 활성화를 위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준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 및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및 시설이 미비하고 그 활성화를 위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통계청(2000. 2004)에 따르면 15세 이상 가구원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2004년 21.6%로 2000년 17.2%에 비해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OECD 평균 35.6%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앞서 제기되었던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과연 우리나라의 경우 왜 노인의 교육 참여율이 저조한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한국 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50세 이상 준고령자를 대상으로 직업교육과 직업 외 교육 참여 실태를 파악하고 참여율이 저조한 것은 시간적ㆍ경제적 이유도 있겠지만 준고령자가 직업 또는 평생 교육 자체를 희망하지 않는 것에도 큰 이유가 있지 않겠냐는 것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준고령자의 저조한 교육 참여율을 두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저조한 참여율이 낮은 참여 희망률에 기언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문제의식에서 연령별로 교육참여 희망률을 파악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교육 희망자와 비희망자를 구분하여 연령별로 교육 참여율을 살펴보았다. 직업교육 참여율이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추세인 것에 반해 직업교육 희망률은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지 않고 오히려 1차년도에 비해 7차년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희망률 또한 50대 이상 준고령자의 경우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세 이상의 직업교육 희망률은 직업교육 참여율만큼이나 낮았다. 한편, 직업교육 희망 여부에 따른 직업교육 참여율은 우선 직업훈련 희망자의 참여율이 비희망자에 비해 크게 높았고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 특히, 50대 이상의 준고령자 중 직업교육 희망자의 참여율이 같은 연령대 평균 참여율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층의 직업교육 문제에 대한 접근이 왜 직업교육에 참여하지 않는가 보다는 왜 직업교육을 희망하지 않는가에 대한 시각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pared to increasing demand for vocational and lifelong education in an ageing society, there has not been enough educational programs and facilities for the aged. What is worse, there has been little studies for vitalizing these programs. This stud...

      Compared to increasing demand for vocational and lifelong education in an ageing society, there has not been enough educational programs and facilities for the aged. What is worse, there has been little studies for vitalizing these programs.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might affect the decision of the semi-aged to participation in vocational and lifelong education using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ime and cost as the most influential deterrents to participation. This study sheds some light on desire to participation that might influence the participation ratio in vocational and lifelo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categorized the semi-ag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desire to participation. and we compare the participation ratio for each group. We found that desire to participation in vocational and lifelong education has been very low from 1998 to 2003 while the participation ratio of the semi-aged has been growing for the group that has strong desire to participation. This result shows that weak desire might be an important deterrent to participation in vocational and lifelong education. Finally, we suggest an alternative approach to resolving low participation of the semi-aged focusing on weak desire rather than deterrents to particip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