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익성 정치광고의 크리에이티브 분석-제18대 국회의원선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광고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82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제작하여 제18대 국회의원선거에서 활용한 2편의 텔레비전 광고물인 ‘공명선거’ 편과 ‘투표참여’ 편을 광고 실무계의 광고홍보 전문가 10명에게...

      본 연구에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제작하여 제18대 국회의원선거에서 활용한 2편의 텔레비전 광고물인 ‘공명선거’ 편과 ‘투표참여’ 편을 광고 실무계의 광고홍보 전문가 10명에게 보여주고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전반적인 반응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광고물의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359개의 출현주제가 나타났으며,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했으나 세부적인 맥락에서는 다양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익성 정치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전략모형을 탐구한 결과, 공익성 정치광고에 대한 태도는 이슈 소구, 이미지 소구, 긍정적 소구, 부정적 소구라는 4가지 주제로 범주화되었고, ‘대처 방안’과 ‘크리에이티브 수준’이라는 2가지 조절변인이 나타났다. 이 요인들을 조절하여 향후 공익성 정치광고 메시지를 개발하면 ‘공명성 제고,’ ‘투표율 향상,’ ‘정치환경 조성’이라는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two television commercials; ‘fair election’ and ‘vote participation’ which were created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NEC) and used as Political Public Service Advertising at the 18th parliamentary election, have been ...

      In this research, two television commercials; ‘fair election’ and ‘vote participation’ which were created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NEC) and used as Political Public Service Advertising at the 18th parliamentary election, have been shown to 10 advertising professionals to research overall responses about advertising creative. As a result, 359 emerging themes were brought forth. Mostly, the responses wer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valuations. However there was a great variety of responses about two commercials in detailed contex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ttitudes to public political advertising can be categorized into 4 themes; issue appeal, image appeal, positive appeal and negative appeal. Also, two moderating effects, plan for dealing and creative level, were found. So, if the cause of the above concepts can be adjusted and develop public political advertising, positive effects such as fair election, boosting voting rates and promoting political background will expect fin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문제의 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정치광고 메시지 연구경향
      • 2) 정치광고 메시지의 차원과 스타일
      • 초록
      • 1. 문제의 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정치광고 메시지 연구경향
      • 2) 정치광고 메시지의 차원과 스타일
      • 3) 공익성 정치광고의 메시지 평가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1) ‘공명선거’ 메시지 분석과 기대 반응
      • 2) ‘투표참여’ 메시지 분석과 기대 반응
      • 3) 정치광고의 슬로건과 창의성 평가
      • 4) 바람직한 광고홍보물 창작과 운용방안
      • 5.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