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명윤리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 인식, 죽음 태도,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차이 = The Difference of the Death Perception, Death Attitude and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Bioethics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71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생명의료 윤리 의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

      본 연구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생명의료 윤리 의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생명의료 윤리의식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간호대학 재학생 253 명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 사망에 대한 태도, 생명의료 윤리에 대한 연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및 서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죽음에 대한 인식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군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았다. 죽음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비 이수군은 죽음에 대한 중립적 수용이 더 높았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 죽음에 대한 접근적 수용이 더 높았다.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죽음에 대한 탈출적 수용, 중립적 수용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죽음 회피, 죽음 공포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태아의 생명권, 인공임신중절, 신생아 생명권, 장기이식 영역에서 생명윤리교육 이수군의 생명윤리 의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학년, 종교, DNR 교육 여부, 죽음 경험, 가족에게 DNR을 시행여부, 본인에게 DNR을 시행 여부에 따라 생명의료 윤리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의 형성, 생명의료 윤리의식의 향상을 위한 생명 윤리 교육을 이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 시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유의미한 종교, 죽음에 대한 태도, DNR 찬성 여부가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ioethics education on death perception and attitude and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53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ea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ioethics education on death perception and attitude and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53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earch tools measuring perception of death, attitude to death, awarness of biomedical ethics were use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the t-test, AN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In the perception of death, the students who received education on bioethics were more positive about death (p=.014). In the attitude towards death, the non - bioethics education group had a higher neutral acceptance for death (p=.022). In the right to life of fetus (p=.040), artificial arbortion (p<.001), right to life of newborn (p=.021), organ transplantation (p=.049), the bioethics education group had the higher awareness of the biomedical eth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medical ethics perception depending on grade, religion, DNR education, death experience, whether DNR will be administered to the family, and will DNR would be administered to them.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d the need to take bioethics education to form positive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death and improve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Suggest that the bioehtics education program needs to include religion, attitude toward death, and opinion about DNR on terminal pati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미영,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61-380, 2017

      2 김숙남,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9 (19): 136-144, 2016

      3 고규희, "일반인과 간호사의 죽음 인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29-240, 2015

      4 김숙남, "의미요법이 포함된 호스피스·완화 간호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456-465, 2011

      5 안혜영, "의료계열 대학생들의 생명 윤리 의식"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98-107, 2008

      6 김인순, "생명윤리교육이 간호보건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윤리학회 14 (14): 1-13, 2013

      7 이누미야 요시유키, "사생관 척도 개발 및 그 하위요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내세관,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생명존중의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8 현은민, "대학생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4220-4228, 2014

      9 양재섭,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생명윤리교육: 대구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생명윤리학회 10 (10): 1-16, 2009

      10 이영숙, "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관한 연구"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0

      1 함미영,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61-380, 2017

      2 김숙남,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9 (19): 136-144, 2016

      3 고규희, "일반인과 간호사의 죽음 인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29-240, 2015

      4 김숙남, "의미요법이 포함된 호스피스·완화 간호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456-465, 2011

      5 안혜영, "의료계열 대학생들의 생명 윤리 의식"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98-107, 2008

      6 김인순, "생명윤리교육이 간호보건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윤리학회 14 (14): 1-13, 2013

      7 이누미야 요시유키, "사생관 척도 개발 및 그 하위요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내세관,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생명존중의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8 현은민, "대학생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4220-4228, 2014

      9 양재섭,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생명윤리교육: 대구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생명윤리학회 10 (10): 1-16, 2009

      10 이영숙, "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관한 연구"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0

      11 하주영,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의식" 한국간호교육학회 15 (15): 216-224, 2009

      12 안수연, "간호사의 노인임종 경험" 노인간호학회 16 (16): 118-129, 2014

      13 권윤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23 (23): 262-272, 2009

      14 김영희,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6 (16): 1-9, 2013

      15 권선주,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3

      16 전현숙, "간호대학생과 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기본간호학회 18 (18): 401-410, 2011

      17 이운영, "Wong의 죽음태도 척도의 타당화"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18 John M.M., "The ethical treatment of impaired neonates: Evaluating the Werdinig-Hoffman case at Dankook University Hospital" 3 (3): 211-230, 2000

      19 Iranmanesh S, "Student nurses' attitudes towards death and dying in south-east Iran" 14 : 214-219, 2008

      20 Zimmermann C., "Acceptance of dying: a discourse analysis of palliative care literature" 75 : 217-224,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6 2.112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