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경제의 현황과 전망 =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North Korean Economy under the Kim Jong Un Er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북한의 경제정책, 경제실적, 시장화 현상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최근 경제상황을 분석하였다. 북한 정권은 경제정책의 개혁을 표방하고 있지만, 김정은 정권이 개혁정책을 선도적...

      본 논문은 북한의 경제정책, 경제실적, 시장화 현상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최근 경제상황을 분석하였다. 북한 정권은 경제정책의 개혁을 표방하고 있지만, 김정은 정권이 개혁정책을 선도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아니고 누적된 경제난을 타개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중앙정부의 장악력 약화와 시장화 요소의 도입을 사후에 추인하는 차원에서 추진된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의 최근 경제실적을 성장률 통계로 보면 완만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대외부문의 실적을 보면 대외무역의존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대중국 의존도 편중 심화 형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북한에서는 극심한 경제난을 겪으면서 생존을 위한 시장화가 자생적으로 진전되었으며, 북한 당국은 초기에는 시장화 추세를 억압하고 계획경제 위주 조치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파산상태의 계획경제 위주의 경제운영으로는 지속된 경제난을 극복하기에는 매우 미흡하였고 시장의 확산을 암묵적으로 용인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남ㆍ북 경협과 북ㆍ중 경협이 회생불능상태에 있는 북한 경제를 지탱해 주는 산소공급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북한이 핵 및 미사일 개발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국제사회의 전반적 제재 국면에서 북한 경제는 궁극적으로는 또 다른 파탄 상태에 이르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북한에서 진행된 시장화가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것인지가 주목된다. 왜냐하면, 시장화는 북한 정권 유지에 필요한 요소로 이미 자리잡은 측면이 있는 반면, 시장화의 진전은 기본적으로 김정은 독재체제에 의한 계획경제 운영의 근본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North Korean economy by investigating policies, records, and marketization trends. Even though the North Korean regime has declared that it has pursued economic reform in recent years, policies were devised to reflect discrepan...

      This paper analyzes the North Korean economy by investigating policies, records, and marketization trends. Even though the North Korean regime has declared that it has pursued economic reform in recent years, policies were devised to reflect discrepancies between market forces and those of state planning. According to Bank of Korea statistics, North Korea’s economy has experienced rising growth rates. Its trade dependence with the outside world has increased and drastically deepened, especially with China.
      North Korean authorities tried to suppress marketization trends in the initial period of economic development. They tried to solve problems through state planning. North Korean economic conditions did not improve as a result of government initiatives, however. Instead, market forces have become indispensable in the operation of the North Korean economy. North Korean trade with South Korea and China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staining its economy.
      International economic sanctions have had a critical impact on the North Korean economy. North Korea will experience another economic crisis if it continues to develop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Progressive trends toward marketization have great potential to transform the fundamentals of the planned econom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경제정책
      • Ⅲ. 경제실적
      • Ⅳ. 시장화와 북한경제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경제정책
      • Ⅲ. 경제실적
      • Ⅳ. 시장화와 북한경제
      • Ⅴ. 결론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 문성민, "통계를 이용한 북한 경제 이해" 한국은행 2014

      3 박영자, "북한주민의 임파워먼트 : 주체의 동력" 통일연구원 2015

      4 장형수, "북한의 외화수급 추정과 분석: 1991~2012년" 통일연구원 22 (22): 165-190, 2013

      5 "북한의 5대 시장 형성과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본 시장화 실태" KDB 북한개발 2017

      6 조한범, "북한에서 사적경제활동이 공적경제부문에 미치는 영향 분석" 통일연구원 2016

      7 이석기, "북한시장 실태 분석" 산업연구원 2014

      8 홍민, "북한 전국시장 정보 : 공식시장 현황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16

      9 "노동신문"

      10 임수호, "김정은시대의 대외경제: 외화수급을 중심으로" 한반도 포커스 2017

      1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 문성민, "통계를 이용한 북한 경제 이해" 한국은행 2014

      3 박영자, "북한주민의 임파워먼트 : 주체의 동력" 통일연구원 2015

      4 장형수, "북한의 외화수급 추정과 분석: 1991~2012년" 통일연구원 22 (22): 165-190, 2013

      5 "북한의 5대 시장 형성과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본 시장화 실태" KDB 북한개발 2017

      6 조한범, "북한에서 사적경제활동이 공적경제부문에 미치는 영향 분석" 통일연구원 2016

      7 이석기, "북한시장 실태 분석" 산업연구원 2014

      8 홍민, "북한 전국시장 정보 : 공식시장 현황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16

      9 "노동신문"

      10 임수호, "김정은시대의 대외경제: 외화수급을 중심으로" 한반도 포커스 2017

      11 양문수, "김정은 집권 이후 개정 법령을 통해 본 ‘우리식경제관리방법’" 통일연구원 26 (26): 81-115, 2017

      12 홍제환, "김정은 정권 5년의 북한경제 : 경제정책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17

      13 권영경, "김정은 시대 북한경제정책의 변화와 전망" 수은북한경제 2014

      14 임소정,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현황과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15 이석기, "2016년도 북한경제 종합평가 및 2017년 평가" 산업연구원 2017

      16 이석기, "2000년대 북한경제 종합평가" 산업연구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신아세아질서연구회 -> 신아시아연구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신아세아
      외국어명 : NEW ASIA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4 1.035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