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美術館 展示의 適正觀覽距離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proper viewing distance of museum exhib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972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개념이 강화됨에 따라 현대의 미술관들은 관람객들에게 보다 가치 있는 경험을 주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해왔다. 미술관 계획을 위한 실질적인 자료에는 새로운 프로그램에 ...

      사회적 개념이 강화됨에 따라 현대의 미술관들은 관람객들에게 보다 가치 있는 경험을 주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해왔다.
      미술관 계획을 위한 실질적인 자료에는 새로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전시 방법의 개발, 그리고 박물관학적인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는 있으나 이들은 이차적인 문제들이며 실제로 관람객의 행위에 중점을 둔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술관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에게 질적으로 보다 높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과제인 것이다.
      미술관의 전형적인 경험은 다른 건축물과는 달리 관람객들이 전시공간을 통해 움직이는 동안 고정된 전시물과 공간들을 통해 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문화시설의 사회적 기능을 담고 있는 특수한 건축물인 미술관에서 관람객들의 다양한 경험을 위해 적정한 순로계획이 필요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 적정순로계획을 위한 관람자에 대한 평가에는 관람자의 감상 거리가 중요한 인자라는 전제하에 관람객들의 행위를 문헌과 현실의 시거리를 통해 비교하고 다른 요인과의 관계를 추출, 이들의 상호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을 통하여 미술관 계획의 기획 단계에 유용하게 시사될 수 있는 척도를 제기 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과 배경으로 행한 본 연구의 개략적인 진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공간의 행태연구와 순로계획에 관한 기존의 이론과 연구사례 등을 고찰하여 보다 향상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내 4 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 가나아트센터, 금호미술관)의 10개 전시실을 대상으로 관람객을 추적·관찰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감상거리, 전시물 크기와 속성, 관람률 등의 인자로' 관람행태의 특징을 파악, 데이터화를 통하여 적정감상관람거리 추출에 대한 분석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셋째, 감상거리를 중심으로 여러 분석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 고찰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진행을 통하여 미술관 관람객의 감상거리와 공간적 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에서 벽면전시를 이루는 회화 전시물의 경우 문헌에 의한 시거리와 현실의 시거리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전시물을 감상할 때의 시거리는 전시물의 크기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고 감상행동패턴에 그 요인이 있었던 것이다.
      둘째, 관람자의 관람패턴은 전시물의 내용과 질에 의한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셋째, 전시물의 수가 많을수록 관람객의 관람률은 저하되고 선택적 관람이 이루어진다.
      넷째, 미술관 관람자는 관람시간이 짧고 관람빈도가 낮을수록 전시작품에 근접하여 관람한다. 또한, 평면유형이 관람행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문헌상의 시거리와 현실의 시거리에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이는 관람객의 동선과 움직임 패턴에 부응하는 공간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타당성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미술관의 질은 공간구성을 통해 관람객에게 그 길을 열어주어야 하며 이는 관람객의 경험이란 공간과 직접적으로 관련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물론, 위와 같은 분석의 내용은 보편적인 근거에 대한 한계를 내포하고 있으나 미술관 순로계획에 있어서 일률적인 척도를 적용하기보다는 미술관의 주제별, 규모별 등으로 각각 유효한 척도를 달리 적용해야 한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general idea of society itself has strengthened, today's museums have tried to give various experiences to the visitors. For planning museums, studies on new programs, development of exhibition method, and theoretical museum studies are actively p...

      As general idea of society itself has strengthened, today's museums have tried to give various experiences to the visitors.
      For planning museums, studies on new programs, development of exhibition method, and theoretical museum studies are actively progressed but these are secondary problems to be concerned, that actual studies focused on visitor's behavior ale relatively incomplete.
      Therefore, studies on how to give visitors better experiences at the museum must be processed first. Different from other buildings, typical experiences at museums are gained through direct and continuous visual contact of fixed works and space as visitors move around exhibition area. Thus, this study is started with concerns that museums which act as a cultural facility within a society, need appropriate circulation planning to give visitors various experiences. Based on the fact that for appropriate circulation planning, the distance of visitor is important and comparing visitor's behavior studied by existing data and in real life, bringing out relationships with are factors and analyzing its mutual relationships are necessary therefore to be used diversely in actual planning of museums. With this purpose and background, this study is progressed as followings: First, considering existing theory and examples concerned on exhibition space and circulation planning, improved foundation for the study is made.
      Second, observing visitors of 10 exhibition spaces of 4 domestic museums, (National Contemporary Museum, DukSooKung Museum, Gana Art Center, KeumHo Gallery) viewing characteristics are grasped and dated by viewing distanc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works, and frequency of visiting, making foundation to bring out appropriate viewing distance.
      Third, focusing on viewing distance, mutual relationships of many factors are considered and analyzed.
      With these foundations of relationships of spatial factors and visitor's viewing distanc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drawings banged on the wall had different visual distances in the record and in real life. Therefore visual distance when viewing works are not depended on the size of works but on behavior patterns.
      Second, viewing patterns of visitors are molt effected by contents and quality of works.
      Third, if there are more works to be exhibited, frequency of visiting of visitors are decreased, resulting optional viewing.
      Fourth, visitors view works more closely if the time spent for total viewing become shorter. Also plan of exhibition area effect viewing behavior.
      As stated before, there exist many differences between existing data and real life patterns which prove that space compositions are to be made related to visitor's circulation and movement pattern. The quality of museums is increased by opening its routes through proper space compositions which also tell that visitor's experiences are directly related to museum space.
      Of course, these analyses have limitations on general facts and it must be remembered that in planning circulation of museums, not a uniform rule but actual purpose and sizes of museums should not be igno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 국문초록 / 표목차 / 그림목차 / 사진목차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 목차
      • ■ 국문초록 / 표목차 / 그림목차 / 사진목차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 제2장. 관람형태와 순로계획에 관한 선행연구
      • 2-1. 전시공간의 행태연구에 관한 기존연구고찰
      • 2-1-1. 전시공간의 행태연구
      • 2-1-2. 행동관찰법을 이용한 조사방법 사례
      • 2-2. 전시실 순로계획에 관한 고찰
      • 2-2-1. 순회형식의 유형과 특성
      • 2-2-2. 벽면전시의 유형과 특성
      • 2-2-3. 전시대상에 따른 시각계획
      • 2-3. 조사대상 및 방법의 선택
      • 2-3-1. 조사대상의 선정
      • 2-3-2. 조사방법
      • 제3장. 미술관 판람자 행동패턴의 조사분석
      • 3-1. 분석대상의 개요
      • 3-1-1. 국립현대미술관
      • 3-1-2. 덕수궁미술관
      • 3-1-3. 가나아트센터
      • 3-1-4. 금호미술관
      • 3-2. 관람행태 분석항목의 설정 및 상관분석
      • 3-2-1. 감상거리
      • 3-2-2. 전시물 크기
      • 3-2-3. 전시물 속성
      • 3-2-4. 관람률
      • 3-3. 외적요인에 대한 검토
      • 3-3-1. 감상거리와 관람시간
      • 3-3-2. 감상거리와 관람빈도율
      • 3-3-3. 감상거리와 평면유형
      • 제4장. 종합고찰 및 결론
      • 제5장. 관람거리 분석을 통한 전시공간 재획
      • 5-1. 계획의 전제
      • 5-1-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 5-1-2. 계획의 개요
      • 5-2. 계획의 전개
      • 5-2-1. 대상공간의 선정 및 분석
      • 5-2-2. 연구결과의 적용
      • 5-2-3. 계획대안제시
      • ■ 참고문헌
      • ■ Abstract
      •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