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역전시회 참가업체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Trade Exhibi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31797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59.152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vi,103 p. ; 26 cm

      • 일반주기명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Trade Exhibitions
        지도교수:정형식
        조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85-93

      • 소장기관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repare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marketing performance through exhibition for high-tech and mid-high-tech companies by conducting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participating characteristics of trade exhibition on perf...

      This study was prepare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marketing performance through exhibition for high-tech and mid-high-tech companies by conducting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participating characteristics of trade exhibition on performance after participation and company performance. Hypothesis and study model was set, and hypothesis testing was made by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42 high-tech and mid-high-tech companies which participated in domestic international trade exhibitions.
      The reference study was conducted for survey tools, with items including general features of companies, corporation among departments, co-participation, active leadership, performance on partnership building, performance on information acquiring, and company performanc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of this study.
      First, in terms of participating features, corporation among departments had significant impact on performance on participation, and corporation among departments had positive impact on both performance on partnership building and information acquiring, which are the sub-factors of performance on participation.
      Second, in terms of participating features, co-participation had partial impact on performance on exhibition participation. Although the co-participation had positive impact on partnership building, the sub-factor of performance on participation, it had no impact on information acquiring.
      Third, in terms of participating features, active leadership had partial impact on performance on exhibition participation. Although the active leadership had positive impact on partnership building, the sub-factor of performance on participation, it had no impact on information acquiring.
      Forth, in terms of exhibition participation, it had positive impact on company performance, and had significant impact on both partnership building and information acquiring, the sub-factor of performance on particip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 제 1 장 서 론 1
      • 목 차
      • ABSTRACT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 제 2 장 이론적 고찰 6
      • 제 1 절 무역전시회와 무역전시마케팅 6
      • 1. 무역전시회의 개념 및 구성요소 6
      • 2. 무역전시회의 효용성 11
      • 3. 무역전시마케팅의 기능 및 체제 15
      • 4. 국내외 무역전시회 관련 현황 23
      • 제 2 절 첨단산업과 중고기술산업 31
      • 1. 기술집약도에 따른 산업군의 구분 및 관련 산업 31
      • 2. 첨단산업 및 중고기술산업 현황 33
      • 제 3 절 무역전시회 마케팅에 관한 선행연구 39
      • 제 4 절 무역전시회 참가기업의 특성과 성과에 관한 선행연구 43
      • 1. 무역전시회 참가성과 43
      • 2. 참가기업 특성과 전시회 마케팅성과에 관한 선행연구 47
      • 제 3 장 실증연구 방법 54
      •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54
      • 제 2 절 연구대상 및 절차 56
      • 제 3 절 조사도구 57
      • 제 4 절 자료처리 59
      • 제 4 장 연구 결과 분석 62
      • 제 1 절 대상의 일반적 특성 62
      • 제 2 절 조사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64
      • 1. 신뢰성 검증 64
      • 2. 타당성 검증 66
      • 제 3 절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69
      • 제 4 절 가설의 검증 73
      • 1. 변수간 상관관계 검증 73
      • 2. 판별타당성 검토 결과 74
      • 3.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결과 75
      • 4. 가설 검증 결과 76
      • 제 5 절 결과 논의 79
      • 제 5 장 결 론 82
      • <참고문헌> 85
      • [부록] 설문지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