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정의와 출현율의 개념 및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A Systematic Review on Concepts and Relationships of the Definition and Prevalenc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800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특수교육에 있어 어떤 장애의 정의와 출현율은 그 장애를 이해하고 중재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정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서행동장애의 경우 아직까지 합의된 정의가 없을 뿐 아니라 출...

      특수교육에 있어 어떤 장애의 정의와 출현율은 그 장애를 이해하고 중재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정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서행동장애의 경우 아직까지 합의된 정의가 없을 뿐 아니라 출현율도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정서행동장애 관련문헌들에서는 특수교육 관련법에 명시되어 있는 법적 정의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주목해야 할 문제점이 있다. 첫째,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있을 수 있는데 국가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이라는 행정적 목적을 가지고 설정한 법적 정의를 사용하는 것은 정서행동장애를 이해하고 중재하는 데 한계를 가져올 뿐 아니라 출현율에도 영향을 주어 출현율이 낮게 산출되는 결과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 둘째, 근래 아동 및 청소년들의 정서행동문제가 다소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예방 및 조기중재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데 정서행동장애의 정의로 법적 정의를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최근의 동향과 괴리감이 있다. 이와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의 설정 목적에 따라 정서행동장애 정의를 법적 정의, 임상적 정의, 교육적 정의의 세 가지로 제안하고 각 정의에 근거하여 출현율도 세 가지(법적 정의에 근거한 출현율, 임상적 정의에 근거한 출현율, 교육적 정의에 근거한 출현율)로 제시하였다. 이처럼 정서행동장애 정의와 출현율 개념을 체계화하는 것은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출현율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pecial education, definition and prevalence of a disability are important basic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ing the disability. But in the cas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EBD), not only are there differing purposes of defi...

      In special education, definition and prevalence of a disability are important basic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ing the disability. But in the cas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EBD), not only are there differing purposes of definitions, but there are also diverse reports on prevalence. In turn, a legal definition which is found in special education laws tends to be generally used in related references; however, there are two noticeable problems in using a legal definition as the definition of EBD. First, the use of a legal definition which is created by a government with a administrative purpose of identifying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may lead not only to limitation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ing EBD but also to low prevalence of EBD. Second, the use of a legal definition seems far from the recent trend to focus on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o deal with these two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three kinds of definitions(legal definition, clinical definition, educational definition) which are different in purposes and based on the definitions, presented three kinds of prevalencies(prevalence based on the legal definition, prevalence based on the clinical definition, prevalence based on the educational definition). This systematization of the definition and prevalence of EBD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e to efficient use of the diverse definitions and prevalence estimates of EB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 "학생 정서․행동발달 선별검사 및 추구관리 매뉴얼"

      2 정동영, "특수아동의 이해" 교육과학사 2010

      3 권요한,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4 강종구,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5 박원희, "특수교육학" 교육과학사 2009

      6 김영욱, "특수교육학" 교육과학사 2009

      7 이승희, "특수교육평가" 학지사 2010

      8 박경옥, "특수교육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9

      9 김원경, "최신특수교육학" 학지사 2009

      10 김춘진, "초중고생 13% 정신건강 적신호"

      1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 "학생 정서․행동발달 선별검사 및 추구관리 매뉴얼"

      2 정동영, "특수아동의 이해" 교육과학사 2010

      3 권요한,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4 강종구,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5 박원희, "특수교육학" 교육과학사 2009

      6 김영욱, "특수교육학" 교육과학사 2009

      7 이승희, "특수교육평가" 학지사 2010

      8 박경옥, "특수교육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9

      9 김원경, "최신특수교육학" 학지사 2009

      10 김춘진, "초중고생 13% 정신건강 적신호"

      11 김춘진, "초중고생 12.8% 정신건강 적신호"

      12 교육과학기술부, "초․중․고생 올해부터 정서행동발달 검사"

      13 이승희, "정서․행동장애를 지닌 아동의 평가를 위한 과제와 대안모색" 2008

      14 이상훈, "정서·행동장애의 정의와 선별, 진단에 관한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7 (27): 291-317, 2011

      15 방명애, "정서 및 행동장애" 학지사 2010

      16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법. 법률 제10517호, 일부개정 2011, 03. 30"

      17 Cullinan, D.,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 introduction for teachers and other helping professionals" Pearson Education 2007

      18 Rosenberg, M S., "Special education for today's teachers: An Introduction" Pearson Education 2011

      1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s conference on children's mental health: A national action agend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1

      20 Greenberg, M. T., "Preventing mental disorders in school-age children: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on programs" Prevention Research Center for the Promotion of Human Development: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99

      21 Gresham, F. M., "Noncategorical approaches to K-12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In Special education in transition: Functional assessment and noncategorical programming" Sopris West 107-137, 1999

      22 Gresham, F. M.,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Handbook of research i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Guilford Press 262-281, 2004

      23 U.S. Department of Education,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data (Table 1-3)"

      2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ncreasing access and coordination of quality mental health servic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25 Kauffman, J. M., "Historial to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the field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Handbook of research i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Guilford Press 15-31, 2004

      26 Heward, W. L., "Exceptional children" Pearson Education 2009

      27 Yell, M. L., "Evidence-based practices for educating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earson Education 2009

      28 Forness, S. R.,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the E/BD terminology and definition" 25 (25): 264-269, 2000

      29 Zionts, P.,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 handbook for understanding and handling students" Corwin Press 2002

      30 Webber, J.,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ory and practice" Allyn and Bacon 2008

      3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3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7

      33 Cullinan, D.,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Handbook of research i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Guilford Press 32-53, 2004

      34 Kauffman, J. M.,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ren and youth" Pearson Education 2009

      35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Blueprint for change: Research on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1

      36 Merrell, K. W., "Behavioral,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3

      37 Walker, H. M., "Antisocial behavior in school: Strategies and best practices" Brooks/Cole 2004

      38 Wicks-Nelson, R., "Abnorm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Pearson Education 2009

      39 Forness, S. R., "A new proposed definition and terminology to replace"serious emotional disturbance"in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21 (21): 12-20, 1992

      40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교육과학기술부 2011

      41 교육과학기술부, "2011 특수교육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