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내용분석 및 유형화 연구 = A Study on Content Analysis and Types of Forest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4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서 ‘산림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내용의 유형을 나누어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산...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서 ‘산림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내용의 유형을 나누어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산림교육 교육과정의 영역으로 분석하여 교육과정과 산림교육의 성취 간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학교 교육과정과 산림교육 간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향후 교과과정과 연계한 산림교육을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에 적용시켜 산림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학교 내에서 산림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전 교과의 목표와 성취기준 및 교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 내 산림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도구, 감성, 지식 이해, 가치 인식, 실천영역으로 유형화하였다. 다섯가지 유형으로 초등학교 교과서를 교과 내용을 분석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산림교육 영역 중 지식 영역은 모든 학년, 모든 과목에 포함되어 있었다. 직접적으로 산림교육 관련 지식을 전달하는 지식 영역이 교육과정 안에 고루 편재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산림교육 지식 영역이 다양한 교과 내용과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 내용에 포함된 산림교육 유형이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저학년에서는 산림교육의 도구·감성 영역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이 될수록 지식·가치 의식의 영역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산림교육 수준 또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년별로 필요한 수준의 산림교육이 교육과정에 적절하게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과 내 성취기준을 분석하였을 때, 교과 성취기준에 산림교육 영역의 핵심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 산림환경 영역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학교에서 산림교육을 하고자 하는 교사나 아동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을 진행하는 산림교육전문가가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산림교육을 진행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관련 내용 현황을 파악하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n ‘Forest Educa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forest education related content in the curriculum.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n ‘Forest Educa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forest education related content in the curriculum. The types of forest education in textbooks were divided into analysis. In addition,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of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into the areas of forest education curriculum to deter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of forest education. This study shows that, first, the field of knowledge in forest education was included in all subjects and grades except mathematics. It noted that the curriculum includes areas of knowledge that directly convey knowledge related to forest education. This showed that the forest education knowledge area is linked to various courses. Second, the types of forest education included in the curriculum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age. In the lower grades, there was the most information on the tools and sensibilities of forest education, and in the higher grades, the more knowledge and value-related areas were addressed. As the school year increases, so do forest education levels. Third, when analyzing th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included key points in forest education. Thus, this study confirmed the link between the curriculum and forest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혜연,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장애요인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4 (24): 115-131, 2013

      2 최선혜, "초등학교 내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인지 ·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림과학회 108 (108): 655-662, 2019

      3 심정은, "초등 7차 교과서의 환경교육적 내용 분석 및 초등 환경교육 체계화를 위한 학교 교육 과정 개발 방안-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관점에서 -"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226-252, 2013

      4 김다원, "초등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관련 목표와 내용 탐색"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5 (15): 1-32, 2020

      5 김윤수, "숲치유 프로그램이 WEEclass 중학생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5 (15): 62-66, 2011

      6 엄문설, "숲체험이 여고생의 숲태도, 환경감수성 및 상태-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 2015 그린캠프 참가자를 대상으로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 (19): 45-52, 2015

      7 엄문설, "숲교육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기분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과학회 105 (105): 253-260, 2016

      8 주은정, "생태적 소양 함양을 위한 토양 종자 은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284-297, 2012

      9 정은우, "생태놀이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인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441-1457, 2013

      10 이윤주, "교사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한국산림과학회 109 (109): 341-349, 2020

      1 조혜연,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장애요인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4 (24): 115-131, 2013

      2 최선혜, "초등학교 내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인지 ·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림과학회 108 (108): 655-662, 2019

      3 심정은, "초등 7차 교과서의 환경교육적 내용 분석 및 초등 환경교육 체계화를 위한 학교 교육 과정 개발 방안-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관점에서 -"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226-252, 2013

      4 김다원, "초등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관련 목표와 내용 탐색"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5 (15): 1-32, 2020

      5 김윤수, "숲치유 프로그램이 WEEclass 중학생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5 (15): 62-66, 2011

      6 엄문설, "숲체험이 여고생의 숲태도, 환경감수성 및 상태-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 2015 그린캠프 참가자를 대상으로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 (19): 45-52, 2015

      7 엄문설, "숲교육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기분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과학회 105 (105): 253-260, 2016

      8 주은정, "생태적 소양 함양을 위한 토양 종자 은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284-297, 2012

      9 정은우, "생태놀이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인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441-1457, 2013

      10 이윤주, "교사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한국산림과학회 109 (109): 341-349, 2020

      11 서강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 관련 학습 내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7 (37): 97-110, 2009

      12 최선혜,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의 가족건강성, 의사소통능력과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과학회 109 (109): 333-340, 2020

      13 KnewDeal, "What is the Korean version of the Green New Deal?"

      14 Onthek, "Trees and forests are the most efficient sources of carbon absorption"

      15 Korea Forest Service., "The forest grows up the people"

      16 Lee, J. H., "The effects of nature-friendly inquiry activities in the forest on children’s creativity" Kyungnam University 2013

      17 Korea Forest Service., "The development of a chracter education program on forest education for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2016

      18 Ha, S. Y,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 of forest education" 22-25, 2017

      19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on guidelines for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standards"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20 Korea Forest Service., "Research to intensification forest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textbooks" 2007

      21 Korea Forest Service., "Research to intensification forest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textbooks" 2008

      22 Korea Forest Servic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recognized courses to strengthen school forest education" 2010

      23 Korea Forest Service., "Meeting forest"

      24 Forest for Life., "Let’s go to our school forest-winter, spring" ECha 2011

      25 Forest for Life., "Let’s go to our school forest-sunner, fall" ECha 2011

      26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tion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No. 201574)" Ministry of education 2016

      27 Korea Land and Gospatial informatix Coporation., "Give wings to the land. JeonJu, Korea"

      28 Korea Forest Service., "Forest education master plan(2018-2022)" 2018

      29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est and human"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

      30 Woo, S. H., "Ecological pedagogy" Kaema 2009

      31 David R. S., "Developmental psychology" Parkyoungstory 2014

      32 Green School Bali., "Curriculum overview high school"

      33 Cho, C. H., "Blue sky red earth" Dongasiabook 2019

      34 Kim, H. S.,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Kookmin University of education 2003

      35 Seo, W. S,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cluded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2000 (2000): 164-182, 2000

      36 Korea Institut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 study on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forest education in textbooks for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Korea forest Service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임학회 -> 한국산림과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임학회지 -> 한국산림과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임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2 0.87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