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전과 번역과 현대 한국어문학, 고유한 근대 지성의 출현과 전파 번역의 황혼 - 이광수, 제임스 게일, 윌리엄 커의 근대 한국(어)관, The Korea Bookman을 중심으로 - = Dictionaries, Translation,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Emergence of Vernacular Intellectuals and Twilight of Translational Diffusion - Yi Kwang-su, James Scarth Gale, and William C. Kerr, focusing on The Korea Bookman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형성기의 한국어 정리 사업에 있어 서양 선교사들이 행한 위업은 성경과 한 세트가 된 일련의 이중어사전의 편찬으로 나타난 바 있다. 만약 한국근대 번역사의 세 줄기를 각각 문화 내 ...

      근대형성기의 한국어 정리 사업에 있어 서양 선교사들이 행한 위업은 성경과 한 세트가 된 일련의 이중어사전의 편찬으로 나타난 바 있다. 만약 한국근대 번역사의 세 줄기를 각각 문화 내 번역, 이질 언어간 수용 번역, 전파 번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면, 서양 선교사들은 성경과 전도서, 서양 고전의 번역을그렇다고 할 때 이들의 활동이 1917년을 전후한 시점 특히 1919년을 기점으로 결정적인 변화 국면을 맞게 되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총독부 통제 하의 초보적 근대 교육과 일본유학을 통해 성장한 청년 문사들이 대거 등장함으로써, ‘서양 문명’의 번역과 한국어와 세계 여러 언어들을 매개해왔던 서양 선교사들이 권위가 흔들리는 한편, 오히려 변화하는 포교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서양 선교사들이 한국 매체의 비평적 담론들을 ‘리뷰’해야 하는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예컨대 1917-8년에 들어서면서 이광수는 「신생활론」 등을 비롯한 일련의 평문을 통해 유교와 기독교를 한데 묶는 비판하였고, 제임스 스캇 게일 등의 선교사들은 이광수로 대표되는 새로운 근대 지성의 출현에 민감하게 반응했다.종래의 한국 근대 사전사 연구들에서 서양 선교사 그룹의 영향력이 일부 거론되기는 했으나, 서양 선교사가 개입했던 한국어문학의 주요 국면들에 있어 그 영향력이 차고 기우는 과정에 대해서는 설명이 미진하였다. 필자는 본고의 전반부를 통해 한국어문학 연구에 있어서의 서양 선교사 그룹의 담론적 헤게모니가 축소되어 간 과정을 이광수를 비롯한 고유 지성(vernacular intellectual)의 기독교 비판과 그에 대한 서양 선교사 제임스 스캇 게일의 비상한 주목을 통해 해명하려 했다. 또한 후반부에서는 The Korea Bookman(1920-1925)의 한국 근대 학술/매체에 대한 리뷰들, 특히 윌리엄 커의 한국 근대 매체 리뷰들을 통해 어떻게 근대 한국어가 서양어와 일본어라는 두 축 사이에서 하나의 고유성을 획득해 갔는지를 논증하려 했다. 윌리엄 커는 조선인들의 문예잡지의 생장에 각별히 주목하였고, 사상 술어 해제와 같은 말에 대한 자의식을 지켜보며 일본어식 글쓰기들이 한국의 담론장에서 고유화해가는 흔적들에 대한 상세한 보고를 남겼다. 이는 어떤 의미에서 근대 한국 학술에 있어 서양 선교사들의 헤게모니가 황혼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역할 변경의 사례라 할 터이나, 보기에 따라서는 상보성의 원리 하에서 국내외 학술이 상호 전이되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증표이기도 했다. 복수의 언어와 지식들 사이의 상호 전이(轉移)의 가능성, 상호 적용과 재적용(readaptation)의 순환이 시작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제 한국 근대 어휘들은 이중어사전이라는 형태 속의 틀잡기 외에도, 술어사전이나 단일어 사전과 같은 개별성 하에서도 외부의 지식을지시할 수 있게 될 터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complishment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erms of the Korean language readjustment project during the modern formative period has been discussed, focusing on the missionaries’ publishment of bilingual dictionary as a pair with the Bible. Wh...

      The accomplishment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erms of the Korean language readjustment project during the modern formative period has been discussed, focusing on the missionaries’ publishment of bilingual dictionary as a pair with the Bible. Whe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translation is divided into three branches such as the translation between cultures, accepting translation between different languages, and propagating translation, we can call the western missionaries as the propagating translators who contribute to modern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ir translation of the Bible, the book of Ecclesiastes, and western classics.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missionaries’ performance encounters its watershed point around 1917. In particular, 1919 was the time when the young literary men who grew up with a basic education on modernity under the observ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the youth who studied in Japan appeared in the realm of intellectuals. With their appearance, the authority of the western missionaries who were not only in charge of the transl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but also mediated the Korean language with different languages of the world was dwindling. In order to adjust themselves to the changing missionary environment, the missionaries had to review the discourse of criticism in the Korean medium. As a result, when Yi Kwang-su criticized Confucianism along with Christianity in his essays between 1917 and 1918, such as the essays written in A New Life, the missionaries - for example, James Scarth Gale - sensitively reacted to this emergence of the new modern intellectuals like Yi Kwang-su. Although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missionary group has partly addressed in the existing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dictionary, a thorough examination on their significant intervention in the Korean literature was not satisfied.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examines how the discursive hegemony of the western missionary group has been diminishing, focusing on the criticism on Christianity by the vernacular intellectuals, such as Yi Kwang-su, and James Scarth Gale’s particular reaction on the criticism. The latter half of the paper analyzes how the modern Korean language achieves its vernacularity between western languages and the Japanese language, focusing on the Korean Bookman (1920-1925)’s review on the Korean modern scholarship and its medium. In particular, William Kerr’s reviews on the Korean medium need a special attention. He carefully observes the growth of Korean people’s literary magazines and their self-consciousness of words, and leaves a descriptive report on how Japanese style writings become vernacularized in the Korean discursive space. Kerr’s analysis attests that the hegemony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he modern Korean scholarship reaches its twilight, but at the same time, it proves that the scholarships inside and outside of Korea begin to mutually transfer under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ity. In other words, it was the initiation of the possibility of mutual transfer between plural languages and knowledge as well as the circulation of complementary application and readaptation. In this sense, the Korean modern vocabulary becomes enabled to designate the knowledge arrived from outside of Korea beyond its form of bilingual dictionary; it plays its role as an individual form such as a predicate dictionary and monolingual dictiona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훈, "흙, 민족과 국가의 경합" 인문학연구원 86 : 157-183, 2004

      2 이광수, "흙" 문학과지성사 2005

      3 황호덕,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Ⅰ-Ⅺ" 박문사 2012

      4 옥성득, "한국기독교와 민족통일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5 이상현, "한국 신화와 성경, 선교사들의 한국 신화 해석 - 게일(James Scarth Gale)의 성취론과 단군신화 인식의 전환" 한국비교문학회 (58) : 41-83, 2012

      6 류대영, "한국 근현대사와 기독교" 푸른역사 2009

      7 김기승, "조소앙이 꿈꾼 세계" 지영사 2003

      8 홍선희, "조소앙의 삼균주의 연구" 한길사 1982

      9 J. S. Gale, "전환기의 조선" 집문당 1999

      10 猪巖, "이스라엘神話를 自己의 囊中有所로 아는 牧師" 4 (4): 1923

      1 이경훈, "흙, 민족과 국가의 경합" 인문학연구원 86 : 157-183, 2004

      2 이광수, "흙" 문학과지성사 2005

      3 황호덕,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Ⅰ-Ⅺ" 박문사 2012

      4 옥성득, "한국기독교와 민족통일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5 이상현, "한국 신화와 성경, 선교사들의 한국 신화 해석 - 게일(James Scarth Gale)의 성취론과 단군신화 인식의 전환" 한국비교문학회 (58) : 41-83, 2012

      6 류대영, "한국 근현대사와 기독교" 푸른역사 2009

      7 김기승, "조소앙이 꿈꾼 세계" 지영사 2003

      8 홍선희, "조소앙의 삼균주의 연구" 한길사 1982

      9 J. S. Gale, "전환기의 조선" 집문당 1999

      10 猪巖, "이스라엘神話를 自己의 囊中有所로 아는 牧師" 4 (4): 1923

      11 최주한,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재고" 인문학연구원 (70) : 257-295, 2013

      12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2" 한길사 1986

      13 최주한, "이광수 초기문장집Ⅰ-Ⅱ" 소나무 2015

      14 이광수, "이광수 초기문장집 Ⅱ" 소나무 2015

      15 H. G. Underwood, "언더우드 자료집 Ⅳ" 연세대 출판부 2009

      16 박영희, "사상술어사전" (49) : 1924

      17 이광수, "무정" 문학과지성사 2005

      18 이혜령, "리뷰하는 선교사들, 『개벽』의 외국인 독자- Korea Bookman의 한국 근대 잡지 논평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2012

      19 奇一, "나의 過去半生의 經歷"

      20 황호덕, "근대 동아시아의 文體・身體・政體, 趙素昻의 『동유약초(東遊略抄)』의 경우 - 일본 유학, 망국, 중국 망명의 지적・문체적 여정" 인문과학연구소 (44) : 385-437, 2015

      21 황호덕, "개화기 한국의 번역물이 국어에 미친 영향-외국인 선교사들이 본 한국의 근대어" 국립국어원 22 (22): 2012

      22 황호덕,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 1-2" 박문사 2012

      23 孤舟, "耶蘇敎의 朝鮮에 준 恩惠" 9 : 1917

      24 孔韋亮, "牧師의 思想的生活" 조선 평양 장로회신학교 4 : 1919

      25 春園, "新生活論"

      26 奇一, "心靈界" 12 : 1925

      27 嘯卬, "學之光에 寄함" 1915

      28 孤舟, "今日 朝鮮 耶蘇敎의 缺點" 11 : 1917

      29 오산중고등학교, "五山八十年史" 오산중고등학교 1987

      30 김철, "‘결여’로서의 국(문)학"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창간) : 2006

      31 Sung Deuk Ok, "The Making of Korean Christianity :Protestant Encounters with Korean Religons 1876-1915" Baylor University Press 2013

      32 J. S. Gale, "The Korean Language" Y. M. C. A. Press 1918

      33 William C. Kerr, "Review of Current Korean Periodical Literature"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Ⅳ (Ⅳ): 1923

      34 William C. Kerr, "Review of Current Korean Periodical Literature"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Ⅳ (Ⅳ): 1923

      35 William C. Kerr, "Review of Current Korean Periodical Literature"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III (III): 1922

      36 William C. Kerr, "Review of Current Korean Periodical Literature"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Ⅵ (Ⅵ): 1925

      37 William C. Kerr, "Review of Current Korean Periodical Literature"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Ⅴ (Ⅴ): 1924

      38 Gauri Viswanathan, "Masks of Conquest : Literay Study and British Rule in In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9

      39 J. S. Gale, "Discussion" 1 : 1900

      40 J. S. Gale, "Difficulties of the language" Y. M. C. A. Press 1917

      41 J. S. Gale, "Christianity in Korea" Y. M. C. A. Press 19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