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상에 대한 ‘기억’의 철학상담적 치유가능성 모색 -아도르노의 ‘회상’개념과 변증법적 사유를 중심으로- = Groping for the Possibility of Healing Trauma ‘Memory’ through Philosophical Counseling -Focusing on Adorno’s Concepts of ‘Eingedenken’ and Dialectical Thin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7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한국사회에서 5.18, 세월호 등으로 인해 트라우마, 즉 외상에 대한 관심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외상 생존자들에게 외상에 대한 기억을 없애고 ‘망각’하도록 도와야 할까? 아...

      최근 한국사회에서 5.18, 세월호 등으로 인해 트라우마, 즉 외상에 대한 관심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외상 생존자들에게 외상에 대한 기억을 없애고 ‘망각’하도록 도와야 할까? 아니면 ‘기억’을 통해 외상에 직면하여 그 사건을 말로 표현하고 증언하도록 해야 할까? 외상을 기억하는 것, 그 자체가 고통인데 생존자들로 하여금 그 고통을 돌아보고 외상을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은 과연 생존자들에게 치유의 일환일 수 있을까?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시대 인간의 조건을 사유해야 한다는 아렌트의 비판적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외상 생존자들의 ‘기억’이 단지 개인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사회와의 연관성에 대한 성찰적 사유로 이어질 때에야 비로소 치유될 수 있다는 점에 천착하고자 한다. 기존에 이루어진 정신의학적 치료나 심리치료의 작업에서도 외상에 대한 ‘기억’은 매우 핵심적 전환점을 마련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치료나 상담적 접근에서 외상을 치유하기 위해 ‘기억’이 왜 그리고 어떤 의미에서 중요한 치료적 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 뒤, 이를 철학상담과의 대비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2장에서는 트라우마 치료에서 양대산맥을 차지하고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에 대한 정신의학적인 치료와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에 대한 심리치료 및 상담적 접근의 핵심을 정리해보고, 그 안에서 ‘기억’이 지니는 치료적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아도르노 사상을 중심으로 ‘기억’과 변증법적 사유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시도할 것이다. 4장에서는 기존의 심리치료나 상담에서의 ‘기억’에 대한 작업이 지니는 제한점을 되짚어본 뒤, PTDS의 ‘장애’와 PTG의 ‘성장’ 사이에서 외상을 치유하기 위한 ‘기억’의 철학상담적 토대를 마련해 본다. 이로써 외상을 치유하기 위한 기존 치료의 보완책이자 하나의 대안으로서 아도르노의 ‘회상’개념과 변증법적 사유에 기반한 철학상담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decades, interest in trauma has grown in South Korean society due to the May 18<sup>th</sup>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other events. Some have wondered if survivors should be assisted in ‘f...

      In recent decades, interest in trauma has grown in South Korean society due to the May 18<sup>th</sup>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other events. Some have wondered if survivors should be assisted in ‘forgetting’ their memories of traumatic events or if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face the trauma through those memories and discuss their experiences. Remembering trauma is painful, but it has been considered that having survivors experience that pain through discussing their traumatic experiences can be part of the healing process.
      This paper begins Arendt’s statement that one should consider human conditions and considers whether trauma survivors can heal only when their traumatic memories have been connected to introspective thinking concerning not only individual dimensions but also associations with society. In previous psychiatric treatment and psychotherapy studies, memories of trauma have been essential turning poin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son and context in which memories can be an important therapeutic factor when healing trauma using existing therapies or counseling approaches. It compare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to philosophical counseling approaches. Chapter 2 discusses the core of the psychiatric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he core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approaches to post-traumatic growth(PTG). The approaches occupy two major streams in trauma treatment.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importance of memories in the aforementioned treatment methods are examined. Chapter 3 discusses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memories and dialectical thinking; the discussion centers on Adorno’s concepts. Chapter 4 review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work on memories. A basis is established for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of memories in trauma healing. As such, this study considers philosophical counseling approaches based on Adorno’s concepts of ‘Eingedenken’ and dialectical thinking as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existing trauma heal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먼, 주디스, "트라우마: 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플래닛 2007

      2 박승찬, "철학의 멘토, 멘토의 철학" 가톨릭대출판사 2013

      3 광주광역시 광주트라우마센터, "증언치유프로그램 ‘마이데이(My Day)’ 기록집 II : 제 이야기를 들어주시겠습니까?" 종로인쇄 2017

      4 광주광역시 광주트라우마센터, "증언치유프로그램 ‘마이데이(My Day)’ 기록집 I : 제 이야기를 들어주시겠습니까?" 종로인쇄 2015

      5 노성숙, "주체속에 있는 자연의 회상" 16 : 304-331, 2001

      6 아렌트, 한나,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7 윌리엄스, M.B.,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워크북" 학지사 2016

      8 블록, S.H,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심신워크북" 시그마프레스 2015

      9 이양자,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13 (13): 1-23, 2008

      10 포아, 에드나 B.,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12주의 도약-성폭력 및 외상 피해 치유를 위한 지속노출치료(PE) 워크북" 더트리그룹 2011

      1 허먼, 주디스, "트라우마: 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플래닛 2007

      2 박승찬, "철학의 멘토, 멘토의 철학" 가톨릭대출판사 2013

      3 광주광역시 광주트라우마센터, "증언치유프로그램 ‘마이데이(My Day)’ 기록집 II : 제 이야기를 들어주시겠습니까?" 종로인쇄 2017

      4 광주광역시 광주트라우마센터, "증언치유프로그램 ‘마이데이(My Day)’ 기록집 I : 제 이야기를 들어주시겠습니까?" 종로인쇄 2015

      5 노성숙, "주체속에 있는 자연의 회상" 16 : 304-331, 2001

      6 아렌트, 한나,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7 윌리엄스, M.B.,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워크북" 학지사 2016

      8 블록, S.H,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심신워크북" 시그마프레스 2015

      9 이양자,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13 (13): 1-23, 2008

      10 포아, 에드나 B.,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12주의 도약-성폭력 및 외상 피해 치유를 위한 지속노출치료(PE) 워크북" 더트리그룹 2011

      11 칼훈 L.G., "외상 후 성장: 상담 및 심리치료에의 적용" 학지사 2015

      12 광주광역시 광주트라우마센터, "오월꽃 마음꽃이 피었습니다: 미술치유, 10주간의 기록" 도서출판 전라도닷컴 2014

      13 김영철,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서의 신인식의 근거로서의 기억 개념" 31 : 61-82, 2011

      14 서경식, "시대의 증언자 쁘리모 레비를 찾아서" 창비 2015

      15 벤야민, 발터, "서사(敍事)⋅기억⋅비평의 자리" 도서출판 길 2012

      16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33 (33): 217-235, 2012

      17 알렉산더, 제프리 C., "사회적 삶의 의미: 문화사회학" 한울 2007

      18 박소윤,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분석" 5 (5): 141-155, 2015

      19 테오도르 W. 아도르노, "부정변증법 강의" 세창출판사 2012

      20 아도르노, 테오도르 W., "변증법 입문" 세창출판사 2015

      21 최성만, "발터 벤야민 기억의 정치학" 도서출판 길 2014

      22 안현의, "단순 및 복합 외상 유형에 따른 PTSD의 증상 구조" 30 (30): 869-887, 2011

      23 오수성,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13 (13): 5-12, 2013

      24 손봉호, "고통받는 인간: 고통문제에 대한 철학적 성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25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경세원 2016

      26 노성숙,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 50 : 217-241, 2000

      27 노성숙, "가해하는 공동체? 치유하는 공동체?: 개인의 고통에 대한 성찰과 치유를 모색하는 철학상담" 108 : 31-70, 2015

      28 레비, 프리모,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돌베개 2014

      29 Guzzoni, U, "Sieben Stücke zu Adorno" Verlag Karl Aber 2003

      30 Tedeschi, Richard G.,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15 (15): 1-18, 2004

      31 Hegel, G.W.F., "Phänomenologie des Geistes, Gesammelte Werke in zwanzig Bd. 3" Suhrkamp 1986

      32 Adorno, T. W., "Noten zur Literatur, Gesammelte Schriften, Bd. 11" Suhrkamp 1974

      33 Adorno, T. W., "Noten zur Literatur, Gesammelte Schriften, Bd. 11" Suhrkamp 1974

      34 Adorno, T. W., "Negative Dialektik, Gesammelte Schriften Bd. 6" Suhrkamp 1977

      35 Adorno, T. W., "Mimima Moralia. Reflexionen aus dem beschädigten Leben, Gesammelte Schriften, Bd. 4" Suhrkamp 1980

      36 Park, Crystal L., "Making Sense of the Meaning Literature: An Integrative Review of Meaning Making and Its Effects on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136 (136): 257-301, 2010

      37 Benjamin, W., "Gesammelte Schriften, Bd. I.2" Suhrkamp 1980

      38 Hegel, G.W.F.,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ten III Bd. 10" Suhrkamp 1986

      39 Adorno, T. W., "Dialektik der Aufklärung, Gesammelte Schriften, Bd. 3" Suhrkamp 1984

      40 Habermas, J, "Der philosophischee Diskurs der Moderne" Suhrkamp 1988

      41 Noerr, G. S., "Das Eingedenken der Natur im Subjek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0

      42 노성숙, "5⋅18 트라우마와 치유: 개인과 사회공동체의 변증법에 대한 비판적 성찰" 광주가톨릭대학교 194 : 207-254,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가톨릭철학
      외국어명 : The Catholic Philosoph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4 0.85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