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전쟁 후 미국과 일본 문학에 나타난 한국의 표상체계와 한국 문학에 나타난 미국과 일본의 표상체계 대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72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팀은 소설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 전쟁 후 미국과 일본문학에서 한국(인)-심상지리, 풍속, 인종, 종족 등-이 어떻게 인식되고 분류되어 가치평가 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

      본 연구팀은 소설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 전쟁 후 미국과 일본문학에서 한국(인)-심상지리, 풍속, 인종, 종족 등-이 어떻게 인식되고 분류되어 가치평가 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소설에서 미국과 일본의 이미지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때 우리는 탈식민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인종주의, 민족주의 등 다양한 시각도 텍스트 분석에 활용하고자 한다. 한국, 미국, 일본이라는 삼자의 대비 분석을 통해 우리들은 주체와 타자에 대해 좀더 폭넓은 시각을 획득함으로써 새로운 21세기에 적합한 패러다임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것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WASP(White Anglo Saxon Protestant) 또는 한국 계열 이외의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한국 표상체계 연구

      한국에 대한 미국 주류의 시선은 비록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OECD의 일원으로 비약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남․북 관계의 긴장이나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Craig S. Coleman에 의하면 몇몇의 자료들은 한국이 아직도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다고까지 기술한다.(Craig S. Coleman, American Images of Korea, Hollym, 1990. 참조)
      현재 미국문학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이들의 한국에 대한 왜곡된 표상체계는 극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본 연구팀은 미국 문단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백인들의 문학에 나타난 한국의 표상체계를 다각적으로 분석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 문인은 다음과 같다.
      - 펄벅(Buck, Pearl)
      : 중국과 한국 등 동양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졌던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ꡔ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 The Living Reedꡕ(1963)·「새해」(1968)·ꡔ한국에서 온 두 아가씨 Love and The Morning Calmꡕ(1951) ꡔ너희가 잠자는 곳에 Matthew, Mark, Luke, Johnꡕ 등.
      -제임스 미치너(James A. Michener)
      : 한국전쟁 참전 용사, 서강대 등에서 교환교수를 했던 대표적인 동양주의 학자 겸 소설가
      ꡔ도고리의 다리 The Bridges of ToKo-riꡕ
      이외에도 한국을 다룬 소설로 조지 시드니의 ꡔ전사 희망자들 For the Love of Dyingꡕ, 윌리암 메리올의 ꡔ죽음의 그림자 A Sense of Darkꡕ, 훼일렌 M 훼이리의 ꡔThe Yoboꡕ(1984), 마틴 루스의 ꡔBreakout: The Chosin Reservoir Campaign, Korea 1950ꡕ(2000), 요코 가와사와 와트킨스의 ꡔSo Far from the Bamboo Groveꡕ(1994), 티모디 리치의 ꡔEagles of Fireꡕ, 리차드 후커의 ꡔMashꡕ(1997), 마틴 리몬의 ꡔSlicky Boysꡕ(1997), 제임스 브래디의 ꡔThe Marines of Autumnꡕ(2001)·ꡔThe Marineꡕ(2003), 존그리세멜의 ꡔNo One Thinks of Greenlandꡕ(2002), 패트릭 A 데이비스의 ꡔThe Commanderꡕ(2002), 알렉산더체의 ꡔEdinburghꡕ(2002), 제임스 브래디의 ꡔWarning of Warꡕ(2002) 등이 있다.

      ② 코리안-아메리칸(Korean-American) 문학 작품에 나타난 한국 표상체계 연구

      한인들이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영어 문학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 것은 1920-1930년대부터이다. 이 당시의 작가들은 단순 노무자들은 아니었다. 그들은 유학 또는 망명을 목적으로 미국으로 간 지식인들이었다. 1928년에 발표된 유일한의 ꡔ한국에서의 유년시절ꡕ이 최초의 한국계 미국문학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밖에 초기 작품으로는 박노영의 ꡔ중국놈의 운세, 1940ꡕ, 강용힐의 ꡔ초당ꡕ (1931)과 ꡔ동양인 서양에 가다ꡕ(1937), 박인덕의 ꡔ원숭이띠 9월생ꡕ(1954)등이 있다.
      백인 중심의 미국 사회에서 수수자로서의 삶을 살아왔던 코리안-아메리칸들은 1970년대를 전후하여 백인들에 의해 왜곡되고 성적으로 거세된 자신들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된다. 이들은 자신들이 누구이며 어디서 왔는가에서 부터 현재 미국에서 어떤 삶을 살고 있는가 등 치열한 문제의식으로 작품 활동에 임하고 있다. 이것은 곧 ‘자아 찾기’ 내지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팀은 이들 문학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표상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것을 통해 우리는 주류적 시선이 소수자에게 어떻게 관통되어 수용, 비판되는가 하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민 1, 2, 3세대 작품 연구
      - 코리안 아메리칸의 소설로 김용익의「꽃신(The Wedding Shoes)」(1956)·「행복한 시절(The Happy Days)」·「한국의 달(The Moon of ko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