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정체성문제 해결방안 연구 - 다문화자녀의 2중 언어ㆍ문화교육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1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여성 결혼 이민자가 다문화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겪게되는 정체성 문제와 그 해결책을 마련하는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그 방안의 하나로 가정이나 학교, 지방 자치 단체에서 ...

      이 논문은 여성 결혼 이민자가 다문화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겪게되는 정체성 문제와 그 해결책을 마련하는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그 방안의 하나로 가정이나 학교, 지방 자치 단체에서 엄마 나라 언어 교육이나 문화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조기 2중 언어 문화교육을 실시해야 함을 제안해보았다. 또 실제 설문 사례를 들어 여성 결혼 이민자의 친정 쪽 친 인척을 통한 엄마나라의 언어 문화교육도 다문화 가정 정체성 고취에 효과적인 방안임을 주장했다. 어린 시절부터 외가 친척과 추억을 만들어가면서 2중 언어 교육을 한다면 엄마와 깊이 있는 대화 습관을 익힐 수 있고 순화된 사춘기를보낼 수 있으며 안정된 정서와 자긍심 가득한 성인으로 자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문화 가정의 정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영 유아 시기부터 엄마 교사를 통한 다문화 가정 자녀의 2중 언어 문화 교육정책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엄마 교사용 교재의 개발 및 보급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가정 여성 결혼 이민자들의 친정에 대한배려 정책도 미래 사회를 위해 시급히 노력해야 할 사업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다문화 가정의 친 인척을 우리의 가족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하고 공감하는 사회적 가치관이 함께 할 때 다문화 가정 꿈나무들이 미래 한국 사회의 유망주로 성장하는 데 큰 힘을 얻을 수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on the Ways to Resolve the IdentityIssue of Multi-Cultural Family - Focused on bilingual languageand cultur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Journal of the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1-2,107-134. This study in...

      Study on the Ways to Resolve the IdentityIssue of Multi-Cultural Family - Focused on bilingual languageand cultur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Journal of the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1-2,107-13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dentity issue that female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experienceand suggests ways to resolve the issue. Focused on theeducation of the mother's language and culture by schools andlocal governments, the study suggests that early education ofbilingual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as one of the ways to resolve the issue. Taking an actualsurvey, the study also argues that teaching mother's languageby the relatives of their mothers could be an effective way toenhance the identity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Ifthe children get bilingual education by building good memorieswith their mothers' relatives from childhood, they cancommunicate with their mothers in their mother tongues whileexperiencing mild adolescence and grow to be an adult withpride and stable emotions. To resolve the identity issue of multi-cultural family, what isneeded first of all is a government policy on bilingual languageand culture education by mothers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couples, text development for the teachers and distributionof the textbooks. In addition, the government needs to give aconsideration to a policy for the families of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Only when we support the social value that embraces, understands, and sympathizes with the relativesof multi-cultural family, can their children have strength tobecome future prospects of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2중 언어ㆍ문화 교육의 필요성
      • 3. 다문화 자녀 정체성 고취를 위한 2중 언어ㆍ문화 교육 방안
      • 3.1. 엄마 교사를 통한 조기 2중 언어ㆍ문화 교육
      • Abstract
      • 1. 서론
      • 2.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2중 언어ㆍ문화 교육의 필요성
      • 3. 다문화 자녀 정체성 고취를 위한 2중 언어ㆍ문화 교육 방안
      • 3.1. 엄마 교사를 통한 조기 2중 언어ㆍ문화 교육
      • 3.2. 외가와의 유대를 통한 2중 언어ㆍ문화 교육
      • 4.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