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시대’와 중국의 역사 다시 쓰기: 일국사와 지역사의 경계에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3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중국에서 확인되는 역사 다시쓰기가 현 시기 중국 사회변동의 맥락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 다음, 유의미한 역사 다시 쓰기의 방향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려 한다...

      이 글은 중국에서 확인되는 역사 다시쓰기가 현 시기 중국 사회변동의 맥락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 다음, 유의미한 역사 다시 쓰기의 방향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려 한다. 현재 이야기되는 ‘신시대’는 지난 100년을 비교적 동질적인 하나의 시기로 묶은 다음, 이제 그와 반대로 새로운 단절이 시작됨을 의미할 것이고, 그럼 역사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불가피해진다. 중국에서 국가주의와 성장주의를 결합한 현대사 다시 쓰기 작업은 여러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고, 그 주목되는 대상중 하나는 1930년대 남경정부에서 관료자본의 역할에 대한 것이다. 관료자본론에 대한 신해석의 배경에는 ‘그 때와 지금’ 모두에 작동하고 있는 중국의 예외성과 동시에 ‘따라잡기’를 불가피하게 만드는 중국이 처한 국제 조건의 제약성이라는 문제가 놓여있다. 국가가 주도하는 신속한 공업화와 이를 위한 ‘국가자본(즉 관료자본)’의 형성은 중국이 처해있는 독특한 ‘국제적 제약’ 속에서 설명될 수 있는 ‘중국 예외성’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역사 새로 쓰기는 과거의 역사 쓰기 방식을 비판하면서 등장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과거의 역사 쓰기의 특정한 한계를 반복하고 있거나 심화하고 있기도 하다. 문제가 되는 첫 번째 쟁점은 ‘사실’과 ‘평가’ 사이의 괴리이다. 어떤 ‘사실’이 사실이고, 그 사실을 어떤 시공 간에서 구성할 것인가만 중립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관건인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역사 시대에 대한 근본적 평가의 문제가 바탕에 깔려 있다. 둘째로 역사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기존의 ‘보편성’ 기준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지면서,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하는 경우가 많지만, 역설적으로 비판의 양쪽이 거울상처럼 유럽중심적 판단 기준에 얽매어 있는 경우가 많다. 셋째, 문제는 다시 쓰기의 서술들이 역설적으로 ‘민족사적 일국주의’의 틀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로 포장된 역사의 서술이 전개되는 ‘시공간’ 자체는 자명하며 문제로 파악되지 않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야지마 히로시, "현재를 보는 역사, 조선과 명청: 일국사를 넘어선 동아시아 읽기" 너머북스 2014

      2 전인갑, "현대 중국의 제국몽 : 중화의 재보편화" 학고방 2016

      3 박지향,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 2" 책세상 2006

      4 딜릭, 아 리프, "포스트모더니티의 역사들 : 유산과 프로젝트로서의 과거" 창비 2005

      5 왕후이, "탈정치 시대의 정치" 돌베개 2014

      6 야마무로 신이치, "키메라 만주국의 초상" 소명출판 2009

      7 하라다 게이이치, "청일·러일전쟁" 어문학사 2013

      8 자오팅양, "천하체계: 21세기 중국의 세계인식" 길 2010

      9 황쭝즈, "중국의 감춰진 농업혁명" 진인진 2016

      10 왕웨이웨이, "중국은 문명형 국가다" 지식공작소 2018

      1 미야지마 히로시, "현재를 보는 역사, 조선과 명청: 일국사를 넘어선 동아시아 읽기" 너머북스 2014

      2 전인갑, "현대 중국의 제국몽 : 중화의 재보편화" 학고방 2016

      3 박지향,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 2" 책세상 2006

      4 딜릭, 아 리프, "포스트모더니티의 역사들 : 유산과 프로젝트로서의 과거" 창비 2005

      5 왕후이, "탈정치 시대의 정치" 돌베개 2014

      6 야마무로 신이치, "키메라 만주국의 초상" 소명출판 2009

      7 하라다 게이이치, "청일·러일전쟁" 어문학사 2013

      8 자오팅양, "천하체계: 21세기 중국의 세계인식" 길 2010

      9 황쭝즈, "중국의 감춰진 농업혁명" 진인진 2016

      10 왕웨이웨이, "중국은 문명형 국가다" 지식공작소 2018

      11 백승욱, "중국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 : 중앙문혁소조장 천보다와 ‘조반의 시대’" 그린비 2012

      12 중국공산 당중앙당사연구실, "중국공산당역사: 제1권 하" 서교출판사 2016

      13 안치영, "중국공산당 19차 당 대회 보고와 시진핑(習近平)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02) : 144-185, 2018

      14 페이샤오퉁, "중국 사회문화의 원형 : 향토중국" 비봉 2011

      15 리보중, "중국 경제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 책세상 2006

      16 백승욱, "장기 20세기와 사회주의 역사적 경험의 회고 러시아혁명과 중국혁명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16) : 18-59, 2017

      17 아리기, 조반니, "장기 20세기" 그린비 2014

      18 백승욱, "자본주의 역사강의" 그린비 2006

      19 이와나미 신서 편집부, "일본 근현대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어문학사 2013

      20 월러스틴, 이매뉴얼, "유럽적 보편주의 : 권력의 레토릭" 창비 2008

      21 원톄쥔, "여덟 번의 위기 : 현대 중국의 경험과 도전" 돌베개 2016

      22 스기하라 카오루, "아시아간 무역의 형성과 구조" 전통과현대 2002

      23 요시다 유타카, "아시아·태평양 전쟁" 어문학사 2012

      24 후카마치 히데오, "쑨원: 근대화의 기로" AK 2018

      25 민두기, "신해혁명사: 중국의 공화혁명(1903~1913)" 민음사 1994

      26 허자오텐, "시진핑 시대 중국 사상의 길"

      27 성균중국 연구소, "시진핑 사상과 중국의 미래: 중국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 분석" 지식공작소 2018

      28 이승휘, "손문의 혁명" 한울 2018

      29 백승욱, "세계화의 경계에 선 중국" 창비 2008

      30 왕후이, "새로운 아시아를 상상한다" 창비 2003

      31 쑨원, "삼민주의" 범우사 2000

      32 윤소영, "봉건제론 : 역사학 비판" 공감 2013

      33 원톄쥔, "백년의 급진: 중국의 현대를 성찰하다" 돌베개 2013

      34 미조구치 유조, "방법으로서의 중국" 산지니 2016

      35 조정로(차오정루), "민주수업" 나름북스 2015

      36 마키하라 노리오, "민권과 헌법" 어문학사 2012

      37 미야지마 히로시,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 너머북스 2013

      38 마오쩌둥, "모택동선집 4" 범우사 2008

      39 가토 요코,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으로" 어문학사 2012

      40 한정선, "동아시아 역사 속의 신해혁명" 한울 2013

      41 안병직, "대한민국 역사의 기로에 서다 : 안병직·이영훈 대담" 기파랑 2007

      42 이영훈, "대한민국 역사 : 나라 만들기 발자취 1945~1987" 기파랑 2013

      43 먼홍화, "다시, 중국의 길을 묻다: 시진핑 시대의 국가전략"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7

      44 쉬디신, "근대중국 사회성격의 재검토: 중국 자본주의 논쟁사" 고려원 1993

      45 이대근, "귀속재산 연구 : 식민지 유산과 한국경제의 진로" 이숲 2015

      46 이남주, "개혁개방 “신시대”와 시진핑(習近平)사상"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03) : 303-335, 2018

      47 나현수, "강좌 중국사 VII: 신질서의 모색" 지식산업사 1989

      48 민두기, "강좌 중국사 VI: 개혁과 혁명" 지식산업사 1989

      49 강명희, "강좌 중국사 VI: 개혁과 혁명" 지식산업사 1989

      50 王國斌, "鑑往知來 : 中國與全球歷史變遷的模式與社會理論" 交通大學出版社 2019

      51 武 力, "重新審視‘官僚資本’的幾點想法: 評《從投資公司到‘官辦商行’》" (2) : 2003

      52 吹田尚一, "近現代日本の興隆と大東亜戦争: 戦争を無くすことができるのか" 文眞堂 2014

      53 張素欣, "近十年關于南京國民政府時 期官僚資本的硏究述評: 以中國知網文獻爲基 礎" 36 (36): 2014

      54 陳伯達, "蔣宋孔陳--中國四大家族" 一橋出版社 1988

      55 ピーティ ー, マーク, "植民地 : 帝國50年の興亡" 讀賣新聞社 1996

      56 汪 暉, "東西之間的“西藏問題”(外二篇)" 三聯書店 2011

      57 川島眞, "東アジア國際政治史" 名古屋大學出版會 2007

      58 張學成, "抗戰期間工鑛業官僚資本與民間資本關係硏究的路徑選擇和爭論焦點: 兼論核心槪念的界定" 34 : 2012

      59 張娟, "對中國官僚資本的硏究" 5 (5): 2007

      60 鄭會欣, "對‘官僚資本’的再認識" (4) : 2003

      61 林房雄, "大東亞戰爭肯定論" 八旗文化 2017

      62 汪朝光, "和與戰的決擇 : 前後國民黨的東北決策"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16

      63 楊奎松, "中間地帶的革命 : 國際大背景下看中共成功之道" 山西人民出版社 2010

      64 卓遵宏, "中華民國專題史 第六卷 : 南京國民政府十年經 濟建設" 南京大學出版社 2015

      65 楊奎松, "中國近代通史" 江蘇人民出版社 2013

      66 許滌新, "中國資本主義發展史 第二卷 : 舊民主主義革命時期的中國資本 主義" 人民出版社 2003

      67 藤岡信勝, "「自虐史観」の病理" 文藝春秋 1997

      68 Wong, R. Bin, "China Transformed: Historical Change and the Limits of European Experienc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0

      69 Rosenthal, Jean-Laurent, "Before and Beyond Divergence: The Politics of Economic Change in China and Europ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70 백승욱, "3.1운동 전후 동아시아 지역 변동 속의 조선 식민지의 특수성" 2018

      71 李少兵, "20世紀40年代以來中國大陸“四大家族官僚資本”問題硏究" (3) : 2005

      72 杜恂誠, "1928-1937年中國的新設企業與政府投資" (3) :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6-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아시아지역연구소 -> 성균중국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East Asian Regional Studies -> Sungkyun Institute of China Studie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