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 of Remembering ‘the War’ in Korean and Japanese Novels just after the Pacific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54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the war was remembered in Korean and Japanese novels written just after the Pacific War by comparing Park Rho ‐gap’s Hwan (歡) and Umezaki Haruo’s Sakurajima (櫻桃).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wo novels i...

      This study examined how the war was remembered in Korean and
      Japanese novels written just after the Pacific War by comparing Park Rho
      ‐gap’s Hwan (歡) and Umezaki Haruo’s Sakurajima (櫻桃).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wo novels is both just before the 15th of August in
      1945, and it ends with the news of the termination of the war on the 15th
      of August. In describing the atmosphere after the end of the war, Park
      Rho‐gap’s Hwan expresses ‘jubilation’ but Umezaki Haruo’s Sakurajima
      expresses futile despair like evanescently falling cherry blossoms in the
      form of ‘abstinence.’
      In Park Rho‐gap’s Hwan, the code through which the author remembers
      the Pacific War is ‘unpatriotic person.’ As the war situation grows worse,
      Japan mobilizes Koreans for the war on the pretext that Koreans are also
      ‘criticizes’. That is, it assumes to give Koreans suffrage and treat them as
      ‘criticizes’ in reward for fighting in the war. Kim laments the fate of Korean
      young people conscripted for Japanese aggressive war, and criticizes the
      Japanese government’s deceptive schemes. Just before the liberation,
      Korean intellectuals focused their attention on Japanese exploitation
      policies but were ignorant of the progress of the 2nd World War and
      political situations.
      In Umezaki Haruo’s Sakurajima, the code through which the author
      remembers the Pacific War is ‘replacement.’ As the aggressive war initiated
      by Japan has reached its last stages, Japan mobilizes for the war not only
      the colonists but also its own innocent common people in the form of
      replacements, national service men, volunteers, etc. The writer spotlights
      conflicts between replacements and volunteers, and criticizes the human
      right abuses through replacements who are nothing to do with the war.
      The author points out problems in the war, but his sense of shame is
      somewhat mixed because it is his own country’s militarism that provoked
      the war.
      The fact that the codes for Korean and Japanese writers’ perception of
      the Pacific War are ‘unpatriotic person’ and ‘replacement,’ respectively,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From the 15th of August, 1945 on, Korean
      literature waged struggles to build an independent country based on the
      concept of ‘citizens’ and Japanese literature started its efforts to establish
      democracy based on the concept of ‘human righ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종전(終戰)을 맞이하는 시각의 차이, 환희와 절제
      • 3. 박노갑의 「歡」에 나타난 ‘비국민’의 의의
      • 4. 우메자키 하루오의 「櫻桃」에 나탄 ‘보충병’의 의의
      • 5. 결론
      • 1. 서론
      • 2. 종전(終戰)을 맞이하는 시각의 차이, 환희와 절제
      • 3. 박노갑의 「歡」에 나타난 ‘비국민’의 의의
      • 4. 우메자키 하루오의 「櫻桃」에 나탄 ‘보충병’의 의의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르조 아감벤, "호모사케르" 새물결 2008

      2 W.G. 비즐리, "일본근현대사" 을유문화사 2004

      3 쇼 마사오, "일본 현대 문학사,상" 문학과지성사 1998

      4 박노갑, "안개거리" 깊은샘 1989

      5 우메자키 하루오, "사꾸라지마" 소화 2002

      6 조진기, "비교문학의 이론과 실천" 새문사 2006

      7 배기정, "박노갑소설의 변모양상 연구-민족현실인식을 중심으로" 155-177, 1991

      8 강심호, "박노갑 소설의 현실인식 고찰" 일지사 152-179, 2004

      9 신진경, "박노갑 소설의 공간 연구" 건국대학교 1995

      10 한새롬, "박노갑 소설 연구:소설 공간과 인물 유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2

      1 조르조 아감벤, "호모사케르" 새물결 2008

      2 W.G. 비즐리, "일본근현대사" 을유문화사 2004

      3 쇼 마사오, "일본 현대 문학사,상" 문학과지성사 1998

      4 박노갑, "안개거리" 깊은샘 1989

      5 우메자키 하루오, "사꾸라지마" 소화 2002

      6 조진기, "비교문학의 이론과 실천" 새문사 2006

      7 배기정, "박노갑소설의 변모양상 연구-민족현실인식을 중심으로" 155-177, 1991

      8 강심호, "박노갑 소설의 현실인식 고찰" 일지사 152-179, 2004

      9 신진경, "박노갑 소설의 공간 연구" 건국대학교 1995

      10 한새롬, "박노갑 소설 연구:소설 공간과 인물 유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2

      11 최학, "도촌 박노갑의 생애와 문학" 3 : 345-369,

      12 니시카와 나가오, "국민이라는 괴물" 소명출판 2002

      13 서경석, "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 철수와영희 2009

      14 吉田精一, "現代日本文學史" 정음사 1984

      15 티무라히데끼, "梅崎春生 櫻島 論 - 軍刀の意味(變化)を中心に -" 10 : 219-237,

      16 이중연, "‘황국신민’의 시대" 혜안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